•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시라토리 구라키치(白鳥庫吉)의 고조선 기원 연구에 대한 비판적 검토 (Critical Review on Shiratori Kurakichi’s Study on Origin of Old Joseon)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9 최종저작일 2022.04
38P 미리보기
시라토리 구라키치(白鳥庫吉)의 고조선 기원 연구에 대한 비판적 검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대사탐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고대사탐구 / 40호 / 321 ~ 358페이지
    · 저자명 : 조원진

    초록

    시라토리 구라키치의 단군 연구의 핵심적인 내용은 환웅이 강림한 태백산을지금의 묘향산으로 보고 단군전설은 불교문화와 관련하여 승려가 만든 것으로 보는 것이다. 그는 불교 경전의 牛頭旃檀에서 檀木이란 명칭이 나왔으며 단군전설이만들어진 시기는 고구려에 불교가 전래된 이후 고구려의 국력이 절정에 이르렀던장수왕대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三國遺事에서 단군은 ‘檀君’이 아니라 ‘壇君’이라 기록했으며 ‘우두’ 라는 명칭은 이미 불교 전래 이전부터 확인되는 것이다. 또한 역사적으로 三國遺 事의 태백산을 묘향산으로 보기는 어렵다.
    시라토리는 고조선의 기원에 대해서 기자조선설의 배경을 설명하면서 燕나라사람의 이주에서 비롯된 것처럼 간략히 언급할 뿐 명확하게 서술하지 않았다. 시라토리가 기자가 조선의 왕이 된 것을 부정한 것은 당시 우리학계의 견해와 크게 다르지 않은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시라토리는 기자 동래를 부인하는데 그치지 않고부왕・준왕의 이름도 易經에서 따온 것으로 보았다. 또한 그가 滿洲歷史地理 에서 한사군부터 역사지리를 다룬 것은 사실상 고조선시대에 해당하는 역사와 독자적인 기원을 부정했음을 의미한다. 이후 일본관학자들에 의해 집필된 朝鮮半島 史, 朝鮮史 등은 고조선의 역사와 기원 문제를 다루지 않고 한사군부터 역사를시작하게 된다.
    그러나 일부 글자의 유사성만으로 고조선 왕들의 이름을 易經에서 가져왔다고 보기는 어렵다. 三國志에서 고조선의 왕을 기자의 후손으로 기록한 것은후대의 윤색이라도 구체적인 실체가 기록된 부왕과 준왕의 역사성까지 부인하기는어려운 것이다.
    단군과 고조선의 역사를 부정한 시라토리의 연구는 근대 일본학자들의 우리역사 왜곡이 어떤 방향으로 진행되었는지 살펴볼 수 있는 중요한 시사점이 된다.

    영어초록

    The core argument of Shiratory Kurakichi’s research on Dangun implies that Taebaeksan upon which Hwnung descended is the current Myohyangsan, and that the Dangun myth seemed to be created by a monk, in relation to the Buddhist culture. He suggests that the term Danmok(檀木) was derived from Udujeondan(牛頭旃檀), a Buddhist scripture and the Dangun myth was created during the period of King Jangsu, when the national power of Koguryo was at its zenith, after Buddhism was transmitted to Koguryo. In Samgukyusa(三國遺事), Dangun is, however, recorded ‘壇君’, not ‘‘檀 君’, and the term ‘Udu’ had been already verified, even before the transmission of Buddhism. In addition, it is difficult to historically identify Taebaeksan appearing inSamgukyusa(三國遺事) as Myohyangsan.
    Shiratory just briefly remarked that the theory of Kija Joseon was derived from the immigration of a person from Yeon(燕), in explaining the background of the theory as the origin of Old Joseon. Shiratory rejected that Kija had become a king of Joseon, which does not seem to b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opinion of the contemporary academic circle in Korea.
    However, Shiratory did not only reject the Kija Dongrae, but also believed that the names of King Bu and King Jun came fromYeokgyeong(易經). Moreover, he first described the history of Hansagun inManjuyeoksajiri(滿 洲歷史地理), indicating that in fact, he rejected the history of the Old Joseon era. Then, Joseonbandosa(朝鮮半島史)and Joseonsa(朝鮮史), written by Japanese governmental scholars, do not deal with the history and origin of the Old Joseon era, but first described the history of Hansagun.
    It is, however, difficult to recognize that the names of Old Joseon kings were borrowed fromYeokgyeong(易經), only based on the similarity of several letters. Although Old Joseon kings were recorded as descendants of Kija due to the next generation’s embellishment inWiryakand Samgukji, it may be difficult to reject the historicity of King Bu and King Jun, both of whose specific substance was recorded.
    Shiratory Kurakichi‘s research rejecting the history of Dangun and Old Joseon gives an important suggestion on how Japanese modern scholars distorted the Korean histo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고대사탐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0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