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일제시기 조선 ‘영화계’의 형성과 ‘영화인’의 탄생 (The Formation of the “Film World” and Birth of the “Cineaste” in Colonial Korea)

4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8 최종저작일 2020.03
42P 미리보기
일제시기 조선 ‘영화계’의 형성과 ‘영화인’의 탄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연구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사연구 / 188호 / 73 ~ 114페이지
    · 저자명 : 이하나

    초록

    이 글은 이른바 현대성의 총아인 영화가 조선에 도래한 이래, 영화를 둘러싼 다양한 직업들이 어떻게 분화되고 고유한 역할을 부여받으며 전문성을 확보해 가는지를 ‘영화인’의 탄생이라는 관점에서 다룬 글이다. 초창기 영화가 상영되는 방식은 전통적인 연희와 완벽히 분리된 상태가 아니었으며, 따라서 연행이나 연희와 완전히 분리된 ‘영화계’는 처음엔 독립적으로 존재하지 않았다. 이는 ‘영화인’ 역시 독립적이고 전문적인 직업으로 인정받기 어려웠다는 것을 뜻한다. 초기 극장 안에서 이루어지던 줄타기, 무용, 연극, 연주, 환등 및 활동사진 등 다양한 연행 레파토리를 준비하고 실행했던 주체와 초창기 활동사진을 만들고 상영했던 주체는 결국 동일한 사람들이었다. 이들 업계를 지칭하는 말로 ‘연예계’와 ‘흥행계’라는 말이 사용되었다. 양자는 강조점이 다를 뿐 주로 연극과 영화에 종사하는 사람들을 지칭하는 용어였다. 연극과 영화는 공연/상영의 장소나 제작 주체, 연행 주체 면에서 인력풀을 공유했다. 극장에서 ‘활동사진’ 보다는 ‘영화’라는 말을 선호하게 되고 주요 극장들이 점차 상설 영화관으로 자리를 잡으면서 ‘영화계’라는 용어는 ‘흥행계’, ‘연예계’로부터 독립적으로 쓰이기 시작했다. ‘영화인’들은 스스로를 ‘활동사진패’와 구별하면서 영화업을 범주화하고 전문화하며 자부심을 드러냈다. 1920년대 중후반부터 1930년대 초반에 이르는 시기에 영화인 교육단체가 만들어지면서 시행한 연구생 제도와 일본에서의 전문 영화교육, 그리고 영화 전문잡지의 탄생은 ‘영화계와 ‘영화인’이라는 개념과 범주가 만들어지고 명확해지는 계기가 되었다. 특히 ‘영화인’이라는 상이 만들어지는 과정은 직업적 분화와 전문화의 방향이었으며, 이에 따라 ‘영화인’의 직업적 정체성과 자의식이 확립되어 갔다. 그러나 분화되고 전문화된 ‘영화인’이 될수록 지난 시절의 지식인형 ‘영화인’에서 기능적 ‘영화인’으로 변모되어 간 것이, 이들을 친일의 길로 가게 했던 중대한 배경이 되었다. 하지만 조선의 ‘영화인’들이 산업이자 오락이자 예술이라는 영화의 본질을 재확인해 나가는 과정에서, 그리고 이상과 현실 사이의 길항관계 속에서 자기 정체성을 찾아갔다는 것은 훗날 한국영화가 가지게 될 상업주의와 작가주의의 공존이라는 특성을 일찌감치 예고하는 것이기도 했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examines how the “cineaste” (yŏnghwain) was born with the introduction of cinema, the darling of modernity, in Korea and film professions divided and established their roles and expertise. The first film screenings were not completely divorced from theater and live performances, and hence thenotion of a “film industry” did not initially exist. In other words, “cineastes”were not recognized as an independent or specialized profession. Nothing demarcated those who prepared and exhibited various shows such as tightrope acts, dance, plays, music performances, stereoscope and motion picture viewings from those who made and screened early motion pictures; such fields were labeled as “entertainment” (yŏnyegye) and “show business” (hŭnghaenggye). Both terms were used to describe people working in theater and film, with the sole quality distinguishing them their emphasis. Initially, theater and film shared the same performance and screening venues and producers, as well as the same labor pool for acting. As theaters came to prefer using the term “film” tode scribe “motion pictures” and renowned theaters gradually transitioned into permanent cinemas, the term “film industry” emerged to differentiate itself from “entertainment” and “show business.” “Cineastes” differentiated themselves from “motion picture crews,” taking pride in the professionalization andgrowth of the film industry into its own category. The formation of filmmaking education organizations,the system of film students, film education in Japan, and the birth of film magazines during the mid-1920s to early 1930s helped to further define the concepts and categories of the “film industry” and “cineastes.” The image of the “cineaste” especially became more specialized, consolidating their professional identity and self- consciousness. However, the more specialized and differentiated “cineastes” became, the more their role changed from an intellectual to a functional one, pushing them into collaborating with the Japanese. Yet, the process of reaffirming the essence of film as business, entertainment, and art by Korea’s “cineastes,” and the search for their identity in the conflict between their ideals and reality, prefigured the coexistence of commercialism and auteurism of Korean cinema toda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2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