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20년대 마적과 한인, 그리고 아편 (The Bandits, the Immigration Koreans, and Opium in The 1920'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9 최종저작일 2016.09
40P 미리보기
1920년대 마적과 한인, 그리고 아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민족운동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민족운동사연구 / 88호 / 41 ~ 80페이지
    · 저자명 : 박강

    초록

    1920년대 만주 및 연해주지역의 마적과 이 지역 이주 한인 관련 사료들을 살펴보면 일부 연관되는 부분들이 눈에 들어온다. 마적이나 이주 한인들 가운데는 대체로 국경지역 또는 그 인근지역에서 마적활동을 행하거나 이주하여 생활하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국경지역 마적의 주요 수입으로 아편수입을 무시할 수 없었는데 이 지역 한인 관련 사료에서도 아편 관련 언급들이 눈에 띤다. 1920년대 마적과 한인, 그리고 아편은 상호 어떤 연관성이 있었던 것일까? 본 논문은 위와 같은 의문점에서 출발하여 1920년대 국경지역 또는 변경지역에서 활동한 마적과 이주 한인과의 관계, 그 속에서 아편은 어떠한 관련성이 있었는지 등을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중국 근대사에 있어서 만주하면 빼놓을 수 없는 문제 가운데 하나가 마적이다. 마적의 활동은 군벌통치시기의 잦은 전란과 변경지구의 불안정한 생활조건과 관련이 있었다. 1920년대 만주지역은 장쭤린 동북군벌이 북경으로 입성함에 따라 군벌 간의 전쟁에 얽히게 되었고 이로 인한 재정적 곤란도 야기되었다. 이러한 만주의 정치적 공백은 마적이 창궐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였다. 아울러 만주에는 식민지 조선과 러시아간 국경을 이루는 변경지역이 있었고 이에 인접한 산맥 등이 있었다. 이러한 지리조건은 마적이 활동하거나 은거하기에 유리한 장소를 제공하였다. 특히 길림성은 이러한 조건에 가장 부합되는 곳이었고 마적의 활동도 가장 왕성하였다. 마적의 횡행과 증가에 대해 동북군벌정권은 여러 가지 대책을 강구하였지만 해결이 쉽지 않았다.
    만주에서 횡행했던 마적들이 그 집단을 유지할 수 있었던 것은 일정 수입원이 확보되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정치적 기타 특별한 목적이 없는 마적에게 있어 주요 수입 활동의 하나는 인질 납치를 통한 금품 강탈이었다. 또 다른 수입원은 촌락이나 현성, 대도시의 습격을 통한 재물 강탈이었다. 특히 현성이나 대도시에 대한 습격은 위험성이 매우 높았기 때문에 다양한 전술이 요구되었다. 마적의 수입원과 관련해서 불가분에 관계에 있는 또 다른 것으로 아편수입을 들 수 있다. 아편수입은 길림, 흑룡강 일대에 발호하는 마적과 그 관계가 매우 긴밀하였다. 언론이나 사료에서는 만주 변경지역에 이주한 한인과의 관련성도 시사하였다.
    사실 식민지 조선이나 러시아 연해주와 인접한 만주 일대의 변경지역은 마적의 활동이 활발한 지역이었을 뿐 아니라 아편의 재배와 한인의 이주도 활발한 지역이었다. 국내 언론기사와 일본 외무성의 사료를 통해 볼 때, 마적과 한인 그리고 아편 재배의 관련성은 무시하기 어렵다. 1924년의 통계를 보면 한인의 만주 이주 인구는 길림성이 약 38만 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두만강 대안인 간도에 집중해 있었다. 그 다음이 봉천성으로, 약 17만 명이 압록강 대안에 많이 거주하였다. 길림성 동부지역과 접한 연해주에도 약 15만 명의 한인이 이주하여 거주하고 있었다. 언론 보도를 통해 볼 때 마적들은 두만강과 압록강 대안의 변경지역을 중심으로 약탈을 일삼았다. 압록강 대안에서는 집안, 두만강 대안에서는 간도, 그리고 연해주에 대한 피해가 컸다. 변경 일대에 대한 마적의 피해는 중국인과 함께 이들 지역에 이주한 한인들의 피해 역시 적지 않았다.
