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燕式土器文化의 확산과 後期 古朝鮮의 토기문화 - 細竹里·蓮花堡類型의 이해를 바탕으로 - (A Diffusion of Yan(燕) type pottery and kojoseon(古朝鮮)pottery)

5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9 최종저작일 2014.12
50P 미리보기
燕式土器文化의 확산과 後期 古朝鮮의 토기문화 - 細竹里·蓮花堡類型의 이해를 바탕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백산학회
    · 수록지 정보 : 백산학보 / 100호 / 193 ~ 242페이지
    · 저자명 : 정인성

    초록

    영남지역에서 회도문화인 와질토기의 발생이 낙랑토기의 영향을 받은 것이 아니라 더욱 소급된다는 주장이 제시되면서 후기고조선 토기문화의 이해가 중요한 과제로 떠올랐다.
    이 글에서는 後期古朝鮮의 토기문화를 단순히 漢文化를 제외한 무문토기유형에서만 찾으려하는 기존의 이해를 비판하고 在地系 무문토기의 바탕에戰國時代 燕國土器의 기술적 영향이 더해진 것으로 보았다. 즉 세죽리-연화보 토기도 후기 고조선토기로 판단하는 것이다.
    이러한 세죽리-연화보 유형의 성격을 보다 분명히 하기 위하여 전형적인연국 토기와 비교를 통해 형태론적인 측면은 물론 기술론적인 차원에서 상호 비교하였다. 그 결과 세죽리-연화보의 연식토기라는 것이 이미 요동지역에서 특화된 토기라는 것을 밝혔으며 그것이 점토대토기라는 무문토기의 바탕 위에 있음을 분명히 하였다. 뿐만아니라 燕國 釜形土器의 확산이 대릉하나 요하 주변을 넘지 못한다는 사실도 밝혔다. 나아가 세죽리-연화보 유형에는 한대가 되어 새롭게 반입된 연토기 요소를 변별할 수 있었다.
    결국 토기문화의 성격으로 보건데 세죽리-연화보에 포함된 燕土器 요소를근거로 전국시대 燕國의 영역지배가 요동을 지나 청천강에 이르렀다는 해석은 문제가 있다. 그 영향력이 일시적으로 요동에 이르렀을 가능성을 완전히부정하지 않으나 세죽리-연화보로 대표되는 이 지역의 토기문화는 燕國의土器文化가 아니라 後期 古朝鮮의 土器文化인 것이다.
    더 이상 미송리형 토기가 고조선 토기를 대표하는 것으로 설명하는 분위기에서 탈피해야 한다. 南越國의 토기문화에서 드러나듯이 고조선 토기에중원 토기의 영향이 상존하는 것은 오히려 당연한 것이다. 중원 물질문화의영향이 전혀 인지되지 않는 공간에서 고조선과 그 문화를 찾으려는 접근방법에서 벗어나야만 고조선이 제 모습을 드러낼 것이라 믿는다.

    영어초록

    As the claim that the occurrences of grey pottery in the Youngnam regionwas not due to effects of Nakrang pottery but is more retroactive has beensuggested, understanding of pottery culture of the late koJoseon(古朝鮮) hasemerged as an important subject.
    In this paper, pottery culture of late kojoseon(古朝鮮) was viewed as notsimply a Han-culture(漢文化), but as a culture that added technical impactof Warring states period(戰國時代) Yanguo(燕國)pottery土器 to the cultureof Mumun(無紋) pottery culture. In another words, Seijukri-Lianhuabaopottery is one of them.
    Along with a fact that typical diffusion of Yanguo(燕國) Pot-type(釜形)pottery does not cross the Liao-ho (River), it has been found that thePot-type(釜形)pottery, which belongs to the Seijukri-Lianhuabao, had becamelocalized on the basis of Pottery with clay stripes(粘土帶土器) in the territoryof Yyodong(遼東).
    In the end, judging by the nature of pottery culture, analysis that the areadomination of the Yanguo(燕國) age of civil wars had past the territory of Yyodong to reach the Chongchon River is problematic. Although thepossibility that their influence temporary reached the territory of Yyodongcan not be completely denied, the pottery culture of this area, representedby Seijukri-Lianhuabao, should be viewed as pottery culture of latekochoseun(古朝鮮), not Yanguo(燕國).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백산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2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