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기호학파 낙론계 심론의 특징 (A feature of The theory of mind in Kiho School Nakron)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8 최종저작일 2016.08
30P 미리보기
기호학파 낙론계 심론의 특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양명학회
    · 수록지 정보 : 양명학 / 44호 / 255 ~ 284페이지
    · 저자명 : 유지웅

    초록

    이 논문은 김원행과 전우의 성리설을 통해 낙론계 심론의 특징적 면모를 살펴보고 있다.
    먼저 김원행과 전우를 통해 낙론계 심론의 특징을 살펴본 이유는 김원행의 경우 김창협이 기초한 낙론을 보다 체계화하여 낙론의 방향성을 구체적으로 제시한 인물이며, 전우는 구체화된 낙론의 방향성을 이론적으로 정교화 하여 한말 도학계에서 낙론을 통해 조선성리학의 정통성을 재정립하고자 한 인물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김원행을 통해서는 낙론의 방향성을, 전우를 통해서는 낙론이 제시한 방향성의 체계화를 확인해 볼 수 있다.
    기호학파 낙론은 기본적으로 주자학을 바탕으로 이이의 학문적 입장과 더불어 김창협이 제시한 이론을 기초로 한다. 따라서 낙론은 주자의 학설을 기초로 이이가 심의 기적인 측면에 주목하여 제시한 ‘心是氣’가 중심으로 이룬다.
    심시기를 전제하는 낙론계 심론의 특징은 무엇보다도 도덕행위의 가능 근거로서 性善 뿐 아니라 心本善을 주장함으로써 구체적 실현자인 심의 본래성에 주목한다는 것이다.
    무위한 성은 유위한 심의 매개를 통해서만 실현될 수 있기에 선을 실현시키는 심에 대해 많은 관심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인간의 도덕실천과 관련하여 도덕본성의 실재만으로는 도덕행위가 완전할 수 없다는 문제의식을 가지고 어떻게 하면 도덕본성을 심이 온전하게 실현시킬 수 있는지에 대해 고민을 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김원행은 심을 구성하고 있는 기에 대한 논의를 통해 도덕본성을 실현하는 주체인 심의 본래성에 주목하였으며, 이러한 경향은 오희상, 홍직필, 임헌회를 거치면서 보다 정교화 된다. 이 과정에서 氣本末論, 심본선 등의 이론이 제시되고, 전우에 이르러 낙론을 재정립하여 특히 당시 타 학파들과 심과 이와 결부된 명덕에 관해 치열한 논쟁을 펼치게 된다.
    이러한 일련을 과정을 거치면서 형성된 낙론계 심론의 특징적 면모는 ‘性卽理’, ‘心是氣’의 심성관계에서 도덕본성의 실재함을 확인하며, 실현자로서 ‘심의 본래성’에 주목하여 도덕본성을 현실에서 온전하게 실현시킬 수 있는 심의 구조적 기반을 구축한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is to study a feature of theory of mind in Nakron with theory of Kim WonHaeng and Jeon Woo who made direction of Kiho Naron’s study concrete.
    The reason why Kim WonHaeng and Jeon Woo selected to study is because Kim Won-Haeng is the philosopher who organized a theory of Kim Changhyeop’s Nakron to make direction of Nakron and Jeon Woo is the last scholar of Nakron. The direction of Nakron can be found in Kim Wonhaeng and the concreteness in Jeon Woo.
    With the premise of Simsiqi, The feature of theory of Mind in Nakron argued not only Goodness of nature but also Original goodness of mind, as basis of ethical act, to see the mind as detailed realization. Because useless nature can be expressed by link of useful nature, the mind which fulfill nature can attract many attention. With critical mind that ethical activity with existence of acting good can be completed in aspect of human’s ethical fulfillment, many scholars were concerned about the way how the mind wholly realized acting good. In this aspect, Kim Wonhaeng paid his attention to an intrinsic feature of the mind which fulfill acting good and this study got more and more elaborated by Oh Huisang, Hong Jikpil and Lim Heonheo. During this work, theories like the account of root and branches in Qi and the account that the mind is good were suggested. At the period of Jeon Woo, he synthesized Nakron theory and had an intense argument about the mind and Bright and Virtue with other scholars. With these series of process, the feature of theory of mind in Nakron was to suggest the system which emphasize a natural condition of the mind to find the structural basis of mind to fulfill acting good practicall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양명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4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