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호남지역 마한과 백제, 그리고 가야의 상호관계 (The Interrelation between Mahan, Baekjae, and Gaya in the Honam Region)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9 최종저작일 2019.10
31P 미리보기
호남지역 마한과 백제, 그리고 가야의 상호관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호남고고학회
    · 수록지 정보 : 호남고고학보 / 63권 / 4 ~ 34페이지
    · 저자명 : 김승옥

    초록

    이 글의 목적은 호남지역 마한과 백제, 그리고 가야의 상호관계를 논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먼저 물질문화를 통한 정치체의 동정과 상호관계에 대한 이론적 전제 및 방법론에 대해 살펴본다. 다음으로 호남지역 초기철기∼삼국시대 문화의 다양성과 마한의 시공간에 대해 논의한다. 마한의 시간적 전개과정은 물질문화와 문헌기록으로 볼 때 조기-전기-중기-후기로 나눌 수 있는데, 획기별로 마한의 주요 공간이 이동하였고 물질문화의 내용과 성격 역시 다양하게 나타난다.
    이 글에서는 호남지역 마한과 백제, 가야의 상호관계를 3단계로 나누어 살펴본다. 1단계(3세기 중반∼4세기 중후반)는 호남지역에서 마한과 백제, 가야가 상호관계와 교섭을 시작하는 시기이다. 이 단계의 마한 문화는 호남 서부 일대에서 전성기를 누리게 되고, 금강 상류의 진안고원과 운봉고원 일대를 제외한 섬진강 전역에 나타난다. 마한 문화의 지역적 차이는 서부와 동부로 대별되는데, 서부는 물론이고 동부에서도 소지역별로 다르게 나타난다. 서부와 상대적으로 이질적인 섬진강 중류와 하류, 보성강권 문화는 영산강 상류와 서남해안의 문화들과 밀접한 관계를 맺게 된다. 호남지역, 특히 영산강유역의 마한 정치체는 중서부 지역 백제나 마한 정치체, 경남 서부의 금관가야와 활발한 대외관계를 보이게 된다. 이러한 대외교섭은 중심과 주변간의 관계가 아닌, 소위 ‘동등 정치체간 교호관계’로 볼 수 있다.
    2단계(4세기 후반∼5세기 후반)에 접어들면 전북 서부 일대는 백제의 지배영역으로 편입되지만 일부 거점지역을 제외한 영산강 일대는 정치와 문화의 자율성을 누렸던 것으로 판단된다. 섬진강유역권에서는 마한 문화가 점차 쇠퇴하면서 백제, 아라가야, 소가야의 문화요소가 혼재하게 된다. 그러나 5세기 중반 경에 이르면 백제와 대가야 세력이 치열한 각축을 벌이게 되는데, 그 핵심지대는 금강 상류와 섬진강 중류 일대로 추정된다. 마지막의 3단계(6세기 전반∼중반)에 이르면 백제가 호남지역 대부분을 영역화하기 시작하며 6세기 중반 경에는 직접지배가 완료되는데, 이는 물질자료와 문헌기록에서 입증된다. 영역화가 가장 늦은 지역은 섬진강 일대로 볼 수 있는데, 상류와 중류를 장악한 백제는 이후 운봉고원과 장수의 대가야 세력, 하류의 任那四縣을 정복하게 된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interrelation between Mahan, Baekjae, and Gaya in the Honam Region. To this end, we first look at the theoretical premises and methodologies for examining the evolution and interrelation of political bodies based on material culture. Next, we discuss the diversity of the cultures within the Honam region from the early Iron Age to the Three Kingdoms period, as well as the space-time of Mahan. Based on material culture and written records, the temporal development of Mahan may be segmented into the initial- early-middle-late periods. The key spatial sphere of Mahan saw changes along with the progression of the periods, accompanied by diverse changes in the content and nature of its material culture.
    This study considers the interrelation between Mahan, Baekjae, and Gaya in the Honam region through three stages. The 1st Stage (middle 3rd century ~ middle-late 4th century) was one where interrelation and negotiations began between Mahan, Baekjae, and Gaya in the Honam region. During this stage, the ancient culture of Mahan reached its peak in the western areas of the Honam region, spreading throughout the Seomjin River area, with the exception of the Jinan highlands in the upper Geum River area and the vicinity of the Woonbong highlands. Regionally, Mahan culture exhibited marked differences between the east and the west, with further differences found in each of the sub-regions in not only the western but also eastern areas. The cultures of the midstream and lower areas of the Seomjin River and that of the Boseong River area, which were relatively disparate from those of the western regions, came to form close relations with the cultures in the upper Youngsan River and the southwestern coastline. The Mahan political bodies of the Honam region - in particular those near the basin of the Youngsan River - pursued active diplomatic relations with the Baekjae and Mahan political bodies in the mid-western regions, as well as Geumgwan-Gaya in the western part of the Gyeongsangnam-do province. Such diplomatic negotiations may be regarded not as a relationship between a core and its periphery, but as an 'interaction relationship between equal political bodies'.
    With the advent of the 2nd Stage (late 4th century ~ late 5th century), the western areas of the Jeollabuk-do province came under the dominion of Baekjae. However, most areas of the Youngsan River - barring certain foothold territories - still retained their political and cultural autonomy. As the Mahan culture gradually deteriorated in the basin areas of the Seomjin River, there was a confluence of cultural elements from Baekjae, Ara-Gaya, and So-Gaya. However, by the mid-5th century, there occurred an intense power struggle between Baekjae and Dae-Gaya - the key areas of this struggle are presumed to be in the upper Geum River area and the midstream of the Seomjin River. Lastly, with the advent of the 3rd Stage (early to mid-6th century), most of the Honam region became the territory of Baekjae, with the establishment of direct control seeing completion by the mid-6th century. This is supported by both material culture and written records. The areas that were the last to come under Baekjae control appear to have been around the Seomjin River. After first subjugating the upper and midstream regions, Baekjae then went on to conquer Dae-Gaya in the Woonbong highlands and Jangsoo, as well as the Four Prefectures of Imna(任那四縣) in the downstream parts of the riv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