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전환기 민속악계의 향방: 1960년대를 중심으로 (The Direction of Korean Folk Music in Transitional period: Focusing on 1960s)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8 최종저작일 2020.03
33P 미리보기
전환기 민속악계의 향방: 1960년대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이화여자대학교 음악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이화음악논집 / 24권 / 1호 / 105 ~ 137페이지
    · 저자명 : 김민수

    초록

    본고는 현재 보편적으로 주지하고 있는 사실 이외에 아직까지 그 실체가 명확히 규명되지 못한 1960년대 민속악계의 전반적인 정황을 선행연구와 1차 사료인 신문기사를 중심으로 재구해 이에 따른 구체적인 내용을 확인해 보았다.
    민속악계의 새로운 기간단체로 결성되었다는 사실 이외에 뚜렷한 내용이 파악되지 못한 1960년대 한국국악협회는 연주 활동과 더불어 국악보존사업을 주도하고 민족음악연구소의 설립을 통해 국악이론의 정립을 시도하는 등 다각도에서 민속악 진흥에 필요한 토대를 마련하는데 집중하고 있었다.
    단지 민속악 중심의 국악교육기관으로 처음 설립되었다는 사실에만 그 의미가 부여되었던 국악예술학교는 1960년대 국악이론과 국악교육 전반에 관한 체계를 수립하기 위한 연구소를 설립했다. 또한 음악교사들을 대상으로 최초의 국악강습회를 개최하는 등 국악의 저변확대를 통한 대중화를 모색하고 국가 주도의 해외 활동에 참여해 국악의 세계화를 통한 학교의 위상을 정립해 나가는데 매진했다. 최초의 창단이라는 내용만 부각되어 온 국악예술학교의 국악관현악단은 학교가 조직한 국악기개량연구회를 통해 지속적으로 국악기를 개발하고 실용화를 시도하고 마침내 실연했던 민속악인들의 치열한 노력의 성과물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국립국극단의 창단과 국극정립위원회의 조직에만 초점이 맞춰져 있었던 1960년대 국립국극단은 국가 예산의 결여라는 사실상 어떠한 창극의 질적 향상을 추구할 수 없는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초창기 여성국극을 가미한 창극을 시도하고 조선성악연구회의 작품을 재공연해 창극을 정립해 보려는 나름의 활동을 전개했다. 한편 지속적인 창극 공연의 부담 속에 기획된 판소리 연창회는 오히려 대중들의 인기를 끌면서 창극과 더불어 국립국극단의 새로운 공연물로 정착해 오늘에 이르고 있음을 파악했다.
    1960년대 초부터 구체화 된 무형문화재 보호법 시행에 대해서도 민속악계는 선제적으로 대응했다. 국악예술학교가 주도한 무형문화재 발표회와 전수사업은 대내외적으로 민속악인들의 존재를 각인시키고 민속악의 무형문화재 지정의 타당성을 주지시킴으로써 1960년대 민속악의 일부종목이 무형문화재에 지정될 수 있는 원동력으로 작용했다고 볼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restructures the overall circumstances of folk music in 1960s which have not been precisely defined other than the conventional facts known in the present, using to existing studies and primary historical source of newspaper articles and thus confirm detailed information regarding the subject.
    Korean Traditional Music Association had been concentrating on including playing the leading figure in the conservation busines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as well as providing musical performances and making attempts to define theorie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by establishing Folk Music Research center.
    The School of Korean Traditional Music had been focusing on folk music founded Korean Traditional Music Research Center and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Research Center to set general systems for theories related to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its education in 1960s. Additionally, it has expanded the basi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through hosting the first National Korean Traditional Training and Intangible Cultural Asset Lectures. Korean Traditional Music Orchestra made by the School of Korean Traditional Music had been developed various musical instruments for folk music through Research Association for the Enhancement of Musical Instruments for Korean Traditional Music. Also demonstrated these new instruments in folk music performances in orchestra as the pioneer of the enhancement of musical instruments for Korean traditional music.
    The National Changgeuk Theater of Korea prevented the qualitative improvement of Changgeuk can be assumed by seeing that lacking number of members who had been eking out a living only with the payment they received from their performance in National Changgeuk Theater of Korea decreased, intermittent practice for Changgeuk.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Pansori duets which was originally produced under the pressure for continuous performance of Changgeuk started becoming more popular among general public leading it to find its place as a new performance even in present.
    The world of folk music took preemptive action in the implementatio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law which became concrete starting in the early 1960s. the School of Korean Traditional Music was hosting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nnouncement and Training Business for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Such efforts made by the world of folk music can be viewed as a driving force making it possible for some categories of folk music to be appointed a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in 1960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5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