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왕용계의 성덕체계와 강우 왕문의 비판 (Wang Longxi’s system of moral virtues completion and Jiangyou Yangming scholars’ criticism of it)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8 최종저작일 2020.03
30P 미리보기
왕용계의 성덕체계와 강우 왕문의 비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양명학회
    · 수록지 정보 : 양명학 / 56호 / 135 ~ 164페이지
    · 저자명 : 이상훈

    초록

    본 본문은 왕용계(王龍溪)의 성덕체계(成德體系)와 강우왕문(江右 王門)의 비판을 본체와 공부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유학에서 논하는 성덕은 사람들에게 선천적으로 부여된 덕성을 회복하고 이를 잃지 않음으로써 도덕적 인간으로서의 본연의 모습을 지켜나가는 것이다.
    양명 후학인 왕용계도 유학에서 논하는 이러한 성덕의 방법을 자신이 이해하고 있는 본체로서의 현재양지와 이에 근거한 선천정심의 공부를 통해 설명한다. 이에 왕용계는 먼저 도덕실천 근거로서 양지본체를 논하면서 양지란 일념의 영명(靈明)이고 선천본유적이며, 기(氣)의 영명함인 자연천칙으로서 현재한다고 주장한다. 또 이 현재의 양지는 독지이자 덕성의 지이고 직관의 지이어서 스스로 도덕상의 옳고 그름을 파악할 수 있는 본심양지의 실체로 간주하며, 아울러 양지란 순수하고 지선하여 그 자체에 의념을 드러내지 않으며 무욕하고 무잡하여 그 감응도 모두 자연스럽게 이루어진다고 본다. 따라서 용계에게 있어 이러한 양지본체의 내용은 모두 성덕을 위한 기본적인 근거가 됨을 알 수 있다.
    한편, 공부의 관점에 있어 왕용계는 선천 본유하며 초월적인 양지에 근거하기 때문에 인위적이고도 후천적인 공부에 대해서는 부정한다. 즉 양지본체란 그 자체의 영명함에 주어진 자연스러운 능력으로 곧바로 현성되어 나타난다고 보기 때문에 굳이 후천적이고 경험ㆍ학습적인 노력을 가하여 양지본연의 모습을 회복하는 것에 대해서 무의미하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이러한 점으로 인해 왕용계는 공부를 무공부의 선천정심에다 그 중점을 두고 이를 강조한다.
    왕용계는 유학의 성덕 과정에서 보편적으로 주장하는 공부를 통한 본체의 회복 과정을 논하지 않고, 오히려 곧바로 본체인 양지본체의 자연유행을 자각함으로써 공부의 문제를 자연스럽게 해결하려는 관점을 주장함으로써, 기존의 유학 체계에 대한 발상의 전환과 자신만의 독특한 성덕 관점을 논한다. 그러나 유학에서 보편적으로 말하는 ‘공부가 곧 본체’라는 관점에 보면, ‘본체가 곧 공부’라는 주장은 사람들이 쉽게 수긍하고 이를 실천할 수 없는 어려움도 함께 지니고 있다. 그러므로 강우 왕문의 학자인 계팽산과 섭쌍강 등은 이를 비판한다. 그러나 전체적으로 보면 결국 이 문제는 왕문 학자들 상호간 관점의 차이이면서 또한 왕용계의 성덕체계가 지닌 특징이라고 볼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try to research Wang Longxi’s system of moral virtues completion and Jiangyou Yangming scholars’ criticism of it around the natural substance and the effort. The moral virtue completion of Confucianism is to preserve one’s true self as a moral person by restoring the virtues inherent in them and not losing them.
    Wang Longxi, a scholar of Wang Yangming school, also explains this method of moral virtues completion in Confucianism through the natural substance as the exposed state of innate knowledge of good as well as the restoring effort of innate good mind based on which he understands it. First of all, he explains that the innate knowledge of good is the distinction of the thought, the nature of the innate, and the spirituality of spirit as the basis of moral practice.
    In addition, the exposed state of the innate knowledge of good is considered to be a self-correctly knowledge, which is a self-righteousness, a knowledge of virtue, and intuition, and the innate knowledge of good is pure and very good-natured and shows no sense of self-intension, and all its reactions are natural because it is no purpose and impureness. For the Wang Longxi’s thought, therefore, the content of all of these the innate knowledge of good is found to be the basis for moral virtues completion.
    On the other hand, in the point of the effort, innate knowledge of good is inherently innate and based on transcendental knowledge, and for this reason Wang Longxi denies artificial and acquired effort. In other words, Longxi thinks it is meaningless to restore the innate knowledge of good’s original appearance by making generous, experienced and learned efforts because it is regarded as a natural ability given to its own spirituality. Therefore, Wang Longxi emphasizes the effort with an emphasis on the restoring effort of the innate good mind that there is no the effort.
    Wang Longxi does not discuss the restoration process of the natural substance through the effort that is commonly claimed in the process of moral virtues completion, but rather argues the view that it is to naturally solve the problem of the effort by conscious of the natural effect of the natural substance of the innate knowledge of good, thus demonstrating the change of ideas of the existing confucian system and its own unique view of the moral virtues completion. However, from the perspective of "The effort is the natural substance" of Confucian, the fact that " The natural substance is the effort " is also a challenge that people can easily accept and cannot practice.
    Therefore, Ji pengshan and Nie shuangjiang in Jiangyou scholar of Yangming Studies criticize this. In the end, this is a distinction between Yangming Scholar’s mutual views and also a feature of Wang Longxi’s the system of moral virtues comple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양명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5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