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려말 조선초 불교계와 자초 (A review of historical sources relating to the Seon monk Muhak Jacho and Buddhism in late Goryeo and early Joseon period)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8 최종저작일 2024.12
28P 미리보기
고려말 조선초 불교계와 자초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진단학회
    · 수록지 정보 : 진단학보 / 143호 / 161 ~ 188페이지
    · 저자명 : 강호선

    초록

    無學自超는 조선의 창업 및 한양정도와 밀접하게 관련된 승려로 널리 알려져 있고, 그에 대한 전승도 새로운 왕조의 창업과 한양에 집중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전승은 대개 조선후기의 인식이 역으로 영향을 미쳐 후대 만들어진 이야기들이 역사적 사실인 것처럼 오해된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 논문에서는 자초와 관련된 사료는 정밀한 사료비판이 필요함을 역설하였다. 아울러 여말선초라는 시대적 변화 속에서 자초의 활동을 살펴보았다. 자초는 조선의 첫 王師이지만 실제로는 마지막 왕사이기도 했다. 한편으로는 懶翁惠勤의 계승자로서의 위상을 지니며 조선초 불교계를 이끌어 나가던 나옹계를 상징하는 인물이기도 했다. 혜근의 계승자로서 자초를 강조하는 움직임은 조선초 태조와의 관계 속에서 자초가 부각되면서 본격적으로 드러났다. 자초는 태조의 명으로 檜巖寺에 주석하게 되면서 혜근의 계승자로서의 위상을 확립하게 되었다. 회암사에 세운 자초의 승탑과 탑비는 指空-나옹혜근의 계승자임을 천명하는 것이라면 그가 중간한 『佛祖宗派之圖』는 臨濟의 적전인 平山處林-나옹혜근의 법통을 잇고 있음을 분명히 한 것이다. 이러한 자초의 위상은 태조의 적극적인 후원 아래서 이루어 질 수 있었다.
    자초와 태조 이성계가 언제부터 긴밀한 관계를 맺었는지는 불분명하다. 고려 말 釋王寺에서 만나 조선건국의 뜻을 함께 했다는 이야기는 역사적 사실로 보기는 어렵다. 조선후기 불교계를 중심으로 전해지던 전승을 조정에서 인정하여 실록에 내용이 수록되고 조선후기 왕실에서 석왕사에 기념물을 조성하는 과정에서 전승이 역사적 사실인 것처럼 되어 버렸기 때문에 이는 역사적 사실이라기보다 전승과 인식의 문제로 접근해야 한다. 다만 고려의 마지막 국사였던 幻庵混脩가 조선 건국 직후 입적하자 태조가 자초를 왕사로 책봉하면서 태조와 자초의 각별한 관계가 시작되었고, 태조~태종 초 주요한 佛事들을 자초가 담당하였을 뿐만 아니라 태종 초 승정체제 개편에도 자초는 태상왕인 태조와 함께 영향을 주었던 것으로 보인다. “조선의 처음이자 마지막 왕사” 라는 자초의 타이틀은 고려에서 조선으로의 연속성이라는 측면보다 고려불교의 문을 닫았음을 의미한다.

    영어초록

    Muhak Jacho(無學自超) is widely regarded as a monk who prophesied the founding of the Joseon Dynasty and played a crucial role in the establishment of Hanyang as the capital of the Joseon Dynasty. However, this paper argues that the historical sources related to Jacho need to be carefully critiqued, as these stories are often misinterpreted as historical facts due to the reverse influence of late Joseon perceptions. In addition, this paper examines the activities of Jacho in the context of the changing times between the fall of Goryeo and the establishment of Joseon. Jacho was the first Royal Preceptor of Joseon, but he was also the last. On the one hand, he was the heir to Na’ong Hye-geun(懶翁惠勤), and on the other hand, he symbolised the Na’ong school, the leading Buddhist school in the early Joseon Dynasty. The emphasis on Jacho as Hye-geun's successor became evident in his relationship with Taejo(太祖). He was made the head priest of Hwaeamsa Temple(檜巖寺) by command of Taejo, thus establishing his status as Hye-geun's successor. His pagoda and stele at Hoeamsa Temple declared him to be the successor of Jigong(指空) and Hye-geun, while the book BuljoJongpajido(佛祖宗派之圖) he published made it clear that he was the continuation of the lineage of the Linji sect(臨濟宗) from Pimgshan Chilin(平山處林) to Hye-geun. This status of Jacho could only have been achieved under the active patronage of Taejo. It is unclear when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Jacho and Taejo(Yi Sunggye) began. The story that they met at Seokwangsa Temple(釋王寺) in late Goryeo and shared the will to found the Joseon Dynasty is unlikely to be a historical fact. The narrative, which had been passed down mainly in Buddhist circles in the late Joseon Dynasty, gained authority as a historical fact when it was recognised by the Joseon Dynasty and included in the Veritable Records of the Joseon Dynasty(朝鮮王朝實錄), and when the royal family erected a stele at Seokwangsa Temple in the late Joseon Dynasty, it became a matter of transmission and perception rather than historical fact. However, when Hwanam Honsu(幻庵混脩), the last State Preceptor of Goryeo, died shortly after the founding of Joseon, Taejo appointed Jacho as a Royal Preceptor, and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Taejo and Jacho began, and it seems that Jacho was not only in charge of major Buddhist rituals from Taejo to the beginning of Taejong, but also influenced the reorganisation of administration of Buddhist Order in the early reign of Taejong. Jacho's title as ‘the first and last Royal Preceptor of Joseon’ signifies the closing of the door on Goryeo Buddhism rather than continuity from Goryeo to Jose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진단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2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