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箕埜 李昉運의 《癸未年韓中山水圖帖》 연구 (Study on Landscape of Korea and China in the Year of Gyemi by Yi Bang-un)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8 최종저작일 2017.06
30P 미리보기
箕埜 李昉運의 《癸未年韓中山水圖帖》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미술사학연구 / 294권 / 294호 / 41 ~ 70페이지
    · 저자명 : 박효정

    초록

    본 논고는 조선후기에 활동한 화가인 箕埜 李昉運(1761-1823 以後)이 1823년, 그의 나이 63세에 제작한 《癸未年韓中山水圖帖》 을 번역하고 소개하였다. 기야 이방운은 1761년에 태어나 아직 정확한 몰년이 밝혀지지 않았고, 많은 작품이 남아 있는 가운데 생애는 거의 알려진 바가 없다. 그러나 현재 전하는 이방운의작품이 대략 230여점에 이르고, 각각의 작품들은 장르의 경계 없이 다양하게 파악된다. 특히 그림뿐 아니라 글씨, 문장력까지 두루 능했다는 기록은 남아 있는 이방운의 작품과 비교해 보면 일맥상통하는 부분이있다. 따라서 논고에서 주지하는 바는 이 첩의 연대를 통해 몰년의 하한을 재상정해보고, 노년의 기량이 농축된 이 첩의 서화(書畵)를 기준 삼아 이방운의 회화세계를 넓히는데 목적을 두었다.
    《계미년 한중 산수도》 8폭 서화첩은 모두 13폭으로 중국의 명승도 7폭과 우리나라 금강산도 1폭, 그림에 붙인 시문 5폭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디 이 첩은 그림과 함께 시문이 위·아래에 나란히 표구된 병풍이었을 것으로 생각되나, 현재 시문 3폭이 유실된 채 13폭이 帖으로 개장改裝되어 있다. 이 첩의 중요한 지점은 그동안 ‘1815년 이후’로 추정했던 몰년을 적어도 63세까지 높여 본 것이다. 특히 이 작품은 고미술 감정안으로 이름이 높았던 松隱 李秉直(1896-1973)이 소장하였다는 題簽이 있음으로 해서 작품의 내력을 확실히한다.
    《계미년한중산수도첩》은 조선후기 문인들이 선호하던 주제인 망천도, 서호도, 무이구곡도 등 그림과 그에 상응하는 시문이 함께 수록되어 있다. 17세기에 들어서 조선의 문인들 사이에 명승유람과 遊記文 學, 인문지리서 편찬이 성행하였고 중국의 산수화보들을 적극적으로 수용하는 양상들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는데, 이방운의 경우 우리나라는 물론 중국의 명승도도 많이 남겼다. 특히 이 첩은 중국에서 유입된 화본을 따르거나, 선대화가의 화풍을 따르지 않고 자신만의 해석을 가미하고, 노년의 능숙한 필치를 한껏 발휘하여 이방운의 후기작품의 기준으로 삼는데 이의의 여지가 없다. 따라서 이 첩의 발굴을 기회로 이방운의화풍의 변화도 간단히 시도해 볼 수 있다.
    후반기에 뚜렷이 나타나는 이방운의 화풍은 대상을 간략히 하고, 맑은 담채와 짧고 가는 선으로 이루어진 윤곽선등의 특징은 이제까지 이방운이 단순히 겸재, 현재, 표암의 영향하에 있던 화가라는 평가에서벗어나 자신만의 회화세계를 확고히 한 화가로 재평가 해 볼 필요가 있다.

    영어초록

    This essay introduces Landscape of Korea and China in the Year of Gyemi (1823), a painting album that the late Joseon painter Yi Bang-un (1761- after 1823; sobriquet: Giya) produced at the age of 63, and translates related texts. Although Yi’s life and career are hardly known and the year of his death remains obscure, the works by and attributed to the artist still survive in large numbers. They amount approximately to 230, far from being confined within the boundaries of a specific genre. The wide range of extant works tallies in general with literary accounts that Yi was well versed not only in painting but also in writing and calligraphy. In this regard, my study aims to re-establish the terminus post quem for Yi’s death through the date of the album and to broaden our understanding of his art by examining the painting and calligraphy in the album that shows Yi’s mastery in his advanced age.
    The Landscape album consists of thirteen leaves in total: seven depicting renowned sceneries in China, one Mount Geumgang of Korea, and five leaves of a poem for a painting.
    Presumably the original format may have been a folding screen, each panel carrying a picture vertically between two poems, before being remounted in its present form, a thirteen-leaf album with a loss of three poem leaves. The significance of this album lies in the date of its production that allows to revise the year of Yi Bang-un’s death from a previous speculation “after 1815” into “after 1823” when the 62-year-old painter executed it. Moreover, the later history of the work is ascertained from an attached record establishing the ownership of Yi Byungjik (1896-1973) who is well known for his connoisseurship in antiquities.
    The 1823 album contains paintings of the subjects the late Joseon literati favored – the Wanchuan villa, the West Lake, and the Nine Turn Stream of the Wuyi mountains – and corresponding poems. Since the seventeenth century, Joseon literati have increasingly taken tours of scenic sites, published tourist literature, and adopted painting manuals from China.
    Such visual culture serves as a context in which Yi Bangun paints not only Korean views but also Chinese scenic spots in large numbers. Especially, this album shows a fully seasoned performance of brushwork and an original interpretation by the painter, establishing a standard for his later career that took liberty from both preceding painters’ styles and Chinese manuals. Thus the album provides a glimpse into the development and change of Yi’s pictorial style.
    The distinctive features of Yi’s later style are marked by simplified pictorial motifs, light coloring, and thin-and-short lines forming contours. These attributes help remove Yi’s stigma as an epigone of Jeong Seon (1676-1759), Sim Sajeong (1707-1769), and Gang Sehwang (1713- 1791) and shed new light to his own art worl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술사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