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또 다른 내전: 링컨과 서부 정복 그리고 “새로운 자유의 탄생” (The Other Civil War: Lincoln, the Conquest of the West, and “A New Birth of Freedom”)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9 최종저작일 2024.11
37P 미리보기
또 다른 내전: 링컨과 서부 정복 그리고 “새로운 자유의 탄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미국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미국사연구 / 60권 / 95 ~ 131페이지
    · 저자명 : 허현

    초록

    내전기 링컨을 둘러싼 많은 연구들은 일반적으로 아메리카 원주민 문제를 등한시하는 경향이 있다. 설령 링컨 연구들이 아메리카 원주민 문제를 다루더라도 원주민 문제는 링컨의 일차적인 관심사가 아니었다거나 남부연합과의 전쟁 수행에 전적으로 몰입함으로써 원주민 문제를 신경 쓸 여력 자체가 없었다는 식의 관성적인 평가를 통해 그의 역할론을 부정하는 경우가 많다. 이런 분위기는 원주민 문제에 관한 한 링컨에게 면죄부를 주거나 적어도 그의 책임론을 약화시키는 효과를 낳고 있다. 하지만 내전기 링컨에게 아메리카 원주민 문제는 남부연합 문제만큼이나 중요했으며 결코 내전과 분리되어 있는 문제가 아니었다.
    최고정책결정권자이자 군통수권자로서 링컨은 두 개의 내전을 동시에 치러내고 있었다. 링컨은 남부연합을 상대로 유니온을 구하기 위한 전쟁을 감내하면서 동시에 서부를 정복하기 위해 아메리카 원주민들을 상대로 한 또 다른 전쟁을 치러내고 있었다. 두 내전은 북부와 남부는 물론 서부까지 아우르는, 이전과는 비교할 수 없이 강력한 통일국가를 건설하기 위한 내셔널리즘의 표현이자 동시에 링컨이 정의했던 “새로운 자유의 탄생”을 위한 투쟁이기도 했다.
    하지만 아메리카 원주민들은 이러한 통일국가의 당당한 시민이 될 희망이 없었거니와 이들에게 “새로운 자유의 탄생”은 자신들의 굴욕적 생존, 나아가 죽음을 담보로 한 서부 백인 정착민들의 자유만을 의미하고 있었다. 링컨은 이러한 자유의 탄생을 위해 최고 정치지도자로서 자신의 역할과 책임을 분명하게 인지하고 있었으며 결코 소홀히 하지 않았다. 링컨의 대(對)인디언 정책은 역사적 전례와 전통을 크게 벗어나지 않았다. 그는 인디언들에 대해 분명한 인종주의적 인식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문명동화론을 강력하게 지지했고 인디언 강제이주와 강제수용론도 열렬하게 옹호했다. 또한 그는 토지 약탈을 합법화하기 위한 인디언 조약을 숭배했던 인물이기도 했고 1862년 다코타 전쟁의 예처럼 인디언들의 저항이나 투쟁에 대해 군사적으로 단호하게 대응했던 인물이었다. 이러한 링컨이었기에 백인 서부 정착민들의 “새로운 자유의 탄생”을 위해 홈스테드법과 태평양철도법을 내세운 서부 정책을 시행하는 과정에서 정착민 식민주의적 논리를 바탕으로 한 팽창주의를 거침없이 밀어붙일 수 있었다. 그 결과가 바로 서부의 정복이었으며 그렇게 링컨은 서부 “건국의 아버지”가 되었다.

    영어초록

    Many studies on Abraham Lincoln during the Civil War generally tend to neglect Native American issues. Even if Lincoln’s studies dealt with them, his role was often denied by inertial evaluations such as that Indian issues were not Lincoln’s primary concern or that he could not afford to care about them because he fully immersed himself in the war with the Confederacy. This academic tendency has the effect of exonerating Lincoln or at least weakening his responsibility, at least as far as the Native American issues are concerned. However, for Lincoln, the issue of Native Americans was as important as that of the Confederacy. It was never an issue that was separate from the Civil War.
    Lincoln was fighting two civil wars at the same time as chief policymaker and commander-in-chief. Lincoln was fighting another war against the Native Americans to conquer the West while withstanding the war to save the Union against the Confederacy. These two civil wars were an expression of nationalism to build a strong unified state that encompassed the West as well as the North and the South. At the same time they reflected a struggle for “a new birth of freedom” that Lincoln defined.
    However, the Native Americans had no hope of becoming the dignified citizens of such a unified state. The “new birth of freedom” meant only the freedom of Western white settlers for them, which presupposed their humiliating survival or death. Lincoln was clearly aware of his role and responsibility as the supreme political leader for the new birth of freedom. He never neglected it. Indeed, Lincoln’s Indian policies were, for the most part, consistent with those of his predecessors. They shared many of the same goals.
    Lincoln was a traditional assimilationist, a proponent of concentrating Indians on reservations, an advocate of Indian-removal enthusiast, and a consistent treaty-maker and at the same treaty-breaker to ‘legalize’ the land take-overs. Lincoln’s government never officially adopted the general John Pope’s proposals for military control of the Indians. It did, however, adopt a de facto policy of militarism toward Indians as in the example of the 1865 Sand Creek massacre. Such a Lincoln was able to relentlessly push for expansionism based on settler colonialism in implementing Western policies with the Homestead Act and the Pacific Railroad Act for the “new birth of freedom” for the Western white settlers. The result was the conquest of the West. Thus, Lincoln became the “founding father” of the Wes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국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3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