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동아시아 비구니계율 전래와 수계의 변천 (A Study on the Transmission and Ordination of nun's Discipline in East-Asia)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8 최종저작일 2014.08
31P 미리보기
동아시아 비구니계율 전래와 수계의 변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불교연구 / 41호 / 415 ~ 445페이지
    · 저자명 : 민명숙

    초록

    본고는 인도에서 형성된 비구니 계율과 수계가 동아시아에 어떻게 전래되고 어떤 형태로 변화하고 정착되었는지에 대해 정리한 것이다. 붓다 당시에 구성된 인도 비구니 교단의 구족계는 3단계로 이루어진다. 첫째, 붓다의 요청에 의해 이루어진 팔경계에 의한 대애도 고타미의 수계, 둘째, 나머지 석가족 여성의 비구들만에 의한 구족계 수계, 셋째, 그 후의 여성들에게 주어졌던 이부 승가에 의한 구족계가 그것이다. 3단계 가운데 최초 구족계인 팔경계의 여섯 번째 제육경법은 식차마나에 대한 내용이다. 그러나 대애도 고타미는 물론 함께 출가한 석가족 여성들도 식차마나 기간을 지냈다는 기록은 보이지 않는다. 비구·비구니가 분리된 이후 이부 승가에 의한 구족계가 이루어졌으며, 식차마나계와 사미니계도 형성되었다. 이와 같이 인도에서 단계를 거쳐 형성된 비구니 구족계는 스리랑카를 지나 중국에 전래되었다.
    중국은 5세기 초에 4부의 율이 전해졌다. 4부의 율이 전해지기 전부터 비구·비구니는 존재했지만, 그 시대의 비구나 비구니는 설사 계율이나 갈마본 등이 전해졌다 해도 그것을 존중하거나 실천하지 않는 상태의 교단이었다. 이러한 점을 안타깝게 여기고 계율 연구와 유포에 열정을 쏟은 사람이 바로 석도안이다. 그는 만년에 서역교통의 요충지였던 장안에 머물면서 서역사문과 교류하고 계율 번역에 참석하면서 계율존중과 전파에 힘썼다. 비구니계본의 경우도 비구계본과 같은 해에 장안에서 번역되었지만 대부분 도안과 그의 지인 축법태에 의해서 역출되었음을 자료를 통해 알 수 있다.
    중국 비구니의 수계과정은 최초의 비구니 정검니에 대하여 기록한 『비구니전』 제1권에 그 내용이 등장한다. 그러나 이 수계는 적법한 방법이 아니었으며, 433년에 『사분율』에 따른 이부 승가의 구족계가 이루어졌다.
    삼국시대에 중국으로부터 불교를 전래받은 한국은 일본에 남아있는 기록에 의해 고구려나 백제에 비구니 교단이 존재했음을 짐작할 뿐이다. 그 후 정식으로 구족계를 받았다고 기록된 여성은, 고려 말 출가하여 10명의 계사들 앞에서 정식으로 수계를 받은 성효라는 비구니다. 이렇게 중국에서 전래된 『사분율』에 의한 구족계 수계가 현재까지 이어져 오고 있다.
    우리나라로부터 불교를 전래받은 일본불교의 최초 출가자는 젠신니라는 여성이며 여성은 물론 남성 출가자의 수계도 역시 여성에 의해 처음으로 이루어진다. 자료에 의하면 젠신니의 구족계는 고구려나 백제 비구니들의 도움으로 성립되었다고 한다. 그러나 헤이안 시대부터 교세가 커진 종파불교의 등장과 함께 국가로부터의 자격을 인정하는 비구니 교단은 사라지게 된다. 대신 천태종을 비롯한 종파에서 『사분율』에 의한 구족계가 아닌 『범망경』 등의 대승보살계를 받는다. 현재 일본은 친란이 창립한 정토진종은 니승이 없으며 결혼이 가능한 여성 수행자가 삭발하지 않고, 삼보와 오계를 받고 수행한다. 도원이 창립한 조동선은 삼귀의와 세 가지 서원, 그리고 열 가지 근본계를 받고 수행하는 니승이 있다. 그 밖에 천태, 진언, 일련종, 임제선 등은 보통 『범망경』 보살계를 받고 활동하고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deals with how nun's ordination established in India transmitted to East-Asia and how to be changed and be established there.
    The Ordination of nun's community in India at Buddha's time consists of three steps. Namely, the ordination of Gotamī through the accepting eight strict rules(Gurudhamra), the ordination of five hundred Sakyan women by monks' community and the ordination of women after that time by both bhikṣu Sangha and bhikṣuṇi Sangha.
    Among three steps the sixth Gurudharma is related with the female probationer(śikṣamāṇā). However the record that the Gotamī and the five hundred Sakyan women spent the time of the female probationer is nowhere.
    After dividing into two Sanghas the Ordination Ceremony was carried out by both Sanghas and the rule of the female probationer and the novice was established. This so step by step formed nun's ordination transmitted via Sri Lank into China.
    It is generally accepted that Vinayas of four Buddhist Schools transmitted to China in the early 5th century. Before that time there were monks and nuns,The Chinese buddhist communities might not think to be respectful to and follow them. Because of this problem the monk Dao-an studied and spreaded Vinayas very hard.
    His Staying in Changan, the center of the transport between China and the western Central Asia, he was in contact with the foreign monks, was participated in Translation and went his best in order to cause to respect and spread Vinayas.
    It can be seen form the remained texts that the Bhikṣunī-Prātimokṣa and the Bhikṣu-Prātimokṣa were translated in Changan in same year and the monk Dao-an and his friend Chu Ho-Tai translated a majority of them.
    The process of the ordination of chinese nuns appeared in the first chapter of “Lives of the Nuns" was recorded about the first nun Chu Ching-Chien.
    But this ordination was not a proper way. It is not the proper ordination by both monk's and nun's Community according to the Dharmagupta's Discipline.
    It seems that according to Texts remained in Japan, there were bhikṣunī communities in Koguryo or Paekche among three independent kingdoms. After that time the woman recoded to receive ordination officially was a nun Songho. She was admitted ‘Going Forth' in the late Koryo Dynasty and received ordination from ten Acariyas. Like this, the ordination by the Dhamragupta's Vinaya introduced from China to Korea has been transmitted till our time.
    The first ordained was not a man but a woman named Jensenni. It is said that Jensenni's ordination ceremony was carried out on the help of nuns of Koguryo and Paekche.
    But, from the Heian period(994-1185) the great Sects appeared. As a result Nun's Communities who should be allowed by the State disappeared. Instate of that, in several sects like T'ien T'ai etc. women had to be received Bodhisattva's Precepts instate of the Dharmagupta's Vinaya.
    In present, in the japanese ‘the true Pure Land sect' founded by Shinran there are no nuns and women with hairs who could be married are practicing taken only three Refuges and received five Precepts.
    In the japanese Soto sect founded by Dogen, there are nuns who are practicing taken three Refuges, three Vows and received ten basic Precepts.
    Women in the T'ien T'ai sect founded Chih-i, the Shingon sect founded by Kukai, the Nichiren sect and the Ninzai sect etc. are normally working received Bodhi- sattva's Precepts of ‘Brahma-net Sutra', the sutra presents Mahayana precepts for Bodhisattva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교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