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몽골 구비서사문학에 나타난 지하계 형상과 그 의미 고찰 (A Study on the Image and Meanings of the Underground World in Mongolian Oral Narrative Literature)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9 최종저작일 2024.08
33P 미리보기
몽골 구비서사문학에 나타난 지하계 형상과 그 의미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몽골학회
    · 수록지 정보 : 몽골학 / 78호 / 91 ~ 123페이지
    · 저자명 : 이안나

    초록

    몽골의 전통적인 3계관에서 3계는 한 세계 안에 높고 낮은 대륙으로 관념되었으나, 인간의 인지 발달과 사회 변화, 문화 접변으로 인해 선악의 가치판단이 개입된 수직적 세계로 전개되어 왔다. 지하계는 인간세계 이상의 문화적 양상과 아름다움이 존재하는 곳에서 점차 좋지 않은 곳, 악한 곳으로 기울고, 7, 77층의 수 상징이 개입되면서 천상과 지상에 대립하는 마성(魔性)의 수직적 공간으로 관념되었다. 지하세계는 대개 동북쪽의 7, 77층 아래 검은 땅, 검은(붉은) 해저에 악귀, 괴물 등이 존재하는 부정적인 곳으로 형상화된다. 그러나 7수와 검은색은 부정적이고 악한 것에 대한 메타포이자 강력한 힘, 악을 징치하는 힘과 능력의 이중적 의미를 띠며, 지하신들 역시 그 양가적 특성을 갖는다. 지하계의 방위인 동북쪽은 원래 서북쪽으로 서쪽과 북쪽을 저승과 지하계의 방향으로 보는 일반적인 관념과 일치한다. 몽골의 저승은 지하계뿐 아니라 천상, 지상의 유연한 공간으로 나타난다.
    지하계는 죽음의 공간, 퇴치해야 할 혐오스런 존재의 부정적 공간을 넘어 천상계와 지상계가 연결되고 순환되는 입체적 성격을 띠는 곳으로, 사납고 막강한 힘을 가진 지하계 존재들은 원래 천상적 존재(별)이나 지상, 지하에 관여하여 인간의 생사화복을 주관하고, 인간 삶을 수호하고 풍요를 가져다주는 근원적인 힘으로 자연계의 평형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는 동시에 천둥, 번개, 폭우, 폭풍 등 과도한 자연의 힘을 상징함으로써 세상의 악과 갈등, 대립의 원천으로 부정관 관념이 확대된 존재라 할 수 있다.

    영어초록

    In Mongolia, the traditional three worlds were represented by the ideas of high and low continents within a single world. Human cognition development, social changes, and acculturation, however, caused them to unfold in a vertical world where the value judgment of good and evil intervened. The underground world gradually inclined from a domain holding cultural patterns and beauty beyond the human world to a bad and weak domain. As the number symbols of 7 and 77 layers intervened, it developed into a vertical domain of devilism that confronted the celestial and earthly worlds. The underground world was largely represented as a negative domain where demons, monsters, and wicked wizards lived in the dark ground under 7 and 77 layers in the northeast or the black(red) ocean floor. The number 7 and the dark color have dual meanings between the metaphor of negative and evil things and strong and the power and ability to govern powerful force and evil. The underground deities also have such ambivalent features. The northeast direction, which is the direction of the underground world, is the same as the general idea that the otherworld and the underground world lie in the west and north in the northwest direction.
    The underground world has a three-dimensional nature of being connected to the celestial and earthly worlds and circulated with them beyond the place of death and the negative space of disgusting beings that should be eliminated. The beings of the underground world represent fierce and strong power. They were originally celestial beings(stars), but they govern the life and death of human beings and the haps and mishaps in their lives by getting involved in the earthly and underground worlds. They have the fundamental force to protect human lives and bring wealth to them. As they adjust the balance of the natural world and, at the same time, represent the excessive force of nature such as thunder, lightning, heavy rain, and storm, expanding their meanings as the source of conflicts and confrontations against the evil of the worl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몽골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6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2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