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古庵 祥彦 大宗師 생애와 사상의 특징 일고 (A Study of the Characteristic of Life and Thought of the Most Venerable Goam Sangeon)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9 최종저작일 2009.08
24P 미리보기
古庵 祥彦 大宗師 생애와 사상의 특징 일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선학회
    · 수록지 정보 : 禪學(선학) / 23호 / 109 ~ 132페이지
    · 저자명 : 이영호

    초록

    古庵 祥彦(1899~1988) 대종사의 법어집과 평전을 중심으로 그의 생애와 사상의 특징을 나름대로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현재 한국불교를 대표하고 있는 대한불교조계종의 통합종단 출범이후 3차에 걸쳐 종정으로 추대되는 등, 1960년대 말부터 80년대의 격동기에 한국불교의 최고 어른으로서 불교계를 포함하여 우리 사회를 이끌며 그 체험과 지혜를 자비롭게 회향하다가 입적한지 20년이 지났지만, 그 동안 고암의 생애와 업적 및 사상에 대하여 학술적 조명과 평가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비록 지난세기에 주로 산중의 전통적인 방법을 통해 수행했던 인물이었지만 그의 수행관과 회향관을 통해 현재의 수행자들이 스스로를 비추어 보고 미래를 준비하며 회향하는데 중요한 시사를 얻을 수 있었다고 본다.
    고암의 삶과 수행을 보면, 여러 가지 전통적 수행방법의 장점을 주체적으로 수렴하고 소화하여 종합한 개방적 접근으로서, 통상적인 선사나 강사 혹은 율사들이 자기 전공분야에 집착 내지 독선적 편향성을 극복하고, 선ㆍ교ㆍ율(禪ㆍ敎ㆍ律)을 등지겸수(等持兼修)하며 중도실상(中道實相) 지향과 원융무애(圓融无涯)한 불이사상(不二思想)에 입각한 조화로운 수행자의 청백가풍을 보여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의 회향 모습을 보면, “수처작주 입처개진(隨處作主 立處皆眞)”의 자유자재한 법력으로, 때와 장소를 막론하고 당신을 필요로 하는 곳에 몸소 찾아가서 자비법문으로 중생의 구제와 불사성취에 최선을 다했으며, 항상 스스로는 법희선열(法喜禪悅)을 누리되 세상의 대중들과 고락을 함께하는 동체 대비의 보살행을 체현함으로서, 십우도(十牛圖)의 “입전수수(立廛垂手)”와 같은 아름다운 사회적 회향을 통해, 자신이 성취한 지혜와 자비를 세상에 활용하는 전형적 선사의 삶을 배울 수 있다.
    고암이 주어진 시대적 혼란 속에서 기존의 방법을 통해 주체적으로 수행하고는 노령에도 불구하고 국내는 물론, 국제적 교화활동을 펼치다 서거한 삶은 투철한 사명감과 원력을 바탕으로 하여 진보적이고 개방적인 선각자, 즉 대승보살의 모습을 보여준 것인 바, 이는 오늘날에 더욱 필요하며 본받아야 할 귀중한 선례라 할 수 있다. 고암 대종사 관련의 산재된 자료의 발굴과 수집 및 연구를 통해 그 업적을 공정히 평가하고 모범적 삶과 사상을 건전히 현창해야 할 필요가 있다.

    영어초록

    It is a research and study that to review and appreciate the life and thoughts of the Most Venerable Goam Sangeon (1899-1988), through the principal sources of him, such as a records of his Dharma Talks and a critical biography. So far in these days, there has not been a proper research about Goam, who has passed away 20 years ago, considering he was one of the great spiritual leader of Korea during the late sixties and eighties in the last century as the Supreme Patriarch of Jogye Order of Korean Buddhism and a member of the National Advisory Council on State Affairs. Though he seems to be a typical Buddhist monastic who practiced the traditional way of monk in mountain, we could learn from his life and get inspiration from his views and thoughts for preparing our social services in future, as well as reflecting our lives and practices of the present.
    The life and practice of Goam shows that he subjectively leaned and integrated the traditional ways of practices in Buddhist meditation, doctrines and precepts equally through the middle-path and non-duality to overcome the self-centered manner of contemporaries for attaining harmonious enlightenment and the perfect personality, as a model of ideal practitioner. We could appreciate that he realized his serving mission to the people of community and society through living the life of Seon(Chan/Zen) Master as well as the life of Mahayana Boddhisattva by sharing wisdom and compassion based on the attainment of his practices and experiences.
    In conclusion, it can be said in short that, we could point out the characteristics of Goam's life and thoughts in two aspects as follows: First, in religious practical aspect, he has been known as the most venerable Seon Master but he was really an expert in the Gyo and Yul (doctrinal and preceptive studies), as well as the Seon (meditative), for being in dignity and integrity of the patriarchal master in terms of Buddhist tradition. Second, in social sharing and missionary aspect, he lived and dedicated his life to save the people of the world as the enlightened Seon master, who returned to the society of world to care people by his wisdom and compassion as well as the Mahayana Bodhisattva who reincarnated in the world and manifests compassion for people by his own intention and wisdom. Goam seems to be an ideal model in terms of religious leader for contemporary monastics and others for spiritual lives, and we have to study extensively through collecting and analysing the related materials of Goam for appreciating and evaluating properl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禪學(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