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5~6세기 남해안 지역 倭系古墳의 특성과 의미 (The characteristic and meaning of the Wa(倭) style tombs constructed at the South Coast region in the 5~6th century)

4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8 최종저작일 2013.10
47P 미리보기
5~6세기 남해안 지역 倭系古墳의 특성과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호남고고학회
    · 수록지 정보 : 호남고고학보 / 45권 / 157 ~ 203페이지
    · 저자명 : 김낙중

    초록

    이 글에서는 5~6세기에 남해안 지역에 축조된 倭系 고분의 등장 및 전개 과정과 축조의 역사적 배경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묘제와 부장품으로 보아 가장 왜적인 요소가 강한 것으로 추정되는 고분이 고흥 야막, 해남 외도, 신안 배널리와 같은 연안항로의 요충지에 먼저 축조된다. 왜와 백제의 교역에 직접적으로 종사한 倭(系)人의 활동과 관련되었을 것이다. 다음으로 이러한 무덤 피장자와 직접 관련된 현지 수장의 고분이 고총화된다. 외도와 짝을 이루는 해남 신월리고분 등이 이에 해당할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동향에 영향을 받아 인접한 현지 세력 속에서도 고총을 축조하기 시작한다. 영암 옥야리고분군에서 약간 벗어난 구릉에 위치한 방대형의 장동고분이 대표적이다. 이후 한반도와 일본열도의 정치적인 지형의 변화와 연동되어 영산강유역 및 소가야의 주요 세력이 백제-왜 왕권을 큰 축으로 하는 교섭 루트에서 주로 北部九州勢力과 활발하게 교섭하면서 九州系 횡혈식석실묘, 전방후원형고분을 축조하는 본격적인 고총 단계에 접어든 것으로 생각된다.
    고대 한반도와 일본열도의 교섭에서 가장 중요한 교통로는 연안항로였으며 바닷가의 구릉에 축조된 倭系 고분은 이러한 바닷길의 안전한 확보와 해당 지역 정치체의 협조와 관련된 상징적 장치로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당시 백제는 왜와의 직접 교류를 강화하였고, 대가야도 아직 왜와 교류를 지속하고 있었기 때문에 일본열도에 중점을 둔 남해안 지역 집단은 왜와의 교류에 따른 이익을 담보하기 위하여 일본열도 내 특정 집단과의 상호 연계의 강력함을 상징적으로 표현할 필요가 있었을 것이다. 그러한 필요에 따라 전방후원형고분 등 倭系 묘제가 반영된 고총이 조영된 것으로 추정된다.

    영어초록

    In this article,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emergence and development process of the Wa style burials constructed in the 5~6th century at the South Coast region was investigated.
    Looking through burial type and grave goods, the most similar tombs to Wa style had been built at the hub of coastal routes. Such tombs belong to Wa people directly engaged in the trade of Baekje and Wa(倭). Next, the tombs of the local chief directly related to the buried of these tombs gradually go bigger. And these trends influenced the construction of the big mounds amid existing local forces. With political change in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Japanese archipelago, Sogaya(小加耶) and Yongsangang River basin(榮山江流域) polities actively negotiated primarily with Northern Kyushu(九州) polities in the route of the exchange of BaekjeWa. And in this process, Kyushu style stone chamber and key-hole shaped mounds appeared in the South Coast region.
    The most important transport routes in negotiations of the ancient Korean peninsula and the Japanese archipelago was the coastal route. It is likely that the Wa style tombs built in the hill of beach was used as the symbolic device of presenting the safe securing of these sea routes and the cooperation of the local polities. At the time, Baekje and Wa strengthened the direct exchange. Daegaya(大加耶) also continued the exchange with Wa. So in order to ensure the benefits of exchange with Wa, the strength of the cross-linking with a particular group within the archipelago would need to be expressed symbolically. Because there was such a need, the big mounds such as the key-hole shaped mounds that reflect Wa style burials was buil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호남고고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3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