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북한의 고문서 연구현황과 북한고문서 조사방안 연구 (A study on the present status of old document researches in North Korea and the plan to research North Korea's old documents)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9 최종저작일 2008.02
27P 미리보기
북한의 고문서 연구현황과 북한고문서 조사방안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문서학회
    · 수록지 정보 : 古文書硏究 / 32권 / 119 ~ 145페이지
    · 저자명 : 정수환

    초록

    북한의 고문서와 관련된 연구 실태에 대한 파악은 그동안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최근 급속한 남북 학술교류의 진전에도 불구하고 북한의 고문헌(고문서, 고서) 정보에 대한 접근은 극히 제한적인 실태이다. 본고는 이러한 현실 속에서 북한의 고문헌, 특히 고문서의 연구현황 및 소장실태를 현재적 상황에서 정리하고 북한 고문서에 대한 관심과 조사·연구를 촉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논문의 본론은 세 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두 번째 장은 북한의 문화유산 정책과 고문헌에 대한 관심의 추이를 살펴보았다. 세 번째 장은 고문헌과 관련한 수집 및 연구 실태를 살펴보았다. 네 번째 장은 향후 예상되는 남북간 고문서 상호 협력 방안에 대해 검토하였다.
    북한에서의 문화유물 정책은 1970년대를 기점으로 구분할 수 있다. 해방 이후부터 1970년대 이전까지는 민족문화유물에 대한 대대적인 조사 및 보수 움직임이 일어났으며, 이는 향후 북한의 문화유물 정책의 근간이 되었다. 1980년대 문화유물 정책에서 김정일 중심체제가 구축되고, 1990년대 관련법의 정비가 있었으나 1970년대 이전의 성과가 발전적으로 계승되지는 못하였다.
    북한에서는 해방이후부터 1960년대 후반까지 ‘문화유물보존국’ 등과 같은 조직을 설치하고 관련한 각종 법령을 정비하였다. 당시 일관된 정책적 방향을 견지하고 의욕적으로 고문서자료에 대한 수집과 조사사업을 추진하였다. 그러나 1958년~1974년까지 지속된 북한 내부의 정치적 혼란 이후 새로운 자료의 발굴은 미미하였을 뿐만 아니라 연구에 있어서도 고문서를 활용한 연구는 큰 진전이 없었다.
    고문서를 이용한 대표적인 연구자는 홍희유, 김선호, 장청욱, 홍기문, 허종호 등을 꼽을 수 있다. 현재 이들의 연구물에 인용된 고문서 자료의 현황을 통해 북한 내 주요 자료 소장처를 파악할 수밖에 없는 한계가 있다. 주요 소장처는 사회과학원 역사연구소, 사리원역사박물관, 민속학박물관, 중앙역사박물관 등이다. 그리고 김일성종합대학 도서관 목록집을 통해 일부 고문서의 현황을 파악할 수 있다. 이들 외에도 지방의 주요 박물관에도 고문서가 소장되어 있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북한의 고문서에 대한 조사와 연구는 남북 상호간의 단일화된 접촉 경로를 유지하면서 단계적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 단계별 자료 조사와 연구는 상호신뢰를 바탕으로 사업기반 확충, 자료교환 및 교류전의 개최, 공동연구 및 상시협력체계의 구축으로 진행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사업은 한국학중앙연구원 등과 같은 유관 연구기관 및 전문 연구모임인 한국고문서학회의 관심과 협조를 통해 성과를 이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영어초록

    There has been few studies about the status of old document researches in North Korea. For all the recent rapid growth of academic interchanges betwee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the access to the information on North Korean old literatures (old documents and old books) is still very limited. This paper aims to pull the present status of researches on old literatures (in particular, old documents) and the collections together so to give an impetus to take interest in the research on North Korean old documents.
    This paper's main subject is composed of three chapters. Chapter two pointed out the limited concern about the old literatures in North Korea's cultural heritage policy. Chapter three examined the collecting and researches of old literatures in North Korea. In chapter four, this paper reviewed on how to cooperate in old documents research in the future betwee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The history of North Korea's cultural heritage policies can be divided into three periods. From 1945 to 1970's, there was an extensive movement to survey and maintain cultural heritages. Such movement became the foundation of North Korea's cultural heritage policies. In 1980's, Kim Jeong Il regime had been established. In 1990's, related laws had been readjusted but the performances of 1970's were not absorbed into the new system. Since the extensive survey and maintenance in 1970's, the cultural heritage policy of North Korea has bee tied up until a recent date. Old document research is no exception to such tendency.
    North Korea had consolidated many related laws and established several organizations including the Cultural Heritage Preservation Bureau, from 1945 (liberation from Japanese imperialism) to the late 1960's. At that period, the policy had kept certain consistent direction and progressed some aggressive collection and examination of old literatures. However, after the political confusion that had lasted from 1958 to 1974, there had not been many newly discovered material and, moreover, significant progress in old documents related research.
    Representative researchers who used old documents are Hong Hee Yu, Kim Seon Ho, Jang Chang Guk, Hong Gi Mun and Heo Jong Ho. Currently, looking into the works of those above is the only way to know the status of main material's collection in North Korea. Major collections are possessed by the History Museum of Social Science Institute, Sariwon History Museum, Folk Study Museum, Central History Museum and Central Museum. The list collections of Kim Ill Seong University contains the list of North Korea's old documents. Major local museums are also much likely to possess old documents.
    For the examination and research on North Korea's old documents, it is necessary to approach in stages with keeping a united access route betwee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Such examination and research will be possible with material exchanges, joint exhibitions, the expansion of research standing on mutual trust and the establishment of joint research and regular cooperation system. In addition, Institutes like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and dedicated society like the Society of Korea Historical Manuscript are expected to get excellent results through interests and cooper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