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6세기 제주도의 위기와 流民 증가 그리고 출륙금지령 (Jeju's Crisis, the Increase of Refugees and the Ban Jeju People from Migrating to the Mainland in the 16th century)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9 최종저작일 2023.02
28P 미리보기
16세기 제주도의 위기와 流民 증가 그리고 출륙금지령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제주학회
    · 수록지 정보 : 제주도연구 / 59권 / 269 ~ 296페이지
    · 저자명 : 양정필

    초록

    15세기에 제주도의 경제적 상황은 나쁘지 않았다. 그러나 16세기 들어서 제주도는 위기에 처하였다. 16세기 초반에 제주도에서는 흉년이 계속되고 전염병이 빈발하였다. 그 결과 굶어주고 병들어 죽는 사람이 많았다. 또 제주도 지방관들의 失政과 탐학도 이어졌고, 進上도 가중하여서 제주도인의 삶은 피폐해졌다. 무엇보다 여러 재난이 짧은 기간에 연이어 발생하여서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시간적 여유가 없었던 것이 상황을 악화시켰다. 위기의 여파로 제주도에서 살 수 없다고 판단하고 본토로 떠나는 유민이 증가하였다.
    16세기 전반에 사망자와 유민의 증가로 제주도의 인구는 격감하였다. 당시는 왜적의 침입이 빈발하여서 제주도를 방어하는 것은 중요하였다. 조정에서는 제주도의 인구 격감을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인구를 회복시키기 위한 정책들을 추진하였다. 우선 제주도를 떠나 본토에서 떠도는 유민들을 쇄환하였다. 그리고 삼남 지방의 사람들을 제주도로 들여보내 인구를 늘리려는 논의도 있었다. 이러한 대책에도 불구하고 제주도의 위기와 인구 감소는 극복되지 못했다.
    16세기 후반에 제주 목사들은 제주도인의 본토 출입을 통제하였다. 제주도인은 목사가 자신의 부정행위가 알려지는 것을 우려해서 출입을 막는다고 생각하였다. 그렇지만 그 시책은 결과적으로 제주 유민의 발생을 막고 제주도의 인구 감소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었다. 그래서 정부에서는 1629년에 제주 목사의 시책을 공인하여 출륙금지령을 내린 것으로 이해된다.

    영어초록

    In the 15th century, the economic situation in Jeju Island was not bad. However, in the 16th century, famine continued and infectious diseases occurred frequently. So many people starved and died sick. Also, local officials in Jeju Island did not manage well. In addition, the tax burden increased, making the lives of Jeju Islanders even more impoverished. Jeju Island was unable to escape the crisis as several disasters occurred in a short period of time. Those who judged that they could not live in Jeju Island began to leave Jeju Island.
    As the number of deaths and displaced people increaseds, the population of Jeju Island decreased sharply. The Government took this seriously. Because at that time, invasions of Japanese pirates were frequent, so it was important to defend Jeju Island. So the government pushed for policies to restore the population. First of all, the refugees who left Jeju Island and wandered from the mainland were repatriated. There was also a discussion to increase the population by bringing people from the southern regions into Jeju Island. Despite these measures, Jeju Island's crisis and population decline had not been overcome.
    Meanwhile, in the late 16th century, local officials of Jeju controlled Jeju Islanders from entering the mainland. the policy had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Jeju refugees and curbing the population decline in Jeju Island. Therefore, in 1629, the government authorized the Jeju official's policy and imposed a ban on Jeju people from leaving the islan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제주도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영화 <퍼스트 라이드.> 시사회 초대 이벤트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3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