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日本 古學派의 『孟子』 解釋과 茶山 丁若鏞의 『孟子要義』 -仁義禮智에 대한 解釋을 중심으로- (An Interpretation of Mencius of Japanese Kogaku School(古學派) and Mangja-youi『孟子要義』 of Dasan Jeong-yakyong -Centering on the interpretation of In-ui-ye-ji(仁義禮智)-)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9 최종저작일 2009.06
40P 미리보기
日本 古學派의 『孟子』 解釋과 茶山 丁若鏞의 『孟子要義』 -仁義禮智에 대한 解釋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한문학연구 / 43호 / 253 ~ 292페이지
    · 저자명 : 함영대

    초록

    다산은 이전 조선 학자들에 비해 객관적인 관점에서 일본사회와 문물을 바라본다. 일본사회의 변화를 제대로 보려한 현실적 안목이다. 이는 일부 선배 실학자들의 일본에 대한 적극적인 인식을 긍정적으로 계승한 것이다. 그는 특히 일본 고학파 유학을 본격적으로 연구하여 그들의 학문 수준을 높게 평가한다.
    다산은 고학파의 학자 가운데도 이토 진사이와 오규 소라이에 높은 관심을 보이는 데 이들은 경전해석에서 정확한 字義의 파악을 중요시한 학자이다. 이는 청나라 대진의 경학연구방법론과도 기맥이 닿는다. 이들은 모두 경전의 해석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정확한 자의파악을 통해 송학을 극복하려는 시도를 보여준다. 이는 주목할 만한 친연성이다.
    이들은 주자학적 이해라는 선입견을 배제하고 철저한 경전의 맥락을 통해 자의를 파악하려고 하였으며 그 결과 실천적인 윤리와 도덕의 회복이라는 孔孟원시유학의 정신에 다가갔다. 그러나 이들이 경전 본래의 字義를 찾기 위해 다른 경전의 용례를 찾는다든지, 『說文解字』등의 字書를 인용한다든지 하는 등의 노력을 아끼지 않았다고 해서 완전히 객관적이고 중립적으로 태도를 견지한 것은 아니다. 자의에 대한 해석은 字義 자체에 집중되지 않았으며 자의를 부여함에 더 큰 영향을 미친 것은 경전을 바라보는 각 학자들의 삶의 지향과 태도였다. 그것은 자의의 파악에서 가장 근원적인 차이를 낳았다. 그러므로 그들이 특정한 자의의 해석에서 동일한 결론에 도달하지 못한 것은 예견된 결과였다. 결국은 자신의 의도를 관철시키는데 유리한 사례를 가지고 왔기 때문이다.
    그러나 한편으로 보면 이러한 주관적 의식의 투영은 그들의 삶의 지향과 학문의 방향에서 이미 내포될 수밖에 없는 것이다. 독실한 주자학자에서 깊은 방황의 시기를 지나 생과 정감의 실천으로서의 仁學을 내세웠던 진사이가 그러하며, 도학선생보다는 백가류의 선생이 되기를 바랐던 소라이가 그러하고, 학문이란 一身의 깨끗함만이 아니라 천하를 구제하는 드넓은 포부와 자임의식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는 생각을 가졌던 다산에게서 그러하다.
    이것은 송학이 가진 학문으로서의 근본적인 문제에 대한 비판의식에서 제기된 것이다. 仁義禮智를 本性으로 다시 理로 설정하여 삶의 현실에서 유리시켜 버린 송학을 극복하려는 의식이 각각의 같으면서도 다른 방식으로 표출된 것이고, 이것은 당대의 가장 건강하고 첨예한 학술정신이었다. 진사이가 자득을 통해, 소라이는 자신이 처한 사회적 직분에 충실하게 대응하는 과정에서, 다산은 조기의 주석을 포함은 전래주석의 검토와 삶의 지향의 합치를 통해 추구한 결과였다. 形而上의 학문에서 구체적 삶의 실제로 전환하려는 몸부림은 당대 가장 현실적이고 적극적인 학문적 대응이었다. 日本 古學파 학자들에게서 그 先聲을 들은 茶山의 적극적인 호응은 동아시아 실학의 친연성을 잘 보여준다. 아울러 이론과 관념의 나열을 극복하고, 구체적 현실에서 생민과 천하를 위하여 실천도덕을 정립하려고 한 이들의 문제의식, 실학정신은 변함없는 가치로 여전히 꾸준히 탐구되어야할 연구 대상으로 남아있다.

    영어초록

    Dasan viewed the society and civilization of Japan in an objective perspective compared to existing Joseon scholars, which indicates that he had a realistic view on the changes in Japan society, and that he positively accepted the active recognition of Japan among senior scholars of the Realist School of Confucianism. Especially, he studied Japanese Kogaku School confucianism in the full scale, regarding the level of their study high.
    The Kogaku School scholars that Dasan had respect for were Ito Jinsai and Ogyu Sorai. They put much emphasis on grasping the original meaning in the scriptures, which was also related to Daejin's methodology of Jingxue. Notably, this implies the attempt to overcome Songhak by grasping the accurate meaning of words, the basis for interpretation of the scriptures.
    They avoided the prejudice of understanding in Neo-Confucianism perspective, and tried to grasp the meaning of words in the context of the scripture. As a result, they could reach the spirit of early Confucianism of Confucius and Mencius, that is, the restoration of practical ethics and morality. However, the fact that they did not put forth efforts in finding examples in other scriptures to refer to the meaning of words in original scripture texts or quoting books such as Seolmunhaeja『說文解字』 does not mean that they captured objective and neutral meaning of words. Interpretation of meaning of words did not concentrate on the meaning itself, but it was the orientation and attitude of each scholar that affected the designation of meanings, which also made the fundamental difference in grasping the meaning of words.
    No wonder they did not reach the same conclusion although they shared the same goal of grasping the accurate meaning of words. They examined in the context of the scriptures, but they chose cases advantageous to fulfilling their own intentions in the end.
    However, such reflection of subjective recognitions could not but reflect the orientation of their life and direction of their learning. Some examples are Jinsai, who passed the time of wandering in sincere studying Neo-Confucianism, and insisted Inhak as a practice of life and affection after all, Sorai who wished to become a master of Baekga rather than ethics, and Dasan who thought that learning should involve great ambitions to save the world and strong sense of responsibility, not only cleansing one's body
    This was originated from the critical view point on the fundamental issue on leaning that Songhak had.
    The recognition to overcome Songhak that sets In-ui-ye-ji as the original nature and again as Ri and after all removes it from life was shown in various ways, and it was the most sound and outstanding spirit of learning in time. Through self-acquirement as for Jinsai, in the process of faithfully living up to his social position as for Sorai, and through examination of traditional comments including Jogi's and concurrence of the direction of his life as for Dasan, they led to the same result. Such an effort to convert the metaphysical nature of learning into specific representation in life is the most realistic and active response to learning. The active favorable response of Dasan who listened to words of scholars of Japanese Kogaku School well shows the close relationship with East Asia practical science. Besides, the spirit of the practical science, and their recognition to overcome a list of theories and concepts as well as to establish practical morality for the sake of people and the world in specific reality remain as a study subject to be consistently explored and viewed as with constant valu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한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6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0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