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세기 후반 영남의 喚醒系 僧侶門中과 四佛山畫派 畵僧 (The Monk Lineage of Hwanseongjian and Monk Painters of the Sabulsan School in the late 19th century at Yeongnam)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9 최종저작일 2020.04
27P 미리보기
19세기 후반 영남의 喚醒系 僧侶門中과 四佛山畫派 畵僧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립순천대학교 남도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남도문화연구 / 39호 / 119 ~ 145페이지
    · 저자명 : 이용윤

    초록

    이 글에서는 退雲信謙 이후 19세기 후반 四佛山畫派를 대표했던 意雲慈雨와 霞隱應 祥을 중심으로 환성계 승려문중과의 조력 관계를 고찰하였다. 지금까지 의운자우와 하은 응상에 관한 연구는 19세기 후반 四佛山畫派를 대표하는 두 화승의 조형적 활동과 화풍 적 특징을 규명하는데 머물러 있다. 19세기 후반에 활동한 화승들 가운데 의운자우는 진영이 제작될 정도로 선사로서 존경을 받았으며 하은응상은 오늘날까지 사불산화파를 대표하는 불모로 명성이 이어지고 있다. 두 화승이 선사 혹은 불모로 존경을 받았던 것은 조선 후기 영남에 정착한 환성계 승려문중의 협력과 결집을 통한 출신 화승에 대한 조력과 선배 화승인 퇴운신겸이 일생동안 보여준 선사로서의 삶에 기반하고 있다. 의운자우는 환성계 포월문중 출신인 퇴운신겸의 법맥과 화맥을 동시에 계승하였다. 의운자우는 불화를 조성하면서도 表忠寺 宗正, 大乘寺 重創主로 활동하는 등 문중에서 존경받는 선사로서의 행보를 펼쳤다. 화승이면서도 선사의 면모를 갖춘 의운자우의 존재 는 퇴운신겸에 이어 화승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가져왔으며 이는 사불산화파 출신 화승의 진영이 조성되는 배경이 되었다. 사불산 불모인 하은응상은 환성계 함월문중 출신이 다. 18세기 후반 영파성규로 대표되는 함월문중은 환성계 포월문중 출신인 퇴운신겸과 도 우호적 관계를 형성하였으며 이러한 관계는 하은응상이 퇴운신겸의 화풍을 계승한 19세기 후반 사불산화파의 대표 화승으로 그 이름을 남기는데 영향을 미쳤다. 이와같이 의운자우와 하은응상이 동시기에 활동한 수많은 화승들과 다른 행적을 남길 수 있었던 것은 수행과 공덕을 쌓은 화승을 선사로 인식하고 이들의 활동을 적극적으로 뒷받침하고 자 하였던 환성계 승려문중이 존재하였기에 가능하였다.

    영어초록

    This study focuses on Uiunjau and Haeuneunsang, who represented the Sabulsan School, and explores the assistance relationship with the Monk Lineage of Hwanseongjian. So far, research on Uiunjau and Haeuneunsang has focused in revealing only the figurative activiti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ainting style of the two painters representing the Sabulsan Schools in the late 19th century. Among the monk painters who were active in the late 19th century, Uiunjau was respected enough to paint his portraits and Haeuneunsang still has a reputation as a representative painter of the Sabulsan School to this day. The reason that they were respected as a Seon Master or Buddhist Painter is because of the help from the Monk Lineage of Hwanseongjian settled in Yeongnam during the late Joseon period and the activity of ToeunSingyeom living as a Seon Master in their lineage. Uiunjau succeeded both the Dharma and Paint school of ToeunSingyeom who came from Poweol’s monk Lineage of Hwanseongjian descent. He worked as a respected Seon Master who was active like the Chief Priest of Pyochungsa temple and Jungchangju of Deaseungsa temple while producing Buddhist paintings. His presence as a Buddhist painter and with the qualities of a Seon Master has changed people’s perception of a Buddhist painter following ToeunSingyeom, which became the background of producing portraits of Buddhist painters from the Sabulsan School. Haeuneunsang, Buddhist painter of the Sabulsan School, was from the Hamweol’s monk Lineage of Hwanseongjian descent. The Hamweol’s monk Lineage, represented by YeongpaSeonggyu in the late 18th century, formed a friendly relationship with ToeunSingyeom, a native of the Poweol’s monk Lineage of Hwanseongjian descent. This relationship affected the reputation of Haeuneunsang who succeeded ToeunSingyeom as the Sabulsan school’s representative monk painter in the late 19th century. The fact that Uiunjau and Haeuneunsang were able to have different achievements from the numerous monk painters who were active during the same time period was possible because there was the Monk Lineage of Hwanseongjian that recognized the monk painters who had built the practice and merit as a Soen master and actively supported their activit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남도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1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