    언론 보도를 통해 볼 때 이들 변경지역 일대에서 활동한 마적들은 대체로 아편수입과 관련이 깊었으며 한인들의 아편재배도 어느 정도 연관성이 있었음을 엿볼 수 있다. 마적들은 특정 환경이 조성되면 연합하여 현성 또는 도시 등의 습격을 계획하곤 하였다. 그 특정 환경의 사례로 주목되는 것은 먼저 그 해 아편수확이 기대에 미치지 못하였거나 관군의 토벌로 아편재배가 불가능하게 될 것이 예상될 경우였다. 또한 관헌이 아편채취를 방해할 것을 사전에 차단하고자 할 경우에도 연합이 이루어졌다. 이와 같이 마적의 연합을 이루게 하는 요인들을 통해 마적과 아편과의 관련성이 밀접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주 한인들의 아편재배와 함께 마적과의 연관성도 현지 일본 총영사들의 보고 내용을 통해 살펴볼 수 있다. 만주의 산악지대에서 아편을 재배한 한인들 가운데는 국내언론 기사와 같이 마적의 비호 없이 아편을 재배하다가 약탈대상이 된 경우도 있었다. 반면 일본 총영사의 보고와 같이 마적과의 거래를 통해 일정부분을 보호세의 성격으로 납부하는 경우도 있었다. 연해주의 한인 농촌 사회 역시 마적으로부터 보호세 성격의 아편 요구를 받았다. 여기에 불응할 경우 아편 강탈 및 인질 납치 등에 시달려야 했다. 이와 같이 만주의 산악지대에서 아편을 재배했던 이주 한인 궁민이나 안정적인 생활을 추구하며 아편을 재배했던 러시아 이주 한인들 역시 마적의 압박에 시달리며 불안정한 상황에 처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요컨대 1920년대 만주와 연해주의 국경 또는 변경지역으로 이주한 많은 한인들은 고국에서 겪던 일제의 수탈을 피할 수 있었지만 현지에서는 또 다른 형태의 어려움들이 기다리고 있었다. 1920년대 군벌통치시대라는 상황 속에서 만주와 연해주 지역에는 마적들이 횡행하였다. 한인들이 많이 이주한 국경지역은 바로 마적의 활동지역과 겹치는 지역이었다. 이들 지역에서 활동한 마적의 주된 수입원 가운데 하나가 아편수입이었으며, 이 지역으로 이주한 한인 궁민 가운데도 일부 아편재배에 관여하는 사람들이 있었다. 따라서 이 시기 마적과 한인은 아편을 매개로 자의든 타의든 연계되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이 시기 마적과 한인이 아편을 매개로 연계되었던 것은, 거주 또는 활동영역이 서로 겹치는 상황에서 마적은 관군의 토벌을 피해 손쉬운 재원마련을 위해 활동하였고, 일부 이주 한인 궁민들은 타국이라는 어려운 환경 속에서 생계유지의 일환으로 아편을 재배하였다는 것에 있었다.

    영어초록

    Looking at the historical records about bandits and immigration Koreans of Manchuria and the maritime province of Siveria in the 1920's, we can see that they were partly related to each other. Bandits worked in the border area or the surrounding area. So did immigration Koreans.
    For bandits opium money from the main income could not be ignored. The recordings about immigration Koreans in the border commented on the opium.
    In the 1920's immigration Koreans of Manchuria and the maritime province of Siveria or the border were able to avoid exploitation of Japanese that they had suffered in the country. But on the ground, another type of difficulties were waiting.
    In the 1920s, China was in an era of warlord rule. At that time mounted bandits were rampant in Manchuria and the maritime province of Siveria. The border region many Koreans moved to and activitis area of bandits were the same area.
    The main income of bandits was opium money. Some poverty-stricken of immigration Koreans was involved in opium cultivation. So through opium, bandits and immigration Koreans were linked regardless of their will.
    Avoiding suppression by the army, the bandits were after Opium money that can be gained easily. Some of the immigration Koreans grew opium for a living because they were destitute situation. This was the situations they shar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민족운동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0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