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남원고사』계 『춘향전』수록 시가의 서사양식화 과정 (The Epic-stylization of the songs in 『CHUNHYANGJEONS 춘향전』 of the 『 NAMWONKOSA 남원고사』 origin)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8 최종저작일 2010.05
31P 미리보기
『남원고사』계 『춘향전』수록 시가의 서사양식화 과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시가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시가연구 / 28권 / 265 ~ 295페이지
    · 저자명 : 윤덕진

    초록

    작품의 구조나 의미상의 맥락으로 볼 때에 『춘향가』와 같은 지향을 지닌 듯하면서도, 『남원고사』계 『춘향전』은 판소리와는 구별되는 양식적 지향을 지니고 있다. 판소리는 궁극적으로 광대의 실제 연창을 위한 대본이며, 연창자는 광대라는 사회적 의미를 부여받는 현실 존재라고 한다면, 『남원고사』계 『춘향전』 안의 연창자들은 연창을 위한 존재가 아니라, 연창을 통하여 성격이 드러나는, 곧 노래의 종류가 달라짐에 따라 각기 다른 성격 부여가 이루어지는 형상 존재들이다.
    『남원고사』계 『춘향전』은 영웅소설의 낭만적이고 이상추구적인 작품 세계를 이어받았으면서도, 주인공에게서 영웅 주인공의 조건이 되는 비범한 천상적 존재로서의 자질을 사상하고, 노래 부르는 현장의 존재로서 규정한 의도 가운데에 실재하는 구체적 인물에 대한 관심을 내재하고 있다. 『남원고사』계 『춘향전』의 서사적 성취도는 왜곡된 사회적 실상을 덮고 있는 만연한 노래판의 본질을 파악하는 지점에서부터 진전하였다고 할 수 있다. 고통과 굴곡에 매인 당대인들을 위무하는 것이 노래이며, 괴로움 속에서 부르는 노래는 서정적 흥취를 넘어서는 자기 表白의 단계에 이르면서 극적 담화로 발전한다는 원리를 인지하고 있었던 작가는 당대의 사회 실상을 중심에서 파악하여 이를 문학적으로 형상화하는데 성공할 수 있었다. 서정적 발화인 노래의 포장에 싸인 별개의 서사물을 구축하는 경로를 발견했다는 점에서 그의 작가적 역량은 천재적이라고 할 수 있다.
    노래를 통하여서만이 가능한 서사는 노래 애호의 분위기가 무르익은 사회적 조건이 허락하였겠지만, 춘향 담론을 새롭게 서사양식화하려는 의도는 기존의 소설 양식에 대한 이해와 작품의 창작이 곧 새로운 양식의 창안이라는 작가의식에 의하여 가능한 것이었다. 『남원고사』계 『춘향전』이 세책으로 제작되었다는 점은 이러한 작가의식에 대한 일정한 시사점을 던진다. 독자 대중의 기호를 적절하게 반영함으로써 세책의 효율을 높이려는 의도가 작가의식의 형성에 영향을 미쳤을 것이기 때문이다. 판소리계 『춘향전』이 판소리 공연의 재연으로써 독자들의 관심을 끌었다고 한다면, 『남원고사』계는 당대 애창곡목을 배열한 가집으로서의 역할로써 독자의 흥미를 끌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e performers of the songs in 『CHUNHYANGJEONS』 of the 『NAMWON -KOSA』 origin are the figurative characters to be distinguished from the PANSORI's performers. They are also distinguished from the heroes of the Heroic Novel. They exist at the scenes of singing songs, and those songs give the certain characters to them The authors of 『CHUNHYANGJEONS』 of the 『NAMWONKOSA』origin well knew that process of characterization, and they also knew the way to make the songs change to the dramatic discourses. Their knowings and those realisations were the products of geniuses in that they could invent the new way of stylisation to make the lylic works change to the epic works.
    The social atmosphere of loving the songs and the authors' awareness in the existing novel style and the new inventing style could approve the epic-stylisation of the songs. And the authors' professional capacity in the song could make the songs in the books change to the elements of narrative context. The authors knew the system and the properties of the songs, and they could set the songs at the proper scenes. The contemporary readers also knew the songs' traits, and they loved the CHUNHYANG-narrative by the songs' charmingness. The fact that 『CHUNHYANGJEONS』of the 『NAMWON -KOSA』 origin were borrowed in popularity at the bookstore points the reader's absorption in the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시가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0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