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50년대 민속악계의 공연활동 고찰-대한국악원을 중심으로- (A Study of the Performance Activities of Folk Music Society in the 1950s - Focused on the Taehan Kugak Center -)

4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9 최종저작일 2016.12
42P 미리보기
1950년대 민속악계의 공연활동 고찰-대한국악원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음악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음악사학보 / 57호 / 145 ~ 186페이지
    · 저자명 : 김민수

    초록

    1950년대 민속악계에 관한 논의는 전쟁이라는 선입견 때문에 줄곧 침체기(沈滯期)로 규정되면서 그간 논의가 제대로 진행되지 못했다. 이에 본고는 1950년대 민속악계의 정황을 해방 직후 민속악계를 중심으로 결성된 ‘국악원’(國樂院) 즉 1950년 국립국악원(國立國樂院) 직제가 공포된 이후 개칭된 ‘대한국악원’(大韓國樂院)의 산하단체와 구성원들을 추적해 그 실상을 확인해 보았다.
    한국전쟁으로 일시에 와해되어 유명무실해진 대한국악원이 전중 그 존립을 유지할 수 있었던 배경에는 그 산하단체를 자처하며 적극적인 활동을 전개한 여성국극단(女性國劇團)들이 존재했다. 전후에는 대한국악원 산하로 새로운 여성국극단들이 추가로 편입되고 남녀 혼성 창극단인 국극사(國劇社)와 우리국악단까지 가세하면서 민속악계가 대한국악원을 중심으로 빠르게 결집하기 시작했다. 민속악계의 재결속을 계기로 대한국악원은 전후 1954년 마침내 단체장을 임명하며 민속악계의 기간단체로서의 조직화에 착수했다. 나아가 대한국악원은 전후 우리국악단의 창극활동 이외에도 규합된 산하단체들과 함께 창극 <대춘향전>을 기획해 흥행하며 존립기반을 한층 견고히 하게 되었다. 1957년에는 지도부를 재구성, 사단법인화를 통해 단체를 쇄신하고 창극 <심청전>과 「향토민요대전」을 연이어 흥행시키며 전쟁으로 자칫 도태될 위기에 처했던 창극(唱劇)을 부흥시키고 활동영역도 보다 확장하는 등 민속악계의 수장으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였다. 한편 1955년에는 대한국악원 산하의 여성국악동호회(女性國樂同好會)가 시기적으로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민속악의 전승을 위한 민속예술학원(民俗藝術學院)을 설립, 1960년 민속악 교육의 중심지인 국악예술학교(國樂藝術學校)의 설립을 위한 교두보로서의 역할을 하게 되었다.
    1950년대 민속악계는 전란이라는 참담한 시련 속에서도 민속악을 보존해야 한다는 사명감으로 전후 대한국악원을 중심으로 신속히 재결집해 지속적인 활동을 전개하며 향후 1960년대 민속악계가 보다 안정될 수 있는 기반을 구축하는데 크게 기여했다는 점에서 그 활동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고 하겠다.

    영어초록

    It has been considered that the discussion on the circle of folk music in the 1950s is always stagnated due to the Korean War of which concept prevailed during the time, As a result, it couldn't properly progress. With a critical mind on this, the present study was aimed to confirm the actual situation of the folk music society in the 1950s by tracking down the affiliated groups and their members of the Taehan Kugak Center known as Taehan Kugawŏn (大韓國樂院) whose name was changed after the National Classical Music Institute called Kungnip Kugagwŏn (國立國樂院) was organized mainly by he circle of folk music right after the independence from Japanese colonial rule in the 1950.
    The main factor behind the survival of the Taehan Kugak Center during the Korean War, which was close to collapse all at once by the Korean War and became nominal, is the existence of women's theaters that actively worked for it, thinking of themselves as its umbellule organization. After the Korean War new women's theaters were additionally affiliated to the Taehan Kugak Center, together with mixed classical opera companies joining them, and thus the circle of folk music started to concert all its efforts on the Taehan Kugak Center. with the resolidarity of the folk music circle as a momentum, the Taehan Kugak Center finally appointed its director in 1954 after the war and embarked on systemizing the organization as the head of the society. Furthermore, the Taehan Kugak Center planned and performed its first Korean folk opera called ch'anggŭk 唱劇 (lit. singing drama) after the Korean War Ch’unhyangjŏn 春香傳 (Story of Ch'unhyang) in 1955 with its affiliated theaters. It was a big success and came to solidify the base of its existence. In 1957, the organization reshaped its leadership and turned itself into a corporation to renovate the structure. Subsequently, folk opera Simchŏngjŏn 沈淸傳 (Story of Sim Ch'ŏng) and ‘Folk Song Contest' became successful in a row, which revived Korean folk opera, otherwise it could have come near to collapse, and expanded the areas of activity. Like this, the Taehan Kugak Center fulfilled the role of a head of the circle of Korean folk music. In addition, women's folk music clubs established a folk art academy under the Taehan Kugak Center in 1955 and attempted to promote and transmit folk music to the next generations.
    Like this, the circle of folk music overcame the miserable reality of the war in 1950s and gathered together to the Taehan Kugak Center with a sense of duty that they had to preserve Korean folk music, actively performing. It contributed to making the circle of folk music more stable in the 1960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5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