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무성산 산신제의 형성과 변천-부전동 대동계문서를 중심으로- (The Formation & Development of the Museong Mountain God Ritual)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9 최종저작일 2009.05
28P 미리보기
무성산 산신제의 형성과 변천-부전동 대동계문서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민속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민속학 / 49권 / 247 ~ 274페이지
    · 저자명 : 박종익

    초록

    공주시 우성면 부전동에는 17세기 이전에 형성된 대동계가 존재한다. 사족중심으로 형성된 이 대동계는 마을자치를 실현하는 한편 무성산 산신제를 시행해 왔다.
    이 논문에서는 부전동 무성산 산신제를 대상으로 그 시원과 성격 및 변천과정을 다루었다. 산신제에 대한 논의에 앞서 부전동의 행주형 입지를 살펴보고 제의공간인 무성산의 생산기반 및 제의공간의 위상을 분석하였다.
    본 논의에서는 부전동 대동계의 문서를 대상으로 산신제의 시원을 탐색하였다. 그 결과 무성산 산신제가 부전대동계에 의해 1854년부터 시행되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이 제의가 기록 시점 이전부터 존재하였을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이어 무성산 산신제가 돌림병과 같은 질병퇴치와 맹수퇴치를 목적으로 시행된 제의임을 확인하였다.
    끝으로 무성산 산신제의 변천과정을 1914년과 1924년에 작성된 각각의 『浮田大洞稧 重修案』을 통해서 살펴보았다. 이들 자료를 통하여 산신제의 물적기반과 제의주체의 역할을 정리하였다. 그리고 『浮田大洞稧 稧員名簿竝 收支簿記帳』 및 『浮田大洞稧 收支簿』를 자료로 1941년 이후부터 2000년대 초에 이르는 제의 변천과정을 논의하였다.

    영어초록

    There exists a mutual-aid society called “Daedong-gae” in Bujeon-dong, Wooseung-myon, Gongju-si, which was organized before the 17th century. The Daedong-gae, whose members were chiefly of noble birth, took a leading part in the government of the town and performed a mountain god ritual.
    This study explores the origin, characteristics and development of the Museong Mountain God ritual performed in Bujeon-dong. Prior to the examination of the ritual, it describes the ship-shaped(行舟形) topography of Bujeon-dong. It also examines the topology of the Museong Mountain as a ritual place.
    The archival documents of the Bujeon-dong Daedong-gae were examined in order to identify the origin of the ritual.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Museong Mountain God ritual was first performed by the Bujeon Daedong-gae in 1854. It was also suggested that the ritual might have existed even before it was recorded. It was assumed that the ritual was performed from the wish to be safe from infectious diseases and beasts.
    『Bujeon Daedong-gae Joongsooan(浮田大洞稧 重修案)』, which were produced in 1914 and 1924, were studied to investigate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the Museong Mountain God ritual. Those data were further reviewed to identify the financial sources and performers of the ritual. 『Bujeon Daedong- gae Membership List & Account Book(浮田大洞稧 稧員名簿竝 收支簿記帳)』 and 『Bujeon Daedong-gae Account Book(浮田大洞稧 收支簿)』 were also examined to determine the changes in the ritual from 1941 to the early 2000’s Such examination is essential for the historical research of the modern development of the ritual by the Bujeon Daedong-ga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민속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4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