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큰쿠폰이벤트-통합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해방 10년, 음악계의 구성과 존재 방식 (Ten years after liberation, the composition and existing method of musical Society)

4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8 최종저작일 2022.04
44P 미리보기
해방 10년, 음악계의 구성과 존재 방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민족음악학회
    · 수록지 정보 : 음악과 현실 / 63호 / 165 ~ 208페이지
    · 저자명 : 김은영

    초록

    본 연구는 한국현대음악사의 기원이 되는 해방, 분단, 한국전쟁, 정전(전후)을 아우르는 총체적 인식이 필요하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했다.
    이 기간은 민족국가수립을 향한 대중의 열망이 좌절된 후 전쟁과 분단이라는 남북한의 역사적 갈등이 응축된 시기이며 국제적으로는 세계냉전으로 미국의 영향이 절대적이었던 시기이다. 해방 후 좌우익의 이념대결이 치열했지만 음악가들은 음악계의 단결을 촉구하며 1946년 삼일절 기념음악회를 공동으로 주최했고『 임시중등음악교본』과 해방기념음악회, 전국음악경연대회 등을 통해 통합을 시도했다. 그러나 1947년을분기점으로 세계냉전 국면으로의 전환과 그 해, 8월부터 미군정에 의해좌익활동이 전면금지되면서 좌익예술가들은 지하로 숨게 된다. 1948년은 단정을 둘러싼 내부냉전이 격렬하게 일어나면서 제주항쟁과 여순사건이 발생했다. 이승만 정부는 냉전의 논리를 남한사회 안으로 내면화했고 이 과정에서 정부와 문화예술인 사이의 공모관계가 형성된다. 한편, 전쟁이 일어나자 서울은 90일간 북한군에 의해 점령당했고 이 기간동안‘문련’ 산하의 예술단체가 조직되어 예술가들이 북한군에 부역하였다.
    서울 수복 후 ‘문총’은 부역자 처벌과 종군문화반을 파견해 정부와 밀접한 관계가 유지하였다. 한편, 월남음악가들도 자신의 반공사상을 증명하기 위해 군가보급단에서 활동하면서 체제에 길들여진다.
    전쟁 후 한국음악계는 미국과의 우호를 증진하는 한편, 미국무부 및민간재단의 원조로 음악가들의 미국 연수와 미국음악가의 내한공연, 한국음악계의 재원지원 등이 이루어졌다. 이 과정에서 미국과의 교섭력이악단의 권력으로 발돋움하는 데 중요한 자격조건이 되었다. 정부는 반공의 문화적 냉전을 수행한 음악가들을 여러 제도를 통해 포상하고 이 과정에서 그들의 대일협력 과오는 무마되었고 제도권 음악권력이 유지되는 기반이 마련되었다.

    영어초록

    This study started from the awareness of the need for a holistic perception that encompasses liberation, division, the Korean War, and the armistice (before and after), which is the origin of modern Korean music history.
    This period is the time when the historical conflict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war and division, was condensed after the public's desire to establish a nation-state was thwarted. Moreover, this period is when the U.S had a world-wide influence due to the Cold War. After liberation, the ideological confrontation between the left and right was fierce, but musicians co-hosted the ‘March 1 Independence Day Memorial Concert’ in 1946, calling for unity in the left and right music industry. However, in 1947 when the world faced the Cold War, art activities became unable due to terrors made by the radical groups of the left and right, and in August of the same year Left-wing artists hid underground as left-wing activities were banned by the U.S. military.
    In 1948, the internal cold war surrounding single government of the South broke out violently, leading to the Jeju Movement and the Yeosu-Suncheon demonstration. The Rhee Syng-man government internalized the idea of the Cold War into South Korean society, and in this process, complicity between the government and cultural artists was formed. Meanwhile, when the war broke out, Seoul was occupied by the North Korean military for 90 days, during which an art group under Munryeon was organized and artists worked for the North Korean military. After the restoration of Seoul, the “Munchong ” maintained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government by punishing those who worked for the North and sending a military culture class. On the other hand, musicians who defected from the North were also tamed by the system, working in military song distribution groups to prove their anti-communist ideology.
    After the war, the Korean music industry promoted friendship with the United States, while planning American training for musicians and performances by American musicians with the aid of the U.S. Department of State and private foundations. In this process, the bargaining power with the U.S. became an important qualification condition for the musical society to gain authority. The Korean government rewarded musicians who performed Cold War music and maintained vested interests, and in the process, the mistakes of pro-Japanese music were eliminat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음악과 현실”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31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