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朝鮮 小氷期 醫藥思想 연구 - 江陵 藥局契 성격의 지속과 변화 (A Study on Medical Thought of the Little Ice Age in Joseon - Continuance and Change of Gangneung pharmaceutical characteristics)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9 최종저작일 2017.09
31P 미리보기
朝鮮 小氷期 醫藥思想 연구 - 江陵 藥局契 성격의 지속과 변화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 73호 / 345 ~ 375페이지
    · 저자명 : 전제훈

    초록

    강릉지역에 약국계(藥局契)가 결성된 시기는 선조 36년(1603)이다. 이 시기는임진왜란을 겪은 후 파탄 난 국가경제를 살리기 위해 어려움이 많았다. 이와함께 외계충격 현상에 따른 잦은 천재지변과 전염병을 극복하기 위해 많은 노력이 필요한 시기였다. 강릉지역은 도성에서 멀리 떨어져 있고, 태백준령[대관령]이 있어 인적, 물적 교류의 장벽을 이루었다. 때문에 의료 등 구휼혜택을 제대로 받을 수 없었다. 이에 따라 향촌자치적인 의료구휼의 필요성이 형성되었다. 약국계의 발생연원은 천재지변에 따른 공구수성(恐懼修省)을 위한 향약(鄕 約)에 바탕을 두고 있다. 여기서 공구수성은 몹시 두려워하며 수양하고 반성하는 것을 말한다. 천재지변에 대해서 성리학적 대응은 「수기치인(修己治人)」이었다. 「수기(修己)」를 제대로 하지 않은 사람들이 조정에 있으면 하늘은 이에 대한 경고로서 천변(天變)을 일으키는 것으로 믿었다. 향약(鄕約)보급운동도 지역사회에서 선악(善惡)을 가려 하늘의 노여움을 푸는 것이었다. 이로 볼 때, 약국계의 발생 연원은 1600년을 전후한 시기에 강릉지역에서 운영된 『주자증손여씨향약』과 율곡의 『해주일향약속』을 원용해 입안되었다. 약국계가 240년 동안 지속될 수 있었던 것은 향약의 4대 덕목 가운데 환난상휼(患難相恤)을 전문화한 철저한 활인명(活人命)에 있다. 무병(無病)의 요절방지(夭折防止)와 장수(長壽) 의 의약효행(醫藥孝行)을 실천으로 하고 있다. 약국계는 덕업상권(德業相勸)을 바탕으로 의약관련 서적과 향약과 무역약재의 확보를 통해 약국계 운영의 전문성 확보하고 있다. 약국계는 예속상교(禮俗相交)를 통한 공정한 약값확보와 무역약재와 향약재의 교환기준, 계장(禊長)과 유사(有司) 무역약재 전담인력확보, 약전지급과 운영인력 전문성 등 약국계 운영의 독립성을 확보하고 있었다. 약국계는 향약의 과실상규(過失相規)를 바탕으로 운영의 묘미(妙味)와 엄격성(嚴格 性)을 통해서 공정성(公定性)을 확보하고 있다. 이처럼 『약계입의(藥契立議)』와『약계선안(藥契仙案)』 범례(凡例)는 향약의 4대 덕목(德目)에 의해서 약조(約條)가이루어 진 것으로 살펴 볼 수 있다. 강릉지역 약국계는 약 240년 동안 지속되다가 헌종 9년(1843)에 참동계(參同契)라고 이름을 바꾸고 있다. 소빙기 주요 원인인 외계충격현상은 18세기 중반 정조대(正祖代)에 사라졌다. 하지만, 계절적현상인 수재(水災)가 자주 발생했다. 19세기에 발생한 잇따른 민란으로 중앙은물론 향촌지지력(鄕村支持力)을 떨어지게 만들었다. 이 시기 가장 큰 사회혼란요인은 전정(田政), 군정(軍政), 환정(還政)의 삼정(三政) 문란이었다. 약국계가 19 세기 중엽에 참동계(參同契)라고 이름을 바꾼 것은 대기근(大飢饉)과 삼정 문란때문이었다. 이러한 사회혼란은 약국계의 재정(財政)을 더 이상 버티기 힘든 상태로 만들었다. 약국계가 참동계로 그 이름을 바꾼 뒤 운영성격은 『주역참동계』를 기저로 한 내단수련을 통한 양생[내단양생(內丹養生)]에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와 함께 권선서(勸善書)를 바탕으로 한 적덕신앙(積德信仰)으로 나이를늘려가는[적덕익수(積德益壽)] 것으로 그 성격이 바뀌었음을 관측해 볼 수 있다.

