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거대한 국가의 절멸된 공동체,그리고 홀로 선 개인들 (Lonely Beings in an Enormous Nation, and the Community)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9 최종저작일 2017.12
28P 미리보기
거대한 국가의 절멸된 공동체,그리고 홀로 선 개인들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문학논총 / 77호 / 309 ~ 336페이지
    · 저자명 : 김옥선

    초록

    정치적 사안을 둘러싸고 의사표명을 위해 같은 공간을 점유한 개인들을 우리는 민중, 시민이라 불러왔다. 2016년 겨울 대의민주주의에 대한 신뢰가 땅에 떨어진 시점에 이를 회복하기 위해 거리로 나온 사람은 ‘주권자’이다. 이들을 통해 우리 사회는 현재 민주주의를 위한 새로운 주체를 기대하고 있다.
    광장에 나온 새로운 주체는 그간 삼포ㆍ오포라 불린 ‘소외된 대중’이었다. 촛불의 힘이 국민의 승리라는 한국 민주주의사상 큰 성과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주체로서 주권자는 곧바로 국가와 직면하는, 신자유주의적 체제 전환 이후 파편화되어 온 개인들이다. 이제 우리는 생존과 관련한 기본권을 요구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연대하기보다 국가에 바로 요구해야 하는 상황이다. 문제 해결의 최종 종착점이 국가인 것은 지역 현안에서도 예외가 아니다.
    오직 개인으로서만 국가에 요구하고 있는 현재의 상황은 개인의 삶의 버팀목이 되어온 공동체가 흔적도 없이 사라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공동체는 개인의 생존을 위협하는 국가적 폭력을 방어하고 개인을 보호하는 보루로서, 혹은 개인의 일상이 순식간에 전환되는 시점에서 조차 삶의 근거, 가치로서 작용한다.
    나는 누구와 나의 삶을 혹은 문제를 이야기할 것인가. 즉 개인의 입장을 정치적으로 공론화 할 수 있는 장을 회복해야 필요성은 우리가 촛불을 통해 새로운 공동체를 기대하고 열망하는 지금에 더욱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재 우리 사회의 공동체가 절멸되어 버린 상황을 국가 권력이 개인, 자치 조직을 통제ㆍ통치해 온 역사적 과정을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요약하면 국가는 다양한 방식으로 개인의 일상에 개입해 통제ㆍ통치해 왔다. ‘홀로 된 개인’은 개인의 생존을 주변 이웃과 함께 공론화, 해결할 수 있는 장을 국가화하는 과정에서 만들어졌다. 오늘날에 이르러 촛불 주체는 국가가 개인을 통치하는 과정에서 탄생했지만 이전과는 다른 성격을 지니고 있다. 우리는 이제 혼자 광장에 나와도 전혀 어색하지 않는, 이 개인들로부터 새로운 공동체를 상상해야 할 지점에 서 있다.

    영어초록

    Individuals that are possessing a same space to express their opinions on political matters are defined as the general public or citizens. In the Winter of 2016, it was the ‘sovereigns’ who came out to the street to recover the trust of representative democracy when it lost all faith of people. The society is expecting a new agent to lead the democracy of our society.
    The new agent who came out to the square was ‘isolated public’ that had been called as SampoㆍOpo. Also, during this period, the demonstration included many family-unit participants. These are ‘individuals’ who actively linked their daily lives with an enormous discourse such as impeachment. However, in these day, we can request for resolving the issues as individuals and the only counterpart of individuals is the nation.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eality where only individuals and nation are left in the society through historical moments of government making interventions in individuals and communities.
    Chapter II examines how Japanese forces ruled Joseon people by luring the self-regulating organizations of Joseon people into their authority. Chapter III covers the creation of ‘compliant people’ based on administrative, educational and media systems reorganized in the modernization process and chapter IV examines the features of revolution that had been created by the system producing those compliant people. Chapter V deals with economic crisis, scattered individuals by losing the power of community after shift into neoliberalism, family as the minimal safety net, and traces of disappeared communities.
    Followed by politicalㆍeconomical changes of Korean society, the government has been interfering with individuals and communities with diverse methods. The government made people realize the ideology of a democratic society such as ‘democracy’, ‘freedom’, and ‘equality’, and it created the capabilities as a community. The ideologies of a democratic society are the basis of diverse and multi-dimensional identities of an individual. ‘Pure individuals’ have been scattered in the process of government power becoming enormous, but they cannot be persuaded by a single power. The new community should find possibilities from the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문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3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