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디지털 아카이브 그리고 파라-인덱스: 왈리드 라드의 아틀라스 그룹 (Digital Archive and Para-Index : Walid Raad’s the Atlas Group)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9 최종저작일 2016.05
22P 미리보기
디지털 아카이브 그리고 파라-인덱스: 왈리드 라드의 아틀라스 그룹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예술과미디어학회
    · 수록지 정보 : 예술과 미디어 / 15권 / 2호 / 11 ~ 32페이지
    · 저자명 : 최종철

    초록

    본 논문은 레바논 출신의 미디어 작가 왈리드 라드(Walid Raad)의 아카이브 프로젝트, <아틀라스 그룹 (the Atlas Group, 1989-2004)>을 중심으로 오늘날 새로운 예술 매체로 부상하고 있는 디지털 아카이브의 예술적, 정치적, 기술적 가능성을 탐구한다. 라드의 <아틀라스 그룹>은 1975부터 1991년까지 대략 15년간 지속된 레바논 내전에 관한 기록이다. 레바논 국내외의 다양한 기록물 보관소에서 수집된 아카이브의 사진, 텍스트, 비디오 등은 그러나 객관적인 역사적 사실에 기반한 것이 아니라, 그러한 사실들을 다양한 상상의 인과관계 속에서 재구성한 허구적 내러티브에 기반한다. 라드는 이 조작된 아카이브를 통해 레바논 내전에 대한 역사의 오인과 망각, 비극과 외상의 지속성을 드러내고자 한다.
    라드의 허구적 아카이브에서 사진 이미지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 왜냐하면 사진들은 고유한 매체적 특성인 인덱스성(지시/지표적 기호기능)에 의해 라드의 역사적 상상물들에 어떤 사실적 개연성(현전적 지시성)을 부여하기 때문이다. 특히 이러한 개연성은 <아틀라스 그룹>이 소통되는 디지털적 공간에서 더욱 유의미하고 광범위한 파급력을 생산한다. 반복과 확장, 상호성과 가상성에 기반하는 디지털 기술-이미지들은 라드의 조작된 기억들을 무한한 데이터의 연접기능에 편입시킴으로써, 허구를 그럴듯한 것으로, 소통 가능한 것으로 만들어 주는 것이다. 조르쥬 디디-위베르만이 ‘지시성의 환상(fantasy of referentiality)’이라고 부른 이러한 인덱스의 디지털적 확장이 라드의 아카이브 전반에 드러난다. 논자는 실재보다 더한 실재감으로 망실된 역사적 외상을 집요히 지시하는 이러한 디지털적 인덱스들을 파라-인덱스(para-index)라는 용어로 부를 것이다. 파라-인덱스란 디지털이라는 기호 체계의 보다 큰 몸 안에 기생(parasite)하는 지표적 기호이자, 사진-인덱스의 분열과 편집증적(paranoid) 귀환 속에서 기능하는 심리적 기호이다. 논자는 이 용어를 통해 라드의 디지털 아카이브가 어떻게 레바논의 역사적 외상을 망각과 오인으로부터 귀환시키는지, 그리고 이러한 귀환이 어떻게 한 국가의 여전한 외상을 징후화하고 치유를 예기하게 되는지 살펴볼 것이다.

    영어초록

    Focusing on the Atlas Group (1989-2004), a digital archive project created by Lebanese American media artist, Walid Raad, this paper explores artistic, political, and technological possibilities of the digital archive that has risen as one of the most promising mediums in the 21st century art world. The Atlas Group deals mainly with the Lebanese Civil Wars lasting from 1975 to 1991. Using various pictures, notes and videos collected (and fabricated) from in and outside of Lebanon, the archive constructs an imaginary architecture based on fictional narratives about the country’s traumatic past. This fictional archive thus reveals, with more intense emotional impacts, ruptures in history deepened by oblivion, misunderstanding, and perpetual trauma.
    Photography (or photographic imagery) takes a very important position in Raad’s fiction: photographs turn the fiction into something more than a fiction through the proximity of their indexical force, or through ‘the mystic alchemy’ of what Roland Barthes called “there-has-been,” the noema of photography. Digital, where Raad’s archive perches on, enlarges this proximity, because the digital makes the fictions plausible and communicable by repeating them, circulating them, proximating them, or virtualizing them.
    What George Didi-Huberman calls as “the fantasy of referentiality,” now expanding even further in digital, is shown all over the Raad’s archive. Such fantasy-indexes fixed in digital can arguably be called the ‘para-index,’ as an indexical sign hatching and living in the bigger body of digital sign system (like a parasite), or as a psychic reference to what has been gone that functions in its paranoiac return. With this para-indexical framework, I will examine how Raad’s digital archive brings back the forgotten history in its fictional return, and how this return symptomizes (and thus prefigures the remedy) the unfinished trauma of Leban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3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