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同祖’계보의 변화를 통해 본 王仁, 王辰爾系 씨족 (The family of Wani and Ojinni Viewed through the Changes of Common Ancestry Keifu)

5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9 최종저작일 2016.04
51P 미리보기
‘同祖’계보의 변화를 통해 본 王仁, 王辰爾系 씨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일관계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일관계사연구 / 53호 / 65 ~ 115페이지
    · 저자명 : 서보경

    초록

    『일본서기』에 ‘왕인과 왕진이의 후손’이라 기재된 가와치노후미(西文)씨 일족이 『속일본기』와 『신찬성씨록』의 계보 기록에는 ‘漢 高帝(祖)의 후손인 왕인’과 ‘백제 貴須王의 후손인 진이’의 후손이라 적혀 있다. 이와 같이 왕인과 왕진이계 씨족의 조상전승이 다르게 기재된 것은 왕인계 후미(文), 다케후(武生)씨와 왕진이계 츠(津), 후네(船), 후지이(葛井)씨 등이 각기 改姓을 정당화하기 위해 『일본서기』 단계에 기재된 조상 위에 새로운 시조를 더하여 계보를 조작한 데 그 원인이 있다. 또한 延曆年間에는 왕인계 후미, 다케후씨와 왕진이계 츠, 후네, 후지이씨 등의 ‘改姓請願’이 허가되었다. 고대 일본 사회에서는 ‘改姓請願’이 인정되면 각 씨가 주장한 계보는 공적인 문건이 되었다. 따라서 이른바 ‘始祖加上’을 통해 왕인계 후미, 다케후씨 등은 중국계 이주 씨족이 되고, 왕진이계 츠, 후네, 후지이씨 등은 백제 왕족의 후손으로 분류되어 『신찬성씨록』에 게재되었다.
    또한 교키(行基)와 구다라노코니키시(百濟王)씨는 쇼무(聖武)천황의 대불조영 사업을 매개로 계보상의 「同祖」 관계를 형성하였다. 그 결과 「大僧上舍利甁記」의 명문에 기재된 ‘와니(王爾, 王仁)가 백제 왕자’라는 계보가 공인되었다. 따라서 왕인계 가와치노후미씨가 ‘한 고조의 후손’이라는 계보는 개성을 청원하는 단계의 ‘시조가상’에 의해 만들어진 것이다. 또한 왕인, 왕진이계 씨족의 개성청원이 이루어진 연력년간에 백제계 도래씨족으로 최고의 위상을 보유한 씨족은 왕진이계 츠노무라지(津連)였다. 특히 간무(桓武)천황의 측근으로 활동한 츠노무라지마미치(津連眞道)는 『속일본기』 편찬 작업에 임하면서 후지와라(藤原)씨와 구다라노코니키시씨와 연결되었다. 이러한 관계를 매개로 하여 백제계 이주씨족의 후손인 츠노무라지마미치는 백제 왕족과 계보상의 「同祖」 관계를 형성하였고, 그 결과 왕진이계 가와치노후미씨는 백제 왕족의 후손으로 공인되어 『속일본기』와 『성씨록』에 기재되었다.
    요컨대 왕인과 왕진이계 가와치노후미씨는 근접한 지역에서 ‘의제적 동족’ 관계를 형성하며 ‘문필’에 관한 소양을 갖춘 관인으로 출사할 때나 대학에 입학할 때, 조정의 필요에 따라 동원될 경우는 가와치노후미씨 일족으로 움직였다. 그러나 이들은 ‘문필’이라는 유사 직종에 종사하며 賜姓, 敍位, 任官의 경우만 아니라, 봉사의 기원을 기록한 씨족계보의 기술 내용에 이르기까지 각 씨의 격을 높이기 위한 경쟁을 지속하며 고대 일본의 관인사회에 적응해 나간 존재이기도 했다.

    영어초록

    The family of KawachinoHumiuji(西文氏), which is recorded as the descendent of Wani(王仁) in NihonShoki(日本書紀), is recorded as the descendent of Emperor Gaozu(高祖) of the Han(漢) and the descendent of the Baekje royal family, respectively, in ShokuNihongi(續日本紀) and Shojiroku(姓氏錄). This study was started with the question of why the clans sharing the common ancestry put up different founders. Thus, this study analyzed Kaisei(改姓) applications in the records of Keifu in ShokuNihongi and extract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form of the original texts. The difference between Keifu(系譜) in NihonShoki and the contents in ShokuNihongi is the consequence of changing Keifu by adding another ancestor to the original earliest ancestor in order to justify Kaisei. The fabrication of Keifu for giving authority to the origin was a social phenomenon common in both Torai(渡來) and non‐Torai(非渡來) people through the age of Nara. If Kaisei is accepted, the Keifu maintained by each Uji is acknowledged as an official document. Among the clans of KawachinoHumiuji, accordingly, Wani, Humi(文), Takehu(武生), etc. became Chinese Torai people, and Ojinni(王辰爾), Tu(津), Hune(船), Hujii(葛井), etc. became Baekje Torai people. In this way, the clans came to have different origins. When the GyokiKeifu(行基系譜), in which Wani was recorded as a Baekje royalty, is analyzed, it is clear that this is the result of Keifu fabrication. Because the Baekje royalty should admit Wani as one of the royal family members in order for the Keifu to be officially recognized, this study traced the association between Gyoki and Kudaranokonikisishi(百濟王氏). From the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two were connected through the medium of the project for creating a great statue of Buddha by ShomuTenno(聖武天皇). Based on diplomatic relations among the clans of KawachinoHumiuji, however, the recognized Keifu was maintained not by Humi and Takehu but by TunoMurajiMamichi(津連眞道). In addition, TunoMurajiMamichi and Kudaranokokisishi were combined with each other through the medium of KammuTenno. After all, KawachinoHumiuji is a clan organized constructively based on the commonalities that they immigrated from Baekje, they carried out similar jobs of Humihito(史), and they followed Buddhism. They sometimes moved together under the name of KawachinoHumiuji if necessary, but basically maintained a competitive relationship as they were engaged in similar business of writing. As a result, the family of Tu, Hujii and Hune maintained the superiority over other family, and Tu won the glory of being incorporated into the Baekje royalty, the highest Keifu of clans originating from Baekje.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일관계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2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