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浮休 善修系의 禪사상과 法統인식 (A Study on Seon Thought and Dharma Lineage Recognition of Buhyu Seonsu System)

4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8 최종저작일 2014.02
48P 미리보기
浮休 善修系의 禪사상과 法統인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사학회 한국불교사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불교사연구 / 4호 / 122 ~ 169페이지
    · 저자명 : 고영섭

    초록

    이 논문은 조선 중후기에 본격화된 부휴 선수(浮休善修) 계통의 선사상과 법통인식을 청허 휴정(淸虛休靜) 계통과 대비하여 살펴본 글이다.
    광해군과 인조 대 이래 활동하였던 부휴 선수계의 선사상은 선과 교를 겸하여 닦는 선교겸수(禪敎兼修)의 전통과 교학의 정점으로서 화엄학을 중시하였다. 이러한 가풍은 보조 지눌(普照知訥)과 나옹 혜근(懶翁惠勤)으로 이어지는 선교겸수의 전통과 맥을 같이 하고 있다. 이것은 임제 의현(臨濟義玄)과 태고 보우(太古普愚)로 이어지는 ‘사교입선(捨敎入禪)의 전통’과는 일정한 차이를 지니고 있다. 즉 청허계(淸虛系)가 주선(主禪) 종교(從敎)적 관점에 서 있는 것에 견주어 비교적 선과 교의 겸수(兼修) 혹은 겸용(兼容)의 지점에 서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조선 중후기에 이르러 보학(譜學)의 대두와 맞물려 형성된 청허계의 법통인식은 부휴계(浮休系)의 법통인식에도 일정한 영향을 주었다. 부휴계는 청허계 편양 언기 등의 임제·태고법통설을 수용하면서도 교산 허균(蛟山許筠)의 영명·지눌·나옹법통설과의 접점을 열어두고 있다. 이것은 선사상에서는 보조선을 계승하면서도 법통설에서는 임제·태고법통설을 이어가려는 이중적 구조의 모습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것은 벽송 지엄(碧松智嚴) 이래 부용 영관(芙蓉靈觀)과 부휴 선수(浮休善修)로 이어지는 선사상에서도 확인되는 것이며, 바로 이것이 주류인 청허계와 변별되는 부휴계의 위상이다.
    따라서 한국불교의 주류를 형성하고 있는 청허계와 부휴계의 선사상과 법통인식이 대한불교조계종의 지형을 상호 보완해 오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search the Seon thought and dharma lineage recognition of Buhyu Seonsu System that was performed at full scale in the mid-late Joseon Dynasty by comparing it to Cheongheo Hyujeong System.
    The Seon thought of Buhyu Seonsu System that had been active since Gwanghaegun and King Injo focused on the Hwaeom Doctrine as the tradition of together with practice the esoteric tradition and the teaching of the scriptures training Seon and Doctrine and peak of doctrine. The trend shared the pulse with the tradition of together with practice the esoteric tradition and the teaching of the scriptures that was connected to Bojo Jinul and Naong Hyegeun. It was different from the 'tradition of entering the Seon gate or Meditation practice after completing the study of doctrine that was connected to Imje Uihyeon and Taego Bou. When compared to the fact that Cheongheo System has the viewpoint of the central axis of Seon and subordinate Gyo(主禪從敎), it maintained the viewpoint to have Seon and Doctrine at the same time.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dharma lineage recognition of Cheongheo System that was interlocked with the appearance of the study of genealogy(譜學) gave an impact to the dharma lineage recognition of Buhyu System. It adopted the theory of dharma lineage originated from Imje · Taego but it also opened the contact point with the theory of dharma lineage originated from Yeongmyeong·Jinul·Naong of Gyosan Heogyun. It is represented as the appearance of the dual structure to succeed Bojo Seon in Seon thought but succeed the theory of dharma lineage originated from Imje·Taego in dharma lineage theory. It is also found in the Seon thought connected from Byeoksong Jieom to Buyong Yeonggwan and Buhyu Seonsu. It is the status of Buhyu System that is discriminated from the main trend, Cheongheo System.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Seon thought and dharma lineage recognition of Cheongheo System and Buhyu System have reinforced the territory of Jogye Order of Korean Buddhism mutuall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불교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0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