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淸虛系의 禪思想과 法統認識 (A Study on Seon Thought and Dharma Lineage Recognition of Chungheo System)

4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8 최종저작일 2014.02
41P 미리보기
淸虛系의 禪思想과 法統認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사학회 한국불교사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불교사연구 / 4호 / 81 ~ 121페이지
    · 저자명 : 이철헌

    초록

    청허휴정은 조선중기 불교가 꺼져가는 바람 앞의 등불과 같은 처지에 불교를 재활하게 한 고승이다. 휴정이 확립한 가풍과 종통은 휴정이전부터 형성된 한국불교의 전통이라 할 수 있다.
    휴정의 선사상은 통일신라시대 원효의 교학회통→고려중기 의천의 교관일치→지눌의 선을 중심으로 한 선교일치→고려말 혜근에 의해 선과 교와 정토의 겸수→조선초 기화의 유·불·도 회통으로 정리되어 지엄과 영관으로 이어져 온 한국불교의 사상을 계승 발전했다고 할 수 있다.
    청허계 4대 문파를 이룬 제자들의 사상을 살펴보면 그들은 모두 참선과 교학과 염불을 함께 수행하는 한국불교전통을 계승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선과 교가 다르지 않다 하면서도 『화엄경』과 『법화경』 등의 대승경전을 통해 불교에 대한 확고한 견해를 확립한 다음에는 선문으로 들어가 깨달음에 이르는 捨敎入禪을 실천하고 있다.
    임제선을 중심으로 조주의 狗子無佛性, 庭前栢樹子, 喫茶去와 같은 화두공안을 참구하는 간화선을 하면서도 曹洞宗의 五位說을 말하고 있다. 그러면서도 민중들에게 염불하여 극락왕생을 기원하도록 하고, 망자를 위해 서방극락왕생을 축원하면서도 이 마음이 곧 정토라는 유심정토를 설하고 있다. 그리고 유교와 도교에 대한 폭 넓은 이해를 통해 유·불·도 3교를 회통하려고 노력했다.
    한편 청허의 제자들은 당시 세속에서 씨족관념이 형성되기 시작하고 문도들이 번성하자 자신들의 법통을 정리하고자 하였다.
    허균을 비롯한 휴정의 상대제자들은 신수와 혜능이 분파되기 이전인 5조인 홍인으로부터 국내에 선법이 들어왔으며 고려초 영명연수의 선정겸수사상이 전래되고 고려중기 지눌에 의해 한국전통의 선사상이 정립되고 고려말 나옹혜근이 선과 교와 염불을 함께 수행하였던 국내전통의 사상체계를 중심으로 한 나옹법통설을 주장했다.
    이에 비해 휴정의 하대제자들은 고려말 중국 임제종의 석옥선사로부터 인가를 받아 돌아와 국사를 지내며 구산선문을 통합하려한 태고보우를 중심으로 임제선의 전통을 확립하고자 태고법통설을 주장했다.

    영어초록

    Chungheo Hyujeong was a high priest of Buddhism who rehabilitated Buddhism failing like a light in the wind in the middle of the Joseon Dynasty. Family tradition and lineage of religious sects established by Hyujeong was the tradition of Korean Buddhism that had been formed before Hyujeong.
    Zen idea of Hyujeong was succeeded and developed the idea of Korean Buddhism inherited from Wonhyo’s coincidence of a doctrine and religious learning in unified Silla, Uicheon’s accord between a religious teaching and contemplation in the middle of Goryeo dynasty, Jinul’s consensus among doctrines and meditation with meditation at the center, Hyegun’s equivalent development of a religious teaching, contemplation and pure land at the end of Goryeo dynasty to Jieum and Yeonggwan arranged by Gihwa’s accord among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in early Chosun dynasty.
    Examined from the ideas of disciples who formed the four great religious division of Chungheo, all of them followed the tradition of Korean Buddhism which developed doctrines, meditation and Buddhist prayer at the same time. Knowing that contemplation and a religious teaching did not differ, they first established a firm view about Buddhism through the Mahayana Sutras like the Avatamska Sutra and the Sutra of the Lotus, then meditated and found enlightenment.
    They tried to integrate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through extensive understanding about Confucianism and Taoism.
    They talked about the theory of five explanation of Jodongjong while meditating focusing on the topic like Joju’s saying that dogs have no nature of Buddha, pine tree in front of a garden and take a cup of tea before leaving with Yimjesun at the center.
    At the same time they preached that paradise was inside people’s mind while letting people to chant a Buddhist prayer to be reincarnated in paradise and pray for the deceased to go to heaven.
    And they struggled to join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through wide understanding about Confucianism and Taoism.
    Meanwhile disciples of Chungheo tried to arrange the Lineage of Zen of themselves as the concept of clan began to form in the contemporary world and disciples flourished.
    Aged disciples of Hyujeong regarding Heogyeun suggested Naong lineage of zen based on the domestic traditional structure of ideology that developed doctrines, meditation and Buddhist prayer simultaneously formed by Naong Hyegun in the late Goryeo, which originated from the introduction of meditation to the country by Hongin, the fifth priest of high virtue, before Sinsu and Hyeneung separated, passed on to idea of Yeongmyeong Yeonsu to improve both a religious teaching and contemplation at the early Goryeo and handed to Korean traditional zen idea established by Jinul in the middle of Goryeo dynasty.
    On the other hand, young disciples of Hyujeong contended Taego lineage of zen to firm the tradition of Yimje-Zen centered around Taego Bowoo who tried to integrate Nine Mountains while being the supreme monk of the nation after coming back from getting permission from Seokok priest of high virtue of Yimjejong in China at the end of Goryeo dynas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불교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6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5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