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임진왜란과 피난, 그리고 의례: 왕실과 사족의 사례를 중심으로 (The Imjin War, Displacement, and Rituals: Focusing on the Cases of the Royal Court and the Gentry)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9 최종저작일 2024.12
32P 미리보기
임진왜란과 피난, 그리고 의례: 왕실과 사족의 사례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역사민속학회
    · 수록지 정보 : 역사민속학 / 67호 / 39 ~ 70페이지
    · 저자명 : 신진혜

    초록

    조선시대 왕실과 사족의 의례는 16세기 후반부터 본격화되었고 18세기 후반에 이르면 이론적 집대성을 이루게 된다. 임진왜란 발생 전후에 해당하는 15~16세기는 예제를 도입하고 연구하면서 예학적 기반을 다져가던 시기였다.
    본 연구에서는 임진왜란기 피난 과정에서 왕실과 사족이 경험했던 상ㆍ제례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정리하면서, 전쟁 경험이 조선의 예제 발전과정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에 관한 검토를 시도하였다. 왕실은 파천하면서 머무르는 지역마다 종묘 신주도 임시로 봉안했으며, 상시에 시행하던 의례를 어떻게 권도로 대처할 것인가에 대해 고민하였다. 사족층의 일부 피난 백성들 역시 상례나 제례에 있어서 비슷한 행동 양상을 보였음을 피난기 일기자료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선조실록 에 기록된 바에 따르면, 선조가 환도하면서 전란 중임에도 백성 중에 상복입은 자가 드물다는 문제를 지적하며 국가 윤리기강의 문란을 우려하였다. 하지만 조정의 우려와는 달리, 사족의 피난일기를 통해 실제 백성들로서는 처한 상황에서 최대한 예를 다하려 노력했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전란기에 국가의 예제가 전체적으로 문란해졌다고 일반화할 수 없으며, 오히려 우리는 왕실과 사족이 모두 예를 다하려는 공통적 모습을 보였던 사실에 주목해야 할 것이다.
    전란의 경험은 이후 의례적 변통이 필요한 상황에서의 행동방침을 마련해주기도 하였다. 조선의 왕실이나 사족들은 전란은 물론 기근이나 전염병, 도변으로 인해 의례의 변통이 필요한 다양한 상황과 맞닥뜨리면서 여러 경험을 축적했다. 그리고 이러한 내용은 후대에 정리된 사족의 예서는 물론 국가에서 간행한 의례서에도 일부 기재되었다. 이는 다양한 상황에 대처하는 경험의 축적, 그리고 예학 이해의 성숙이 융합된 결과물이라고 볼 수 있다.

    영어초록

    The royal court and the gentry of the Joseon Dynasty began implementing formal rituals in earnest during the late 16th century, achieving theoretical consolidation by the late 18th century. The 15th and 16th centuries, particularly surrounding the period of the Imjin War, marked a time when the introduction and study of ritual systems laid the foundation for Joseon’s ritual studies.
    This study attempts to provide a macroscopic overview of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royal court and the gentry in the practice of mourning and ancestral rites during their displacement in the Imjin War. It also offers a preliminary examination of how the wartime experience influenced the development of Joseon’s ritual systems. The royal court temporarily enshrined the royal ancestral tablets at various locations during their flight and deliberated on how to adaptively perform rituals usually conducted under normal circumstances. Similarly, some displaced members of the gentry exhibited comparable behavioral patterns in mourning and ancestral rites, as evidenced by wartime diary records.
    However, according to records in the Annals of King Seonjo (Seonjo Sillok), King Seonjo expressed concern over the lax state of national moral discipline during his return to the capital, pointing out the scarcity of people wearing mourning attire among the populace despite the ongoing war. Yet, based on the wartime diaries of the gentry, it is evident that the people made every effort to uphold rituals to the best of their ability, given their circumstances. Therefore, it cannot be generalized that the nation’s rituals were entirely neglected during the war. Instead, greater attention should be paid to the shared efforts of both the royal court and the gentry to uphold ceremonial propriety during the crisis.
    The wartime experience also helped establish guidelines for adapting rituals to extraordinary circumstances. The royal court and gentry of Joseon accumulated various experiences in adapting rituals, not only during wartime but also in situations such as famine, epidemics, and stealing. These experiences were later incorporated into ritual books compiled by the gentry and state-published ritual manuals. This reflects the combined outcome of accumulated practical experiences in diverse situations and the maturity of ritual studies and understand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역사민속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2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