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白古通記』와 明淸 시기 ‘雲南史’ 서술 (The Chronicle of Ancient Bai Kingdom (Baigutongji, 白古 通記) and the Rise of the “Yunnan History” during the Ming-Qing Period)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9 최종저작일 2018.06
40P 미리보기
『白古通記』와 明淸 시기 ‘雲南史’ 서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학사학회
    · 수록지 정보 : 韓國史學史學報 / 37호 / 101 ~ 140페이지
    · 저자명 : 정면

    초록

    이 연구는 『白古通記』가 雲南史學史에서 차지하는 위상과 성격을 다시 확인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명 제국 초기에 작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백고통기』 는 현전하지 않으며, 佚文을 통해서만 그 내용을 추정할 수 있다. 大理 지역의역사와 지리, 그리고 각종 설화 등을 포함한 것으로 보이는데, 특히 운남 지역에 들어온 인도 아소카왕 아들을 시조로 하는 ‘백국’의 역사적 계보를 담고 있는 것이 주목된다. 『백고통기』의 역사인식 안에서 張氏의 白子國, 蒙氏의 南 詔國, 段氏의 大理國과 大理總管府는 차례로 이 ‘백국’을 계승하였다. 일부연구자는 이를 근거로 대리 지역 토착 ‘白人(僰人)’ 지식인들이 명 제국의 침공과 동화 정책에 맞서서 자신들의 史乘을 정리하여 『백고통기』를 저술하였으며, 아울러 이 『백고통기』의 전파와 유행이 후대 ‘백족’의 형성에 기여하였다고 주장한다.
    이 글은 이러한 주장이 과장되었다고 여긴다. 아울러 명·청 시기 운남 史志 의 증가는 제국이라는 환경과 토착 지배엘리트의 선택이 만들어낸 결과의 일부일 뿐이라고 주장한다. 즉, 명·청 제국의 지배가 불러온 경제적 환경과 문화적 환경이 현지 지식인에 의한 史志 출간을 자극하고, 그 과정에서 ‘토착 전승’의 채록과 문서화가 촉진된 것이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백고통기』 류의史乘도 채록되었을 뿐이다. 토착 ‘백인’ 지식인들이 ‘민족’적 감정에 의해 이들기록을 선택하였거나, 또 역으로 그것이 ‘민족’을 유지하는 도구가 되었다는증거는 없다.
    당시 대리 지역의 비한족 지식인(혹은 縉紳)들은 家系 단위로 존재하였고, 각각의 이해 관계에 따라 스스로의 행동을 선택하였다. 이들은 물론 전설상의 ‘백자국’으로부터 남조국과 대리국, 그리고 단씨의 대리총관부로 이어지는‘국’의 역사에 대한 기억을 지니고 있었을 것이다. 그러나 명제국 시기 대리 지역에 ‘土司’는 존재하지 않았다. 명제국에 투항한 이 지역의 ‘家’들은 ‘土官’의형태로 가계의 관적 지위를 세습하면서 제국 지배에 협조하거나, 아예 적극적‘修身’을 통해 제국의 관리로 ‘입신양명’하기도 하였다. 제국과 제국의 주류였던 한인 관료들은 그들을 ‘白人’, ‘僰人’ 혹은 ‘民家’로 묶어서 통칭하였지만, 대리 지역 토착 엘리트들인 이들 ‘가’들은 전체를 아우르는 공통의 이해관계와정체성을 갖기 어려웠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osition of the Chronicle of Ancient Bai Kingdom (Baigutongji) wihin the broad historiography of “Yunnan history” as well as its characteristics and limitations. Since the early Ming work is currently lost, one can only make conjecture about its full content through examinations of several fragmentary passages preserved in other documents. In all probabilities, the work included the information about the history and geography of Dali(大理) area, as well as various folktales from the region, Also included in the book is the historical lineage of the ’Bai kingdom(白國)’. The first king of the ’Bai kingdom’ was the son of Ashoka the Great who supposedly came into the Yunnan area. The Bai kingdom was succeeded by Bai state of Zhang clan, the Nanzhao Kingdom of Meng clan, and finally the Dali Kingdom and Dali Chief Administrative Area (zongguan fu) of Duan clan successively. This political lineage reflected the Buddhist world view of the Dali people at the time. Some researchers argue that the ruling elites among Bo people(白人;僰人), native people of Dali, authored Baigutongji, based on their own transmitted historical traditions, to resist against the invasion and assimilation policies of Ming Empire. And the wide circulation of the work contributed to the formation of future ’Bai people (白族)’.
    This article argues this account is an exaggeration. The increasing publication of the local gazetteers and the regional histories during the Ming-Qing period was only a result, among many, caused by the various political and intellectual choices that the indigenous ruling elites made in the context of the Chinese imperial expansion in Yunnan. That is to say, the change of economic and cultural environment under the Chinese rule (such as general economic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Civil Service Exam) stimulated the native intellectuals’ efforts in publishing local gazetteers and regional histories, prompting collection and documentation of ”indigenous traditions”. Historical traditions constituting Baigutongji were also recorded in this context. In other words, there is no evidence to show that indigenous intellectuals recorded the traditions collected in the book, stimulated by “national” sentiment, or that they used the Baigutongji as a tool to maintain the “nation”.
    At that time, non-Chinese intellectuals (or gentries) in the Dali area were organized by the unit of clan and each clan made their political decision individually. chose their own destiny. In all likelihood, the native elites must have not forgotten the history of the native states (guo) that had exited in the area including the legendary Baizi state, the Nanzhao Kingdom, the Dali Kingdom, and the Dali zongguanfu. However, the independent kingdom or Tusi (ie. zongguan fu) no longer existed in the area any more by the Ming period. Instead, the native elites, who had submitted to the Ming, only received the hereditary positions of native offices (tuguan, 土官)’ from the empire, while cooperating with it.
    Furthermore, some of them even actively pursued the personal career success as imperial officials. The Ming empire and the Han Chinese officials in the area called them with various collective names such as Bairen(白人), Boren(僰人) or Minjia(民 家). However, the native elites, divided by loyalty toward their own clan, neither had shared political interests nor a common political and cultural ident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韓國史學史學報”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0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