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정제두와 서인-노론계의 학술 교유 (A study on the Academic Exchange with Jeong Je-du and Seoin-Noron’s line)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8 최종저작일 2019.03
33P 미리보기
정제두와 서인-노론계의 학술 교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양명학회
    · 수록지 정보 : 양명학 / 52호 / 87 ~ 119페이지
    · 저자명 : 이남옥

    초록

    이 글은 『하곡집』에 수록되어 있는 정제두의 편지글을 분석하여 그의 교유 관계와 학술 교유의 내용에 대해서 검토한 글이다. 본고에서는 정제두가 1667년부터 1732년까지 약 66년간 58명 이상의 사람에게 보낸 267건의 편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정제두는 시간이 흐를수록 소론화 경향성을 보인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생애 후반까지 계속해서 서인-노론계와 10%대의 교유 관계를 유지하였는데, 이는 당색은 다르지만 민진주ㆍ서한주ㆍ이희조와 같이 인척관계이거나 이징명ㆍ정찬휘ㆍ김간과 같이 학맥으로 연결되는 특수 관계에 속한 인물들과 교류가 이어졌기 때문이다.
    정제두와 교유한 서인-노론계는 송시열ㆍ서한주ㆍ민정중ㆍ김수항ㆍ민유중ㆍ민진주ㆍ김간ㆍ이징명ㆍ정찬휘ㆍ이희조ㆍ민진원 11명이다. 이들은 송시열의 문인이거나 종유한 인물로 송시열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었다. 정제두와 이들의 관계는 크게는 학문적 정치적 동질성을 지닌 서인이라는 집단으로 볼 수 있으며, 작게는 송시열을 동일 스승으로 하는 일종의 학맥으로 볼 수 있다.
    정제두는 이징명과의 관계 속에서 초기 학문 방법을 수정하였고, 김간ㆍ정찬휘와의 관계 속에서 양명학 논변을 진행하였다. 정제두와 김간ㆍ정찬휘의 양명학 논변은 그동안 정제두를 중심으로 한 양명학 논변이 박세채 문하 혹은 소론 내부의 문제로 연구된 것에서 벗어나, 노소분기 이후 서인-노론계에서 정제두를 양명학자로 비판한 사례이기 때문에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이외에도 정제두와 서인-노론계 인물 간에는 자운서원 묘정비 건립 문제, 서경덕의 학문에 대한 논의와 기에 대한 해석의 차이, 평양에 남겨진 箕子 井田의 보존, 고조선과 고구려의 토석 보존 등에 관한 학술 교유도 진행되었다.
    정제두가 시간적 흐름에 따라 소론화 경향성을 띄기는 하지만 그의 교유 관계 속에서 여전히 서인-노론계와의 관계가 적지 않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또한 학술 교유의 주요 내용에 있어서도 큰 차이가 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정제두를 ‘양명학을 연구한 소론 학자’의 틀에 가두기보다는 ‘당파에 관계없이 다양한 지적 활동을 영위한 학자’로 재평가해야 하겠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examines Jeong Je-du’s co-relation and academic contents. To this end, this article analyzed 267 letters, which were that Jeong Je-du sent to more than 58 people from 1667 to 1732.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relationship of Jeong Je-du’s co-relation showed a tendency to become the Soron with time.
    Nonetheless, until the latter half of his life, he continued to cooperate with the Seoin-Noron’s line at 10%. This was possible because the interactions with the people in the special relationship still continued, although the partisans were different. The special relationship was a marital relationship such as Min Jin-juㆍSeo Han-juㆍ Yi Hui-jo or a school relationship such as Yi Jing-myeongㆍJeong Chan-hwiㆍKim Gan.
    Seoin-Noron’s line, who interacted with Jeong Je-du, were eleven people including Song Si-yeolㆍMin Jeong-jungㆍKim Su-hang. All of them were disciples of Song Si-yeol and interacted with him.
    In large part, Jeong Je-du and their relationship could be regarded as Seoin with academic homogeneity. In a small way, this relationship could be seen as a sort of school of the same teacher, who was Song Si-yeol.
    Jeong Je-du revised the initial method of study by arguing with Yi Jing-myeong, and proceeded with the arguments of Kim GanㆍJeong Chan-hwi. In the meantime, the Yangming argument centered on Jeong Je-du was studied as a problem inside the Soron or the school of Park Se-chea. However, Yangming argument of Jeong Je-du and Kim GanㆍJeong Chan-hwi in this paper is important because it is a criticism of Jeong Je-du as a Yangming scholar in the Seoin-Noron’s line.
    In addition, the following academic exchanges between Jingdeo and Seoin-Noron were also conducted. It was the problem of the construction of the Jaunseowon’s costume, the difference of interpretation about the scholarship of Seo Gyeong-deok, the preservation of Gija(箕子) Jeongjeon(井田) left in Pyongyang.
    Although the Jeong Je-du posed a tendency to Soron according to the temporal flow, the relationship with Seoin-Noron’s line still taked a considerable part in his co-relation. There was also no major difference in the main content of academic exchanges.
    Therefore, I think that it is necessary to reevaluate Jeong Je-du as a scholar who had carried out various intellectual activities regardless of the party, rather than confining it to the framework of the Soron’s scholars who studied Yangm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양명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0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