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문헌으로 읽은 일본열도 내 백제계・중국계 이주민 (Ancient documents on Baekje and Chinese migrants in the Japanese archipelago)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8 최종저작일 2021.08
38P 미리보기
고문헌으로 읽은 일본열도 내 백제계・중국계 이주민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백제연구 / 74호 / 43 ~ 80페이지
    · 저자명 : 田中史生

    초록

    5세기 백제와 고구려에서는 華北전쟁을 계기로 한반도에 이주한 중국계 지식인과 그 후손들이 활약했다. 또한 백제는 이들 중 일부를 왜 왕권 아래로 보내 왜국과의 동맹 강화를 꾀하였다. 중국계 이주민들은 중국에서 유래한 ‘家’를 바탕으로 그 姓과 문화를 후손에게 계승해 각지에서 정치적 지위를 얻었다.
    그런데 왜국에서는 중국계 이주민의 姓과 문화가 6세기에 계승되지 않고 왜 왕권이 편성한 씨족 조직으로 흡수되어 간다. 한편 고구려나 백제에서는 중국계 인사들의 姓과 문화가 6세기 이후에도 계승되는데, 이러한 차이는 왜국과 백제나 고구려의 對中 외교 자세 차이가 영향을 미쳤을 것이다. 중국계 이주민과 그 후손들은 특히 對中 외교에서의 활약이 기대되었는데, 왜국에서는 5세기 후반을 마지막으로 중국 왕조와의 직접교류를 오래 중단하면서 그 필요성이 현저히 낮아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왜국으로는 6세기 이후에도 중국에서 유래한 문화가 한반도에서 유입되었다. 그 대표적인 사례가 백제가 왜국에 보낸 여러 博士와 승려들이다. 이 중 박사에 대해서는 중국적인 姓을 가진 사람이많아 5세기 이전에 백제에 포섭된 중국계 이주민의 후손이 포함돼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백제에서 건너온 박사・승려들은 著書로 그 지식을 왜인에게 전수하였다. 또 백제에서 이주한 수공업자도 그 기술을 왜인에게 전수했다.
    7세기 후반 왜국에는 멸망한 백제로부터 많은 이주자가 한꺼번에 몰려왔다. 이때 백제계 이주민들은계층적인 확산과 다민족적 구성을 통해 멸망 이전 백제의 사회 구성을 대체로 반영한 것이었다. 또한본국 멸망을 계기로 이주한 舊백제 지배층은 왜 왕권 하에서 官人으로 포섭되자 백제시대에 축적한 지식과 능력을 이용하여 이후의 일본역사를 규정하는 왜국에서 일본 율령국가로의 탈바꿈에 크게 뒷받침하였다. 그 실상은 6세기 백제 이주민의 양태와 유사한 측면이 있다.

    영어초록

    In the 5th century, Baekje and Goguryeo had Chinese intellectuals and their descendants who migrated to the Korean peninsula in the wake of the conflict in northern China. In addition, Baekje sent some of them to the Wa kingdom in order to strengthen the alliance with Wa. The Chinese immigrants inherited their family name and culture from their descendants, based on their Chinese-derived "family"(家), and gained political positions in various regions.
    In Wa, however, the family names and culture of the Chinese immigrants were not inherited in the 6th century, and they were absorbed into the clan organization formed by the Wa kingdom. On the other hand, in Goguryeo and Baekje, the family name and culture of the Chinese people were inherited from the 6th century onwards. These differences may be attributed to the different attitudes of the Wa, Baekje and Koguryo towards China and abroad.Chinese immigrants and their descendants were expected to play an active role, especially in diplomacy with China. However, in the 6th century, Wa ceased direct exchange with the Chinese dynasty, and the need for them seems to have been significantly reduced.
    However, in Wa, Chinese culture continued to flow from the Korean peninsula after the 6th century. This is exemplified by the hakase(博士) and monks priests that Baekje sent to Wa. Many of these hakase had Chinese surnames and were probably descendants of Chinese immigrants who had been incorporated into Baekje before the 5th century. The hakase and monks who came from Baekje passed on their knowledge to the Wa through the use of books. In addition, the craftsmen who migrated from Baekje also passed on their skills to the Wa.
    In the latter half of the 7th century, a large number of immigrants from the defunct Baekje came to Wa at once. At this time, the Baekje immigrants had a hierarchical spread and multi-ethnic composition that largely reflected the social structure of Baekje just before its fall. In addition, the former Baekje ruling class that migrated after the fall of their home country were taken in as officials under the Wa monarchy, and used the knowledge and skills they had accumulated during the Baekje period to greatly support the transition from Wa to Japanese Ritsuryo state, which defined the history of Japan from then on. This was similar to the situation of the people who migrated from Baekje in the 6th centu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백제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3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