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6세기 전반 불교계의 실태-전라도 지역을 중심으로- (The State of Buddhism in Jeolla Province in the Early 16th Century)

4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8 최종저작일 2016.06
48P 미리보기
16세기 전반 불교계의 실태-전라도 지역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조선시대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조선시대사학보 / 77호 / 125 ~ 172페이지
    · 저자명 : 손성필

    초록

    16세기 전반은 조선초기의 국가체제가 동요한 시기이자 사족층이 성장하고 성리학이 보급되는 한편 지방의 장시가 발달해 간 시기로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조선 사회의 유교화가 진행된 시기로 이해되어 왔으므로, 이 시기의 불교계는 억압받고 침체했다고 알려졌을 뿐 거의 주목 받지 못해 왔다.
    그런데 『실록』을 통해 볼 때, 1530년경 조정에서는 승려의 증가를 우려하는 현실 인식이 나타났으며, 이에 따른 대책 마련에 부심하였다. 특히 전라도는 승려의 증가가 가장 두드러진 지역이자 피역승과 무뢰배로 형상화된 승려의 비행이 가장 우려되던 지역이었으며, 이에 따라 경차관 파견, 사찰 철훼 등의 조정의 대처도 집중된 지역이었다. 한편 16세기 전반은 전국적으로 사찰의 불서 간행이 크게 증가한 시기이기도 하였는데, 조정에서 승려 증가를 우려하기 시작한 1530년경에 불서의 간행도 4배 가량 크게 증가하였다. 전라도는 불서 간행도 가장 활발한 지역이었는데, 15․16세기에 불서 간행이 지속적인 증가 추세였으며, 군현 수에 비해 가장 많은 양의 불서가 간행된 지역이었다. 또한 16세기 전반에는 『신증동국여지승람』에 수록된 사찰만 전국에 1,650여 개소, 전라도에 280개소가 있었으며, 이 사찰들은 각 군현별 대표 사찰이었을 뿐 그 이상의 사찰이 유지․중창되고 있었다. 이를 종합해 보면, 16세기 전반 불교계는 승려가 증가하였고, 많은 수의 사찰이 건재하였으며, 불서 간행이 증대되었다. 상당한 규모의 인적 기반과 경제적 기반을 토대로 불서를 간행함으로써 기존의 주류적 불교 전통을 선별적으로 계승하고 있었던 것이다.
    16세기 전반 불교계의 이러한 현실에 대해서는 앞으로 정치, 사회, 경제, 사상, 문화 등의 다양한 관점에서 해석이 필요해 보이는데, 이러한 현실이 그간 주목 받지 못한 것은 조선시대 불교정책과 불교계에 대한 오해와 편견, 사료의 제한적 활용과 피상적 분석 등의 여러 요인이 중첩되었기 때문인 듯하다. 조선시대의 불교정책은 시기에 따라 변화하였으며, 불교정책이 실질적으로 불교계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해서는 면밀한 재검토가 필요하다. 16세기 전반의 중종대에는 성리학 이념에 따라 백성과 이단이 저절로 교화되기를 기다리는 敎化論的 불교정책을 지향하였으며, 이는 사실상 불교계에 대한 방임이나 방치를 의미했다. 그러므로 많은 사찰들은 국가의 공식적 지원 중단에도 불구하고 여타 경제적 기반을 통해 건재할 수 있었는데, 이를 『신증동국여지승람』에 수록된 1,650여 개소의 사찰로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조선 사회에는 그 이상의 사찰이 유지되고 있었으며, 국가는 『신증동국여지승람』에 미수록된 사찰을 규제하고자 하였을 뿐이나 그 조차 여의치 않았다. 그리고 조선 사회에는 다양한 부류의 승려[僧]가 있었고 이들은 자료 서술자의 관점에 따라 다양하게 규정되었다. 『실록』의 국정 논의 기사에서 신료들은 흔히 승려를 避役僧이나 무뢰배로 형상화하였으나, 그들의 관점에 따라 당시의 승려를 모두 피역승이나 무뢰배로 일반화하는 것은 타당하지 않다. 16세기 전반 조정에서 승려가 증가한다고 인식한 시기에 불서 간행 또한 증가한 사실은 그 방증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16세기 전반의 조선 사회를 깊이 이해하기 위해서는 당시의 승려와 사찰, 불교계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며, 마찬가지로 16세기 전반 불교계의 현실은 당시의 사회경제적 현실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16세기 전반 이전과 이후의 불교정책과 불교계의 현실에 대한 상호 검토를 통해서 이 시기 불교계의 실태에 대한 보다 심도 있는 논의가 필요해 보인다.

    영어초록

    Buddhism in the early 16th century has been studied very rarely until now. So it has been known that the early 16th century was a time when Confucianism spread and Buddhism was extremely unpopular in the society of Joseon.
    The analysis of data on this period of Jeolla Province, however, reveals that the court of Joseon started worrying about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monks around 1530 and struggled to come up with countermeasures. The analysis also shows that an increasing number of Buddhist books were made in temples in this period. These phenomena can not be explained by the existing historical understanding and it seems that Buddhism of this period has been misunderstood due to the misconception about the policy on Buddhism in Joseon era, identifying policy orientation and social reality, and misunderstanding about the kinds of monks and the aspects of the existence of temples. In the early 16th century, the number of monks increased, many temples were built, and many Buddhist books were published.
    These facts should be interpreted from various viewpoints that include politics, society, ideology, and culture. So there seems to be a necessity to analyze data more broadly and thoroughly and to discuss the roles and status of Buddhism in the early 16th century and the way Buddhist tradition was passed down and chang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3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