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明律의 변천과 문체, 그리고 『大明律直解』의 저본 (On the development and the style of Ming Code, and the original one for Daemyeongryuljikhae(大明律直解))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9 최종저작일 2013.10
30P 미리보기
明律의 변천과 문체, 그리고 『大明律直解』의 저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어사학회
    · 수록지 정보 : 국어사연구 / 17호 / 167 ~ 196페이지
    · 저자명 : 박성종

    초록

    『大明律直解』에 실린 明律은 洪武22年律이 아니다. 『대명률직해』 緫目의 ‘凡四百五十六條 計三十卷’은 22년율의 30卷 460條와 분명 다르다. 『明太祖實錄』의 기사들을 검토해 본 결과 『대명률직해』 원간본의 저본은 9년율을 바탕으로 하되 10개 條가 늘어난, 홍무16년(1383) 9월 이전에 반행된 明律이다. 이것은 새로 제정한 朝叅牙牌律이 수록되지 않았으며, 刑律 受贓 官吏受財條에 刑을 가중한 ‘各遷徙’라는 문구가 삽입되지 않은 사실로써 방증된다.
    『대명률직해』 異本들 중에는 蓬左文庫本 계통이 가장 이른 선본이다. 그런데 蓬左文庫本에는 저본에 없던 율문이 추록된 것들이 있다. 緫目과는 달리 본문에서는 刑律 訴訟篇과 受贓篇이 한 조씩 늘어 각각 12조와 11조이며, 홍무17년(1384) 12월 姦乞養義女者에 대한 加一等 처벌 내용이 이두문 번역 없이 삽입되어 있다.
    明律을 기준으로 보면 律書들은 시간상으로 『大明律直解』 蓬左文庫本 → 律解辨疑 → 『大明律講解』 → 洪武30年律로 이어진다고 할 수 있다. 이는 결국 洪武9年律에 바탕을 둔 456조의 明律 → 洪武18-19年律 → 洪武22年律 → 洪武30年律로 바뀌는 과정을 보여 준다.
    明律의 율문은 『唐律疏議』와 마찬가지로 고전한문에 바탕을 둔 문어투로 작성되어 있다. 따라서 明律의 문체는 白話文도 아니요, 漢文吏牘體나 蒙文直譯體, 그리고 漢兒言語를 기록한 漢吏文도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明律이 조선의 관원과 식자층에게 다소 어렵게 인식된 까닭은 吏文에 자주 쓰이는 용어들이 섞여 있기 때문이다.

    영어초록

    The original Ming code for Daemyeongryuljikhae(大明律直解) published in A.D. 1395 is not the one issued in A.D. 1389. The Ming code in the year 1389 contains 460 articles, but on the contents page of Daemyeongryuljikhae it says that the total amount of articles is 456. It is certain that the original script code for Daemyeongryuljikhae is the one issued before September, 1383. The absence of two examples proves this fact. One is the article which prescribes that every government official should put a identifying plate around his neck according to his official grade when entering emperor's palace. And the other is an additional punishment that officer should be unwillingly moved into another place when committing a bribery misdeed.
    The oldest and good version of Daemyeongryuljikhae is now preserved at Hosabunko(蓬左文庫), a book-collection library located in Nagoya(名古屋) of Japan. Hosabunko's version actually contains 458 articles and the one-level higher punishment regulation against committing adultery with a legal daughter of his re-married wife's own. These two additional articles and the regulation seem to have been supplemented at the time of publishment of Daemyeongryuljikhae.
    Ming code and its related books can be arranged in order from the oldest as follows; Hosabunko’s version of Daemyeongryuljikhae → Yulhaebyeonui(律解辨疑) in A.D. 1386 → Daemyeongryulganghae(大明律講解) → Ming code of Hongwu(洪武) 30th year. It can be paraphrased into follows; Ming code containing 456 articles based on Hongwu 9th code → Hongwu 18-19th code → Hongwu 22nd code → Hongwu 30th code.
    Ming code was written in classical Chinese sentences, and Dangryulsoui(唐律疏議) had been also too much alike. The sentence style of Ming code is neither colloquial Chinese nor imun(吏文), which had been written on official government's documents by Chinese clerks. But learned Koreans had found a little difficulties nonetheless, because more than a few words and expressions originated from imun are included in Ming cod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국어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4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