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擇里志』 異本考 (Consideration about the different versions of T'aengniji)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9 최종저작일 2016.03
36P 미리보기
『擇里志』 異本考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대동문화연구 / 93호 / 99 ~ 134페이지
    · 저자명 : 이도훈, 김세호, 임영길

    초록

    李重煥의 『擇里志』는 최고의 인문지리서라는 평가를 받으며 인문・지리・역사・경제 등 수많은 분야에서 연구되어 왔지만, 초기 원형은 짐작할 수 없으며 ‘擇里志’라는 서명조차도 확정되지 않았다. 이는 대략 130여 종 이상으로 추정되는 『택리지』 異本들이 체계적으로 정리・분석되지 않은 것이 가장 큰 원인이다. 그러므로 본고에서는 『택리지』 이본 가운데 善本 20여 종의 원문교감을 통해 대략적인 표준형 원문을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몇몇 외적인 요소들까지 포함하여 여러 이본을 계열화하고 각각의 특징을 서술하였다.
    주요 분류기준은 다음과 같다. 첫째, ‘擇里志’, ‘八域誌’ 등 50여 종의 서명, 둘째, 「八道」와 「卜居」의 세부목차와 「四民總論」・「總論」의 수록양상, 셋째, 李瀷・鄭彦儒 등이 남긴 序跋과 南師古의 「十勝保身福地」, 이익의 『星湖僿說』 등의 부록, 넷째, 원문 교감사항이다. 이를 바탕으로 우선 초기본으로 추정되는 이본들을 분류, 해당 이본들은 『택리지』가 완성된 직후에 필사되어 원본에 가장 가까운 형태를 지니고 있음을 밝혔다. 그리고 서발과 부록의 수록형태, 유사한 서명을 기준으로 계열화하기도 하였다. 이외에 본문의 일부 내용이 雙行註 형태로 기록된 계열, 유사한 본문이 수록된 계열, 특이한 부록들을 수록한 계열로 분류하여 그 특징들을 서술하였다.
    이러한 계열화 작업의 성과는 모든 이본을 망라하지 못했기에 일종의 미완성의 결과물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본고의 말미에 첨부해 둔 이본들을 비롯하여 추후 여러 이본들의 특징을 규명하고 추가적인 계열화 작업을 시행해 나가는 데 밑거름이 될 것이라고 확신한다.

    영어초록

    T'aengniji(擇里志) written by I Jung-hwan(李重煥) received the excellent reviews in human geography book. It has been studied in several academic studies like humanities, geography, history and economics. However, we couldn't only guess the original, but also decide the title T'aengniji correctly. It's because the different versions of T'aengniji which is more than 120 were not organized systematically. In this study, we settled the standard by the textual critic about 20 good versions. So we classified according to similar contents and wrote it's each features on results.
    Our standard of classification is as in the following. First, it depends on the title of 50 versions's book title like T'aengniji or p'alyŏkchi(八域誌). Second, it was decided the contents of p'alto(八道) and pokkŏ(卜居), or the format of Saminch'ongnon(四民總論) and ch'ongnon(總論). Third, we verified the prefaces and epilogues written by I ik(李瀷) and Jŏng ŏn-yu(鄭彦儒) and so on, and confirmed the supplement written by Nam Sa-ko(南師古)’s Sipsŭngbosinbokchi(十勝保身福地) and I ik’s Sŭnghosasŭl(星湖僿說) and so on. Finally, it was based on textual critic.
    We reached a conclusion that some different versions are very similar to the original according to our standard of classification. We also classified several different versions following the book name, or the format of prefaces, epilogues and supplement. In addition to that, we defined characteristics about other things. One is that a pair of line annotation substitutes for body text. The other one is that has similar contents. The last one is that has unique supplement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still incomplete, because we couldn't checked every different versions. However, we attached the list of other different versions at the end of paper. We expect that this list will help follow-up studies about T'aengniji.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동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