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근대 영남 최초 교우지 『啓聖學報』의 서지와 표기 특징 (Bibliographic and notation features of the first modern Yeongnam school journal, 『Gyesung-hakbo』)

4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8 최종저작일 2024.12
45P 미리보기
근대 영남 최초 교우지 『啓聖學報』의 서지와 표기 특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한국학논집 / 97호 / 53 ~ 97페이지
    · 저자명 : 박진혁

    초록

    이 글에서는 근대 영남 최초의 교우지로 알려져 있는 『啓聖學報』의 서지, 표기 특징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啓聖學報』는 1913년에 창간 1호를 낸 이후 1918년까지 총 6호가 매년 발간되었으며, 비교적 균질적, 구체적인 저자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데다 개화기의 국어 문법 및 표기에 대한 학생, 교원의 인식 및 이해 정도를 보여주는 귀중한 자료로서 그 가치가 크다. 형태서지학적으로 『啓聖學報』는 대체로 종래의 세로쓰기 우종서, 상하 2단의 구조가 주류이나, 권호별로 그 조판, 편집이 일관적으로 나타나지 않는 것은 편집자들의 의도보다는 각 권호의 인쇄를 맡은 인쇄처의 조판, 편집 형식이 반영되었을 가능성도 확인된다. 한편 가로쓰기에 대한 이해나 인식이 전혀 없었던 것은 아니나, 당대의 일반적 세로쓰기에서 벗어나지 않으려는 경향이 현저한 편이다. 음운, 형태 표기의 경우 실제로 간취 가능한 표면 음성형보다 종래의 표기 경향을 준용하는 경향이 강하나, ‘어두 ㄴ, ㄹ 표기’와 ‘어두 경음 표기’에서는 실제 음성형에 대한 인지가 공존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연철, 중철, 분철’ 표기에서는 개별 형태의 기본형에 대한 형태음소론적 인식이 있었음이 보이며, ‘ㆍ > ㅡ’에 따른 ‘ㅡ’로의 표기 단일화 경향이 개별 문법 형태소에 따라 그 상대적 비중이 달리 나타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띄어쓰기의 경우 문법 단위의 띄어쓰기는 해당 형태의 경계를 인식하여 엄밀하게 표기하려는 경향은 뚜렷하지 않고 오히려 운문 장르의 정형적 율격 구조를 반영하는 경향이 보이지만, 문장 부호에서는 부호의 사용과 더불어 띄어쓰기 역시 비교적 나름의 원칙에 따라 표기하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다. 문장 부호의 용법에서 느낌표와 물음표는 별 차이가 없으나 모점, 권점, 낫표, 소괄호 등의 문장 부호의 사례를 보면 오늘날의 문장 부호 용법과 다른 특징들이 여럿 보인다. 글의 구조와 편제를 반영하는 표기에서는 항목 번호나 표제항을 상세 서술 내용과 구별지어 부각시키려는 근대적 인식이 잘 드러나고 있다. 반면 단락의 들여쓰기에 대한 인식이나 이해가 현저했다고 보기는 어렵다.

    영어초록

    This paper discusses the bibliographic and orthographic features of Gyeseong-Hakbo (啓聖學報), which is known as the first school journal in modern Yeongnam. Gyeseong-Hakbo was first published in 1913 and continued to be released annually until its sixth issue in 1918. It offers relatively consistent and detailed author information, and as a valuable resource, it provides insight into students' and teachers' understanding and awareness of the Korean language's grammar and orthography during the Enlightenment period. From a morphological bibliographic perspective, Gyeseong-Hakbo generally follows the traditional vertical writing style, with two columns per page, a structure that was typical at the time. However, it is evident that the layout and editing were not consistent across the issues. This inconsistency may reflect not the intentions of the editors but rather the typesetting and editorial formats of the printing office responsible for each issue. Although there was some understanding of horizontal writing, there was a clear tendency not to deviate from the general vertical writing style of the period.
    In terms of phonological and morphological notation, the journal predominantly followed traditional conventions, even in cases where the actual phonetic forms were more evident. However, in the case of initial consonants like ‘ㄴ’ and ‘ㄹ’ and the notation of tense consonants, there is evidence that the editors and authors were aware of the actual phonetic forms. Furthermore, in the notation of ‘yeoncheol’, ‘jungcheol’, and ‘buncheol’, there seems to have been an awareness of the phonemic structure of individual forms. The trend of standardizing the notation of ‘ㆍ’ as ‘ㅡ’ also varied depending on the specific grammatical morpheme.
    In terms of spacing, there was no clear tendency to strictly mark grammatical boundaries; rather, there was a noticeable inclination to reflect the formal rhythm of poetry genres. However, when it came to punctuation marks, there was a relatively consistent tendency to follow certain principles in the use of spacing along with the punctuation itself. For instance, while exclamation points and question marks were used interchangeably, other punctuation marks like ‘Gwon-jeom(。)’, ‘Mo-jeom(、)’, ‘Nat-pyo(『』, 「 」)’ and ‘parentheses’ showed distinct differences from modern punctuation conventions.
    In the orthography reflecting the structure and organization of the text, the use of item numbers or headings was intended to distinguish and emphasize the main content from the detailed descriptions, demonstrating a modern understanding of structure. On the other hand, there is little evidence to suggest that there was a clear awareness or understanding of indentation for paragraph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학논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0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