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남전 불경계 계모형 서사의 북전 불경계 <심청전> 근원설화로의 틈입과 완판본 <심청전>의 계모형서사 형성과정 (Stepmother Narrative from Southern Buddhist Texts to Root Folklore Affiliated with Northern Buddhist Texts and Formation Course of )

4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8 최종저작일 2016.09
43P 미리보기
남전 불경계 계모형 서사의 북전 불경계 &lt;심청전&gt; 근원설화로의 틈입과 완판본 &lt;심청전&gt;의 계모형서사 형성과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비교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비교문화연구 / 44권 / 147 ~ 189페이지
    · 저자명 : 권도경

    초록

    본 연구는 뺑덕어멈이 공유하는 계모형 서사가 어떻게 < 심청전 > 속에 편입되게 되었는가의 문제를 규명하고자 했다 . 이 아젠다를 규명하기 위해 본 연구가 선택한 접근 방법은뺑덕어멈이 공유하는 계모형 서사가 근원설화에서부터 배태된 < 심청전 > 이 완결된 형태를구성한 이후에 확장되는 과정에서 삽화적으로 편입되었다고 보는 관점이다 .
    지금까지 < 심청전 > 의 근원설화로 알려져 온 < 전동자설화 (專童子說話)>·< 법묘동자설화 (法妙童子說話)>·< 소야희설화 (小夜姬說話)>·< 목련구모설화 (目連救母說話)>· < 선우태자설화 (善友太子說話)>·< 원홍장설화 (元洪莊說話)·< 황천의무가설화 (黃泉巫 歌說話)>·< 효녀지은설화 (孝女知恩說話)> 의 8 편을 검토해 본 결과 , < 전동자설화 >·< 법묘동자설화 >·< 소야희설화 >·< 선우태자설화 >·< 목련구모설화 >·< 원홍장설화 > 의 6 편이북전 (北傳)· 남전 (南傳) 불경계 설화임이 확인되었기 때문에 , 본 연구는 우선적으로 < 심청전 > 의 불전계 근원설화의 제 계열에 따른 계모형 서사와의 관련성 검토에서 출발했다 .
    이들 < 심청전 > 근원설화 6 편의 상호관련양상과 전개사를 검토해본 결과 계모형 서사가특히 모친과 관련된 개안화소 (開眼話素) 와 일정한 상호관계 속에서 나타나고 있다는사실을 확인하게 되었다 . < 심청전 > 근원설화의 모친개안화소 (母親開眼話素) 가 남전 (南 傳) 불경계 설화와 밀접한 관련성을 갖고 있으며 , < 심청전 > 근원설화 관련 계모형서사는 이러한 남전 불경계 모친개안화소를 매개로 남전에 대한 북전의 상대적으로우월한 감화력을 전파하고자 한 북전 (北傳) 불경계 설화의 향유배경 속에서 탄생했다는사실을 입증할 수 있었다 .
    다음으로 해당 계모형 맹인개안화소 (盲人開眼話素) 가 경판계 < 심청전 > 에 틈입하여완판계 < 심청전 > 의 뺑덕어미 서사를 형성해 내게 된 배경을 완판계 < 심청전 > 의 향유공간인 전라도 일대를 중심으로 한 문학지리와의 관련성 속에서 규명해 보았다 . 인도 남전계진경설화 (眞經說話) 가 중국에서 한역된 이후 최종적으로 국내 유입되는 과정에서 , 계모의 모해에 직면한 부친의 자식에 대한 자애양육서사 (慈愛養育敍事) 가 북전 불경계 설화적 특수성과 결합된 결과 부친의 유사맹목 (類似盲目) 을 개안시키기 위한 자식의 희생효행서사로 재구성된 것이 바로 전라도 일대의 < 우목낭상설화 (寓目囊箱說話)> 라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이러한 북전 불경계 설화와 남전 불경계 설화의 결합은 18 세기후반기 불교 세계관 체계에서 새롭게 대유행한 신조류였는데 , 18 세기 후반기부터 전라도일대에서 판각인쇄 되어 < 심청전 > 향유사의 새로운 흐름을 형성한 완판본은 이처럼북전 불경설화와 남전 불경설화가 습합되는 배경 속에서 남전 불경설화의 계모서사가북전 불경계 설화에 기반한 초기 < 심청전 > 에 틈입하여 형성된 것으로 보인다.

    영어초록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issue how stepmother’s narrative was transferred to <Simcheongjeon>. For this agenda, the approach of this paper is described below to determine how Bbaengdeok’s stepmother narrative was transferred episodically to <Simcheongjeon>. First, this paper started from the relation between stepmother narrative and <Simcheongjeon> affiliated with each root folk tale in Buddhist text. Among <Jeondongja>·<Bubmyodongja>·<Sayohime>· <Sunwootaeja>·<Mokryugumo>·<Wonhongjang>·<Hwangchunmuga>·<Hoynye jieun> known as root folk tale until now, this paper investigated whether <Jeondongja>·<Bubmyodongja>·<Sayohime>·<Sunwootaeja>·<Mokryugumo>· <Wonhongjang> was the root folk tale affiliated to Buddhist literature. At that point, stepmother narrative showed relation with opening eyes motive. It has been reported that the text of opening eyes in Buddhist literature is originated from the south. This paper confirmed that <Simcheongjeon>’s stepmother narrative was related to Buddhist literature originated from south.
    Next, this paper investigated the background of opening eyes motive of stepmother types. After entering Gyeongpan <Simcheongjeon>, it formed Bbaengdeok narrative of Wanpan <Simcheongjeon> related to Literary geography of Jeollado enjoying space of Wanpan <Simcheongjeon>. There are two evidences for this. The first one is <Woomoknangsang> which was passed down around Jeollado. In the course of sudden Buddhist folklore’s flow into the country, it is <Woomoknangsang> that combined stepmother narrative of sudden Buddhist literature with the characteristics of northern Buddhist literature which was reconstructed into son’s filial behavior of northern Buddhist literature to make father’s blinded eyes open.
    The other is the Buddhist trend of the late 18th Chosun when northern Buddhist literature and sudden Buddhist literature were combined. It appeared that stepmother narrative was formed in the Buddhist background of the late 18th Chosun when northern Buddhist literature and sudden Buddhist literature were combined.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비교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2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