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에서 일본고전문학연구 동향 ‐2005년~2011년을 중심으로‐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9 최종저작일 2012.11
21P 미리보기
한국에서 일본고전문학연구 동향 ‐2005년~2011년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일어일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일어일문학연구 / 83권 / 2호 / 61 ~ 81페이지
    · 저자명 : 최관

    초록

    ある国の本質を理解するには、その国の古典を理解するにしくはない。古典をどの程度理解しているかが、その国に対する理解の水準を示すともいえる。本稿は、こうした観点から韓国での日本古典研究の現況と課題、そして古典翻訳について考察した。まず、古典研究の全体的な状況を把握するため、15登載誌に掲載された古典関係論文数を2000年から2011年までの年度別に整理した。2000年の93編から2004年の156編へと論文数が急速に増加しており、2005年からはほぼ130編前後の論文が継続的に生産されてきた。これらを古典研究者が主に活動している8つの主要学会誌を対象として時代別に論文数を分類すると、中古(平安時代文学)が258編でもっとも多く、次に近世が200編、中世100編、上代(奈良時代文学)90編の順となる。ジャンル別にみると、散文関連論文が428編となり、韻文142編、劇文学40編に比して圧倒的な比重を占めている。これは、 古事記 日本書紀(上代) 、 源氏物語 枕草子 (中古)、 平家物語 や『徒然草 (中世)、井原西鶴や上田秋成の近世小説など、全時代にわたって重要作品に関する論文が執筆されているからくるとみられる。韻文では上代の 万葉集 、中古の和歌、中世の連歌、近世の俳諧に論文が集中している。また、中世の能、近世の文楽や歌舞伎などの劇文学は数名の研究者に依存しているのが現状である。2005年以後の7年間の古典研究の流れを概略すれば、それ以前の幾何級数的な論文数増大期を過ぎ、130余編の論文がコンスタントに発表される段階にきており、多様な方面から模索されてきた時期であるといえる。一言で言えば、量的膨張後の質的模索期であったといえよう。現在、3.11東日本大震災の影響により、韓国での日本研究が萎縮傾向を見せている状況下において、既存の日本古典文学研究も一大転換期を迎えている。現在の危機状況を克服するために、第一にテクスト中心の論文作成、第二に通史的でありかつ共時的である研究領域の開拓、第三に比較研究および東アジア的観点からの研究の活性化、第四に古典の大衆化作業の必要を提案した。

    영어초록

    To understand the nature of a country is equal to understanding the classical literature of the country and how much we understand the classical literature reveals to what extent we understand the country. In this view, this study examines the current situation and the challenges of research on Japanese classical literature and its translations in Korea.
    First, in order to grasp the entire situation of Japanese classical literature research in Korea, I examined articles about Japanese classical literature published in 15registered journals in Korea and sorted them annually from 2000 to 2011. The number of articles rapidly increased from 93 in 2000 to 156 in 2004, and about 130 articles were consecutively published from 2005 to 2011. Then, in chronological order I categorized the articles from eight journals scholars of Japanese classical literature regularly contributed to.
    According to genre, 428 articles are related to "prose" and 142 are related to "verse." "Prose" and "verse"are given considerable weight according to the number of articles, compared to the 40 about dramatic literature. This isbecause the articles deal with important literature works from the entire historical periods, such as "Kojiki" and "Nihon Shoki" from ancient times (Kodai), "GenjiMonogatari" and "Makura no Sohshi" from the middle ages (Chuko), "Heike Monogatari" and "Tsurezuregusa" from the medieval era (Chusei), the novels by such as Ihara Saikaku and Ueda Akinari from early modern times (Edo). Verses, such as "Manyoshu"from ancient times, Waka from the middle ages, Renka from the medieval era and Haikai from early modern times are mainly considered in the articles. And only a few scholars have published articles on dramatic literature such as Noh from the medieval era, Bunraku and Kabuki from early modern times.
    Thus, through the review of Japanese classical literature research for seven years since 2005, we can see that we have been through a period in which the number of articles had a geometric progression, and that we have now entered a period in whichmore than 130 articles are constantly published each year and Japanese classical literature is explored from various aspects. In a word, we have entered a certain period when we arepersuing for qualitative aspects of Japanese classical literature,after a quantitativeexpansion of the number of articles about Japanese classical literature.
    At present, because of the 2011.3.11 Great East Japan Earthquake, research on Japanese classical literature is at a turning point. In order to overcome this current critical state, I suggest that it may be necessary to 1) write more articles based on texts, 2) explore both diachronic and synchronic research areas, 3) conductresearch from the perspective of comparative literature and also from an East-Asian viewpoint,and 4) work on popularizing Japanese classical litera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일어일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5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