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지구온난화 논쟁 세계화 속의 과학, 국민국가 그리고 시민사회 (Global Warming Controversy Science, Nation State, and Civil Society in Globalizing World)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9 최종저작일 2010.08
30P 미리보기
지구온난화 논쟁 세계화 속의 과학, 국민국가 그리고 시민사회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코기토 / 68권 / 311 ~ 340페이지
    · 저자명 : 김기윤

    초록

    정확한 기후과학 연구 결과들이 인간 환경의 미래를 위해 훌륭한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음은 당연한 사실이다. 따라서 많은 과학자들이 좋은 과학이 환경논쟁에 대한 국지적 정책 결정을 물론 사회적 국제적 합의에 실마리를 제공해 줄 수 있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기후과학의 연구결과물은 자연에 대한 기술, 측정일 뿐 아니라 측정 도구, 그리고 연구자나 연구기관의 연구목적의 결과물이기도 하다. 이렇게 기후과학 자체가 자연의 탐구이면서 동시에 사회적 정치적 힘들의 공동산물이어서, 좋은 과학만으로 사회적, 국제적 합의를 이끌어 낼 수는없다.
    지구온난화 논쟁은 이와 같은 상황을 잘 보여주는 사례이다. 오레스케스는 일부 학자들이 정치적 목적으로 의도적으로 기후과학자들의과학적 연구결과를 은폐하고 오도함으로써 상황을 악화시켜 왔음을보여주었다. 하지만 2009년 말 IPCC 기후과학자들 사이의 서신이 해킹, 폭로되면서 과학자들의 연구결과에 대한 신뢰도 상당히 크게 추락했다. 일부 과학자가 아니라 대부분의 과학자들이 자신의 과학 활동에정치적 열망을 담아내는 게 아닌가하는 의구심을 불러 일으켰던 것이다. 하지만 기후과학자들의 정치적 성향과 자연 및 인간사회에 대한가치관이 드러난다고 해서 그들의 주장이 크게 설득력을 잃게 되는것은 아니다. 해킹 사건은 기후과학자들을 당황스럽게 만들었지만, 사실 이 사건은 IPCC의 많은 기후학자들이 에너지 정책과 인류의 삶의미래에 대해 어떤 가치관을 지니고 있는지를 보여 주는 계기가 되었고, 그들의 가치관과 태도를 평가해 볼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해 주었다.
    사실 과학정책의 결정과정이 확실하고 객관적인 과학적 자료에 의거해야 한다는 논리는, 일견 분명해 보이면서도, 쉽게 받아들여서는안 될 이유가 있다. 확실해 보이는 자료에 의거한 정책적 결정이란 사실은 훌륭한 대안적 선택에 대한 고려가 배제되는 결정이 되기 쉽기때문이다. 기후과학에 있어, 그리고 환경론 일반에 걸쳐, 다양한 의견그리고 시각차는 의사결정을 위한 걸림돌이 아니라 민주적 합의를 위한 다양한 진로를 볼 수 있는 도구가 되어줄 수 있다. 과학자들이나국가의 정책 입안자들 그리고 시민사회의 구성원들 모두가, 기후과학이나 좀 더 폭 넓게는 환경과학의 여러 논쟁에서 정확하고 단순한 과학적 해결에 집착하는 대신 그 논쟁 자체로부터 미래의 삶과 환경에대한 다양한 시각과 가치관을 살피면서 정책이나 개인적 행위의 선택을 위한 폭을 넓혀갈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e analysis of the recent controversy on global warming provides us of some insightful reflections on the roles of civil society and nation state in globalizing world as well as on the nature of modern environmental sciences in democratic society.
    After Naomi Oreskes’s affirmative expositions on the scientific consensus on the anthropogenic global warming, many including climate scientists themselves became confident about the legitimacy of climate science for the policy actions. However, their hope that good science might guide people to a smoother negotiation in climate policy turned out to be illusory. Indeed climate science should be considered as the product of many social and political forces as well as of the investigation of nature; and climate science should be regarded as just one of many factors that should be considered for environmental decision making.
    On the other hand, some 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 scholars have been reluctant to whole heartedly accept Oreskes’s determined attitude differentiating good sciences which are screened through expert peer review from poor or bad sciences which are conducted by the outsiders of scientific expertise as well as conducted by the governmental ideologues or industrial sectors. Yet, in fact, investigations on the multiple layers of scientific activities, as well as the uncertainties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turned out to be valuable resources providing us multiple options for the environmental policy; disagreements among science and technology scholars, disagreements among environmental scientists, even regional differences on environmental perception, all should be regarded as meaningful inferences for human endeavor figuring out global environmental problems.
    Further, it could be noted that in order to insure such an open policy options and to protect underprivileged people and invigorate activities of civil organizations from the sweeping generalizing trends of the increasingly globalizing world, active role of nation state seems to be getting more crucia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코기토”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0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