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5ㆍ18광주항쟁, 폭력 그리고 시민적 미덕 (The May 18 Gwangju Democratization Movement, Violence, and Civic Virtue)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9 최종저작일 2024.10
37P 미리보기
5ㆍ18광주항쟁, 폭력 그리고 시민적 미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회역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담론201 / 27권 / 3호 / 7 ~ 43페이지
    · 저자명 : 이상원

    초록

    본 연구는 5ㆍ18광주항쟁 관련 연구에서 나타나는 국가와 폭력문제의 재성찰을 바탕으로 5ㆍ18의 정치사상적 의미를 고찰하기 위한 것이다. 본고는 5ㆍ18광주항쟁의 의미는 단순히 국가폭력과 대항이념의 대립문제로 환원되기보다, 군부독재의 폭력에 대한 저항 속에서 드러나는 진정한 국가와 시민적 미덕의 실제적 가능성임을 주장한다. 5ㆍ18에 관한 기존 연구들은 대부분 국가폭력에 대한 비판적 담론에 입각해서 역사적 사실에 대한 진상 규명 그리고 인권과 명예 회복의 문제에 초점을 두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광주 시민들이 겪은 5ㆍ18의 폭력적 경험을 이해한다는 것은 국가폭력에 대한 부정적 규정 이전에 국가과 폭력, 시민성의 근원적 문제에 대한 재성찰을 요청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5ㆍ18과 폭력, 국가 그리고 시민성의 관계를 포괄적 시각으로 접근한 세 가지 저서를 중심으로 논의를 전개한다. 우선 1) 5ㆍ18의 대중봉기적 성격이 내포한 반폭력과 시민다움의 문제를 파고든 김정한의 연구와 2) 5ㆍ18광주항쟁의 해석에서 참된 국가의 지향과 정치적 존재의 문제를 제시한 김상봉의 철학적 접근을 바탕으로, 시민성을 논하는 데 있어서 국가의 주권폭력과 부정의한 독재폭력 구분의 필요성의 문제를 제기한다. 나아가 3) 최정운의 텍스트를 통해 해방광주에서 형성된 절대공동체의 붕괴와 사회적 분열 양상에도 불구하고 지속된 결사항전의 정신에 담긴 시민적 미덕의 실제적 가능성을 탐색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at exploring the politico-philosophical significance of the May 18 Gwangju Democratization Movement (5ㆍ18) by re-examining the issues of state and violence often discussed in relation to this event. Rather than reducing the meaning of the 5ㆍ18 to a mere confrontation between state violence and ideological resistance, I argue that it reveals the existential potential of civic virtue, expressed through the citizens’ resistance to military dictatorship and their vision for a true state. Previous studies in the 5ㆍ18 mostly focus on exposing historical truths, restoring the human rights, and reclaiming the honor of the Gwangju citizens, based on a critical discourse on state violence. In order to understand the violent experiences of Gwangju citizens during the 5⋅18, however, it is necessary to engage in a philosophical reflection on the fundamental nature of violence, the state, and citizenship beyond a simple negative assessment of state violence. In this light, this study draws upon three key texts that provide a comprehensive perspective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violence of the 5ㆍ18, citizenship, and the state. It explores 1) Kim Jung-han’s analysis, which delves into the issues of violence and citizenship implied in the popular uprising character of the 5ㆍ18 and 2) Kim Sang-bong’s philosophical approach, which illuminates the ground of state violence and legitimacy, showing why the moral and civic character of the 5ㆍ18 is inevitably intertwined with reflections on the violent nature of the state. Lastly, 3) through Choi Jung-woon’s reinterpretation of the birth and collapse of the “absolute community,” I suggest that the classical lesson of the 5ㆍ18 is the actual possibility of civic virtues seen in the political prudence and moderation that the citizens upheld even in the face of extreme violence from the military dictatorship.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담론201”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1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