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北愚 桂奉瑀(1880~1959)의 역사민속 서술과 인식 (Buk-Woo, Gye Bong-Woo’s (1880-1959) Description and Viewpoint on Korean Historical-Folklore)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8 최종저작일 2015.07
28P 미리보기
北愚 桂奉瑀(1880~1959)의 역사민속 서술과 인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역사민속학회
    · 수록지 정보 : 역사민속학 / 48호 / 34 ~ 61페이지
    · 저자명 : 임학성

    초록

    이 논문은 일제강점기 국외로 망명하여 한국학 연구 및 민족 교육에 평생을 바친 北愚 桂奉瑀(1880∼1959)의 한국 역사민속 서술 내용과 인식을 살펴본 것이다.
    계봉우는 조선왕조의 운명이 다하던 19세기 말, 함경남도의 하층민 집안에서 태어나 북간도와 연해주, 중앙아시아(러시아) 등의 지역에서 한국학/고려학을 연구․교육하고 정립한 선구적 인물이다. 특히 그가 이루어낸 한국학 연구는 한국어와 한국문학, 한국사 등 모든 분야에 걸쳤으며, 독립과 민족 및 사회주의 운동에 전념하면서도 무려 30여 편의 한국학 관련 저술을 이루어냈다. 한국학에 대한 그의 다양하고도 구체적인 窮究는 필연 한국 역사민속에 대해서까지 적지 않은 저술을 남겼던 것이다.
    그런데 계봉우가 남긴 한국학 분야의 업적에 반해, 그에 대한 한국학계에서의 소개와 연구는 1990년대에 이르러서야 비로소 시작되었다. 그가 59세에 중앙아시아(현, 카자흐스탄)로 강제 이주 되어 말년을 우리와 미수교국인 소련에서 지냈던 점이 주요 원인이었다. 그러다가 한․러 수교(1990년) 이후 계봉우의 활동 내용 및 저술들이 국내에 알려지고 수집되면서 독립운동사 방면의 연구가 이루어졌고, 최근에는 그가 남긴 한국어학․한국문학․한국사 관련 저술들을 분석하는 데에까지 이르렀다. 그 결과 계봉우를 일제강점기 해외에서 활동한 대표적인 한국학자 朴殷植과 申采浩의 업적과 비교해도 거의 손색이 없다고까지 평가되고 있다.
    이처럼 계봉우 한국학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으나 아직 역사민속학 방면에서의 考究는 이루어진 바가 없다. 이에, 본 논문을 통해 그의 역사민속에 대한 서술 내용과 인식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계봉우가 관심을 보인 한국 역사민속은 ① 종교․신화, ② 演戱, ③ 舊曆 및 名節, ④ 通俗 등으로 집약 된다. 이 가운데 연희를 제외한 나머지 역사민속 항목들은 모두 착취계급의 기만, 미신, 비과학적 몽매 등과 같은 부정적 인식 하에 서술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연희는 고대 西域과의 교류에서 많은 영향을 받았으며, 고려시대에 연희가 성행하다가 유교를 숭상한 조선시대에 들어와 고대로부터 이어져 온 연희가 침체되기 시작했다고 서술․인식하였다. 그렇지만 民衆 속에서 자주 흥행되던 諷刺劇과 滑稽劇이 탄생한 점을 조선시대 연희사의 큰 특징으로 보았다.
    셋째, 계봉우는 다양한 전거에 토대하여 한국의 역사민속을 서술함으로써 당대의 중앙아시아 고려인에게 교육시키고 후대의 한국 역사민속학자들에게 연계하는 성과를 보였다. 그러나 한국의 역사민속이 지닌 긍정적, 민중적, 祈福的 요인들을 외면한 부분은 논쟁이 될 사항이라 하겠다. 한국 역사민속에 대한 부정적 인식은 전적으로 그의 思考에 크게 영향을 끼친 기독교 신앙과 사회주의 사상 때문이었다고 해석된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s Buk-Woo, Gye Bong-Woo’s (1880-1959) writings and viewpoint on Korean historical-folklore, who fled the country under Japanese rule and devoted his whole life to nationalist education and research of Korean studies.
    Gye Bong-Woo, born from the low class, Hamgyeongnamdo, in the late 19th century, was a pioneer who studied, taught, and built Korean studies in North Gando, the Maritime Territory, and Central Asia (Russia). Especially, his research ranged over Korean language, literature, and history. In spite of activities for independence, nationalism, and socialism, he wrote about thirty books on Korean studies including Korean historical-folklore.
    Introduction and Research of his achievement was begun in the field of Korean studies after 1990, the first year of Korean-Russian relations. Collecting and examining his writings, researchers evaluated that he nearly compared with Park, Eun-Sik and Shin, Chae-Ho, the typical scholars of Korean studies in the colonial era. There has been no review of his Korean historical-folklore, however. This paper analyzes what he wrote about Korean historical-folklore and how he viewed i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of all, of all Korean historical-folklore, he was interested in (a) religion and mythology, (b) play, (c) the lunar calendar and holidays, and (d) common custom. He described on them, except play, according to the negative point of view, such as deception of the exploiting class, superstitions, and non-scientific ignorance.
    Secondly, he wrote that Korean play was much influenced by interactions with countries bordering west China in the ancient days. He also wrote that it was very popular during Goryeo Dynasty, but was in decline under Confucianism in Joseon Dynasty. Nevertheless, he considered the birth of satirical drama and burlesque drama, very popular with public, as an important characteristic of history of play in Joseon Dynasty.
    Finally, he ignored positive, popular, wish-making characteristics of Korean historical-folklore, although he described on it with various reasons, taught it Korean people in Central Asia, and left his legacy to the succeeding scholars. It seems that Christian belief and socialist thought would affect on his idea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역사민속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5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