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嶠南賓興錄』의 판본과 御考 科賦 試券에 대한 小考 (Thoughts on the versions of Gyonam Binheungrok(嶠南賓興錄) and eo-go(御考) gwabu(科賦) sigwon(試券))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9 최종저작일 2021.06
30P 미리보기
『嶠南賓興錄』의 판본과 御考 科賦 試券에 대한 小考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방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동방한문학 / 87호 / 163 ~ 192페이지
    · 저자명 : 김기엽

    초록

    『賓興錄』은 正祖代에 설행된 지방 별시의 전말을 기록하고 입격한 試券을 수록한 자료이다. 6종의 『빈흥록』 중 『嶠南賓興錄』에는 정조의 御考를 거친 영남 儒生의 우수 科賦 작품이 수록되어 있으며, 批點이 판각된 판본이 존재한다. 이 연구에서는 『교남빈흥록』의 판종을 살피고 御考 批點을 토대로 優等 試券에 나타난 정조의 科賦 평가 기준을 살폈다.
    『교남빈흥록』은 권2 「御考優等試券」까지 수록된 판본과 여기에 「陶山試士壇碑銘」․「頖村致祭時日記」를 追刻하여 부록으로 넣은 판본이 있다. 부록이 추가된 판본과 1792년에 판각된 판본은 구성뿐만 아니라 批點의 형태도 차이를 보인다. 우등 시권에서 批點의 위치는 구절의 2․3․5 字마다 찍혀 있으나, 특정 글자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句 자체에 매겨진 것으로 생각된다.
    『교남빈흥록』의 「御考優等試券」에는 姜世白․金熙洛․金象九․曺深이 작성한 科賦 4편이 실려 있다. 네 사람 모두 30句로 구성된 科賦를 지었으며, 각 句의 4번째 자마다 虛辭를 넣어 6言 科賦의 형식을 준수하였다. 典故 또한 거의 모든 구마다 인용되었는데 三上의 성적을 얻은 姜世白․金熙洛의 시권에는 試題와 동일한 출처의 전고가 빈번하게 쓰였다. 三中의 성적을 얻은 金象九․曺深은 말미에 4言의 亂辭를 넣어 姜世白․金熙洛의 답안과 형식적인 차이를 보였으며, 亂辭 부분에서 정조의 批點을 전혀 획득하지 못하였다. 4언 亂辭의 활용으로 인해 조선 후기 科賦가 요구하는 6언의 規式에서 이탈하게 되는데, 批點을 통해 정조 또한 科賦에 亂辭의 출입을 달갑게 여기지 않았음을 짐작할 수 있다.

    영어초록

    A binheungrok(賓興錄) is a book that contains details of local byulsi(a type of public officer test held for special occasions in Joseon Dynasty) held in Jeongjo era and the selected si-gwon(試券, answers). Among the six types of binheungrok, Gyonam Binheungrok(嶠南賓興錄) contains outstanding works of gwabu(科賦, rhymed pieces written for public officer exams) by yusaeng(儒生)s from the Yeong-nam region, that were directly reviewed by the king(eo-go, 御考). Unlike other binheungroks, bi-jeom(批點, marks left by the reviewer)s are engraved in some versions of Gyonam Binheungrok. This study reviews the versions of “Gyonam Binheungrok” and analyzes the evaluation criteria used by Jeongjo, based on the bi-jeoms he left on the selected answers.
    There is a Gyonam Binheungrok(嶠南賓興錄) version that includes the second book titled “Eo-go-udengsigwon(御考優等試券, selected works reviewed by the king).” There is another version of “Gyonam Binheungrok(嶠南賓興錄)” that contains the additional appendix with the engraved “Dosansisadanbimyeong(陶山試士壇碑銘)” and banchonchijesiilgi(頖村致祭時日記). Compared to the version that was made in the year 1792, the version with the appendix not only has a different structure, but also contains bi-jeoms with different shapes due to the engraving of the bi-jeoms. In the book of selected works, the bi-jeoms are left at the second, third, and fifth letters in certain phrases, but it is thought to have been left to indicate the phrase, not the letter.
    The Eo-go-udengsigwon(御考優等試券) of Gyonam Binheungrok contains four gwabu(科賦)s written by Kang Se-baek(姜世白), Kim Hee-rak(金熙洛), Kim Sang-gu(金象九), and Jo Shim(曺深). Each wrote a gwabu(科賦) with 30 phrases. Each phrase contains heo-sa(虛辭, function word) as the fourth letter and consists of six words(6言), following the typical structure of gwabu(科賦). Almost every phrase contains jeon-go(典故, reference from the classics), and Kang Se-baek(姜世白) and Kim Hee-rak(金熙洛), who got sam-sang(三上) grade, quoted from the same reference that was used in the prompt. Kim Sang-gu(金象九) and Jo Shim(曺深), who got sam-jung(三中) grade, each added a four-word nan-sa(亂辭, a statement summarizing a big idea) at the end, which distinguishes the structure of their works from the works by Kang Se-baek(姜世白) and Kim Hee-rak(金熙洛). None of these nan-sa(亂辭)s won Jeongjo’s bi-jeom. The utilization of nan-sa(亂辭) makes their work sway from the six-word(6言) format that was required in gwabu(科賦)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the lack of bi-jeoms shows that Jeongjo didn’t like nan-sa(亂辭)s in gwabu(科賦)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방한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