    영어초록

    Yakgyukgye(pharmaceutical private fund, 藥局契) was established in Gangneung during Seonjo’s reign 36th year(1603). There were lots of difficulty to save the broken national economy after Japanese invasions.
    Along with this, lots of efforts was required to overcome frequent natural disaster according to foreign impact and infectious disease. Because Gangneung was far from the capital city, surrounded with the barrier of personnel and material exchange due to Taebaek peak [Daegwallyeong].
    Accordingly, relief benefit such as medicine was difficult to be delivered.
    Therefore, a necessity of autonomical county medicine relief was formed.
    The occurrence origin of Yakgukgye(pharmaceutical private fund) was based on Hyangyak(鄕約) for Gonggususeong(恐懼修省) according to natural disaster. Here, Gonggususeong means self-culture and self『reflection fearing for what had happened. Confucian response to natural disaster was 「Suguichiyin(修己治人)」. They believed, if those who were not properly cultivated(修己) are posted in the governmental position, the heaven would give a natural disaster(天變) warning on this. Distribution movement of Hyangyak(鄕約) was to dissolve the anger of the heaven by determining good and evil(善惡) in the community. On this, the origin of Yakgyukgye(pharmaceutical private fund) can be said to have been planned based on 『Jujajeungsonyeosihyangyak』 of Gangneung and Yulgok’s 『Haejuyilhyangyaksok』 during around 1600s. The point that Yakgukgye was continued for 260 years was on thorough Hwalyinmyeong(活人命), which specialized Hwannansanghyul(患難相恤) of 4 Hyangyak virtues.
    Its practical principles are Mubyeong(無病) Yojeolbangji(夭折防止) and Jangsu(長壽) Uiyakhyohaeng(醫藥孝行). Yakgukgye(pharmaceitucal private fund) secures professionalism of Yakgukgye operation through securement of medical books, Hyangyak, and trading medical materials based on Deogeobsanggwon(德業相勸). Yakgukgye(pharmaceutical private fund) secures independence of Yakgukgye(pharmaceutical private fund) operation through fair medicine price, trading medical materials, exchange standard of county medical materials, Gyejang(禊長) and similar(有司) trading medical material personnel, payment of Yakjeon(藥田支給) and professionalism of operation personnel, etc. based on Yesoksanggyo(禮俗相交).
    Yakgukgye secures fairness(公定性) through the skill(妙味) of operation and strictness(嚴格性) based on Gwasilsanggyu(過失相規) of Hyangyak.
    This way, the exemplification(凡例) of 『Yakgyeyibui(藥局契立議)』 and 『Yakgyeseonan(藥局契仙案)』 can be determined that the contract(約條) was made by 4 virtues(德目) of Hyangyak. Gangneung region Yakgukgye(pharmaceutical private fund) was continued for around 240 years, and was changed with its name to Chamdonggye(參同契) during Heonjong’s reign 9th year(1843). Foreign impace phenomenon, a major cause of Sobinggui, disappeared during Jeongjo’s reign(正祖代), in mid 18th century.
    However, flood damage(水災) a seasonal disaster, occurred frequently.
    Successive uprisings(民亂) during the 19th century decreased support for county(鄕村支持力) as well as the central government. The biggest social confusion factor during this period was Samjeong(三政) disorder, which were Jeonjeong(田政), Gunjeong(軍政), and Hwanjeong(還政). The reason why the name of Yakgukgye was changed to Chamdonggye(參同契) during mid 19th century was due to great famine(大飢饉) and Samjeong disorder. Such social confusion made the finance (財政) of Yakgukgye vulnerable. The name of Yakgukgye was changed to Chamdonggye. Later, the operation characteristic seemed to have been in Yangsaeng[Naedanyangsaeng, 內丹養生] through Naedansuryeon(內丹修煉) based on(基底) 『Juyeokchamdonggye』.
    Along with this, it was determined that the characteristic was changed to [Jeokdeokyiksu, 積德益壽], which was to increase age, to Jeokdeok belief(積德信仰) based on Gwonseonseo(勸善書).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2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