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후삼국의 개막과 사상계의 동향 (The Opening of the Later Three Kingdoms Period and the Trend of the Thoughts)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8 최종저작일 2021.04
27P 미리보기
후삼국의 개막과 사상계의 동향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신라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신라사학보 / 51호 / 77 ~ 103페이지
    · 저자명 : 장일규

    초록

    이 글은 신라 왕실과 연고된 궁예의 정치적 입장이나 사상을 가늠해보기 위해서 당시 신라 사상계의 동향을 개괄적으로 정리한 것이다.
    신라 말 신라인들은 불사를 설행하여 말법의 현실을 벗어나고자 하였다. 국왕, 왕족, 승려, 지역민 등은 신분의 구분 없이 정토의 도래와 왕생을 기원하고자 서남해안 일대를 중심으로 교통이나 군사 요충지 등지에서 불사를 설행하였다. 특히 말법의 혼란은 석가모니의 말씀과 실천을 온전히 따라야 수습할 수 있었고, 미륵의 강림으로 현실에서 구원받으려는 욕망 역시 정법의 온전한 구현을 필요로 하였으므로, 비로자나불과 노사나불을 강조하였다. 다만 석가정토 복원이나 미륵정토 도래는 현실을 개혁하는 전륜성왕에 의해서 가능하였기에, 궁예는 자신을 ‘미륵불’이라고 칭하면서 미륵정토는 물론 석가정토를 이끌 주체로 나섰다.
    신라 말에는 선종 불교의 성행과 함께 교종 불교도 변화하였다. 다만 궁예가 세력을 일구었던 명주 일대에는 선승이 활동을 중단하였다가 재개하지 않았고 화엄사찰도 분포하지 않았다. 이전부터 명주에는 진표의 법상종 사상이 영향을 미쳤다. 자연히 궁예가 출가한 세달사는 화엄 사찰이었지만, 낙산사 관음신앙이나 진표의 미륵신앙과 밀접히 관련되었다. 궁예는 당시 선승이 사회 혼란을 제압하고 새 사회를 이끌 미륵 강림의 주체로 강조되었기에 자신의 영향력을 확대하고자 철저히 배제하였다. 또한 의상과 진표 이래 당시 교섭하였던 화엄사상과 유식사상, 선종사상은 점차 배제시킨 채, 그 사상에서 강조한 신앙만을 중심으로 나름의 교설을 정립하고 강조하였다.
    신라에는 일찍부터 유교와 불교를 함께 이해하려는 경향이 자리하였고, 신라 말에도 효도와 추복을 동일시하는 인식이 상존하였다. 궁예는 휘하에 유학적 소양은 물론 불교사상과 비기, 천문, 복서에 능한 호족 출신 지식인을 중용하여 국가 운영체제를 정비하였다. 그러나 911년에 태봉으로 국호를 바꾸고 왕권의 전제화를 추구하면서 신라의 것을 계승한 휘하 지식인을 점차 배제하였다. 그는 말세의식이 만연한 당시에 신라에서 전승된 유불교섭 경향이나 고유 정서를 인정하지 않고, 선종사상, 화엄사상, 유식사상 등도 배제하면서 자신만의 사상과 체제를 구축하고 유지하려고 하였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outlines the trends of the thoughts at the end of the Silla Dynasty in relation to the establishment of the Later Three Kingdoms.
    At the end of the Silla Dynasty, the people held a Buddhist service to escape the end of the world. The Silla people held various Buddhist events throughout the country regardless of their status. In particular, they tried to follow Sakyamuni's words and practices. Therefore, it emphasized the Vairocana Buddha and the Locana Buddha. He also emphasized the Maitreya pure in hopes of a new world. Gungye called himself 'Maitreya Buddha' and insisted on reform.
    At the end of the Silla Dynasty, Zen Buddhism became popular, and Textual Buddhism changed accordingly. However, there is no clear sight of Zen Buddhist's activities or Sutra Buddhism Temple in Myeongju. In Myeongju, Dharma-laksana Buddhism has always had an impact. Gungye wanted to expand his influence. Accordingly, only faith was emphasized in the Myeongju area, gradually excluding Avatamska Sutra thought, Yogācāra Thought, and Zen thought.
    At the end of the Silla Dynasty, Silla people identified their filial piety and pray for one´s welfare in the future life. Gungye had intellectuals from the powerful family under his command. They were familiar with Buddhism, biographies, astronomy, and fortune-telling, along with an understanding of Confucianism. However, Gungye changed his national title to Taebong in 911 and pursued the premise of the throne. Therefore, intellectuals who inherited Silla's were gradually excluded. Gungye established and maintained his own ideas and syste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라사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4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