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신라 大道署의 정비과정과 僧政體系의 변화 (The overhauling of Daedoseo and the change of Buddhist policy system)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8 최종저작일 2013.08
40P 미리보기
신라 大道署의 정비과정과 僧政體系의 변화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상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사상사학 / 44호 / 125 ~ 164페이지
    · 저자명 : 박남수

    초록

    신라 승정 관련 중앙관사 大道署와 그 별칭 寺典・內道監을 중심으로 하여 그 정비과정을 살폈다. 또한 각 시기별 승정관사의 분화과정과 기능, 그리고 각 승정관사의 갈래 및 승관직과의 관계를 검토하였다. 이에 『삼국사기』 직관지에 보이는 대도서의 별칭 사전과 내도감은 동 관사의 변화과정을 반영한 것이었다. 곧 대도서는 진흥왕대에 사주를 임명하여 흥륜사에 속관과 승관으로 구성된 사전을 설치하면서 비롯하여, 속관의 직임이 중앙관사 사전으로 분리 독립하였다가, 진평왕대에 중앙관사로서의 대도서와 내성의 사전으로 분화되었다. 특히 대도서와 내도감의 전신인 寺典은, 진흥왕이 친정에 임하였을 동왕 12년(551) 惠亮法師를 寺主로 두면서 흥륜사에 속관과 승관으로 구성된 관사로서 비롯한 것이었다.
    이에 신라의 승정은 법흥왕이 양무제의 불교정책을 수용함으로써 정교일치적인 성격으로 출발한 것이었다. 진흥왕 12년 寺主를 설치하여 법회와 수계에 관한 직임을 맡겼고, 선덕여왕 때에 자장을 대승통(대국통)에 임명함으로써 승려의 규유에 관한 사항을 승단에 위임하였다. 그후 원성왕 원년에 근시적 성격의 정법전 관리를 승려로 바꾸어 왕명의 전달이나 토지의 기진에 관한 것을 대통 등과 협의하는 체계로 바꾸었다. 그러나 승려의 출가나 승적의 관리를 중앙관사인 대도서가 관장하고, 사찰의 창건이나 중수 등에 대하여는 국가 법령으로 통제하였다. 또한 국통 이하의 승관들로 하여금 왕실사찰인 흥륜사와 황룡사를 중심으로 내외 사찰을 관장하도록 하고, 대도서가 이들 승려들을 내도량에 초치 내지 교대로 궁내의 제전을 관장하도록 하였다.
    그러므로 신라의 승정은 일종 왕실불교를 위한 체계로서, 법흥왕대 정교일치적인 승정으로부터 승니의 규유에 관한 직임을 승단에 위임하는 방향으로 분화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승니의 출가나 사찰의 창건, 토지의 기진 등에 관한 사안에 대해서는 중앙 승정관사를 통하여 국가가 직접 통제하는 체제를 유지하였다.

    영어초록

    Focused on the central office, Daedoseo related to Buddhist policies, and its another name, Sajeon or Naedogam, its overhauling process was examined. The differentiation and the function of Buddhist policy office according the period of time; its partedness ; and the relation with the monk officials were reviewed as well. Thereupon, it can be presumed that Sajeon and Naedogam, another names of Daedoseo, in Treatises of Official office and Rank in Samguksagi, reflected its changing process. Daedoseo was firstly originated from the installation of Sajeon in Heungryunsa temple which was consisted of secular officials and monk official as King Jinheung appointed the Buddhist priest as Saju of Heungryunsa temple. The duties of secular officials were spun off as a govern mental office, Sajeon, and then again in the reign of King Jinpyeon, it was divided into Daedoseo as a governmental office and Sajeon under Royal Affairs Bureau. Especially, Daedoseo and Nadogam, former Sajeon, started as a governmental office consisted of secular officials and monks when King Jinheung appointed the Buddhist priest Hyeryang in 551, in which the King governed the country directly.
    Therefore, the Buddhist policy in the reign of Silla King Bupheung can be characterized as its theocracy by accepting the ideology of Emperor Wu of Liang's Buddhist policies. In 12th year of King Jinheung, Saju was instituted to assign the responsibility for Buddhist ceremonies and giving commandments. Queen Seondeok appointed Jajang as a supremacy monk and authorized matters of Buddhist disciplines to the Sangha. After that, in the first year of King Wonseong, the officials of Jeongbupjeon featured as a secretary was substituted with monks to consult with a supremacy monk about conveying royal orders and granting land. However, the management of becoming a bonze and its priesthood were administered by Daedoseo, the central office while the establishment of temples and its restoration were controlled by national law.
    In addition, monk officials under a supremacy monk were made to take charge of temples, centering Heungryunsa temple and Hwangryongsa temple, royal-patronized temples and Daedoseo invited these monks on shifts to control all ceremonies in royal court.
    Accordingly, the Buddhist policy was a sort of the system for royal-patronized Buddhism and it was divided in the direction to authorizing the responsibility for observing the religious commandments from the theocracy in the reign of King Bupheung. Nevertheless, it can be said that some important things like establishing temples and granting land were directly controlled by the governm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사상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5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