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계성학보(啓聖學報)』와 『계성(啓聖)』 연구 - 국문산문을 중심으로 (A study of Kyesunghakbo and Kyesung - focusing on Korean prose)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8 최종저작일 2024.12
31P 미리보기
『계성학보(啓聖學報)』와 『계성(啓聖)』 연구  - 국문산문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한국학논집 / 97호 / 141 ~ 171페이지
    · 저자명 : 김동욱

    초록

    이 글은 계성학교의 교우지인 『계성학보』와 『계성』의 특징을 국문산문 중심으로 비교, 고찰한 것이다. 『계성학보』는 전근대 독자에게 보편적이고 일반적인 수준의 근대 지식을 소개하는 성격의 글이 주를 이루고 있었다. 또한 『계성학보』는 운동부, 문학회, 기숙사, 동창회, 졸업생 일람등 책자의 중심부를 학교에 대한 기사가 차지하고 있을 정도로 학교의 소식을 전달하는 교지의 성격이 강했다. 그리고 소설은 문학 장르로서의 소설이 아니라 ‘소소한 이야깃거리’라는 전근대적인 맥락에서 쓰였고, 전근대적인 지식의 전달 방식인 격언이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계성학보』에는 3.1운동 당시 대구 지역의 만세운동을 주도했던 혜성단 단원들의 글이 실려 있었다. 『계성학보』는 전근대 시기 설립된 기독교 근대교육기관의 교우지로서, 학교에 관한 정보와 근대 지식에 대한 글을 싣고 있지만 그와 동시에 여러 가지 면에서 전근대적인 성격을 완전히 탈피하지는 못했으며, 독립운동의 면모를 엿볼 수 있는 귀중한 가치를 지닌 자료라고 할 수 있다.
    『계성』은 4호부터 「황국신민의 서사(皇國臣民ノ誓詞)」와 「조선교육의 삼강령(朝鮮敎育ノ三綱領)」, 칙어, 중일전쟁 파병 병사들과 주고받은 위문편지가 실리고 일본어로 된 글의 비중이 높아지는 등 일제 군국주의의 영향에 점차 잠식되어 가는 모습을 보여준다. 다음으로 『계성학보』에서는 근대적 장르 개념이 미약했던 반면, 『계성』에서는 장르 개념이 어느 정도 확립되었으며 그에 따라 ‘수필’, ‘기행문’, ‘사적급전설’과 같이 글의 성격에 적합한 명칭이 적절히 부여되어 있다. 또 예전에는 가운데 있던 ‘기사’ 등 학교 소식에 해당하는 부분이 맨 뒤로 배치되었으며, 이에 따라 ‘논총’과 문예 성격의 글이 교우지의 중심을 차지하게 되어 학술문예지로서의 성격이 한층 강화되었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compares and examines the features of Kyesunghakbo and Kyesung, the alumni magazine of Gyeongsung School, focusing on Korean prose. Kyesunghakbo was characterized by articles that introduced modern knowledge at a universal and general level to pre-modern readers. Kyesunghakbo was strongly characterized as a school newspaper that conveyed news about the school, with articles about the school occupying the center of the booklet, including the athletic club, literary society, dormitory, alumni association, and a list of graduates. Novels were written not as a literary genre but in the pre-modern context of ‘small stories’, and aphorisms, a pre-modern way of conveying knowledge, were given considerable weight. Lastly, Kyesunghakbo contains the writings of the members of the Hyesungdan, who led the Independence Movement in Daegu during the March 1st. Kyesunghakbo as an alumni magazine of a Christian modern education institution established during the transition to modernity period, it contained information about the school and modern knowledge, but at the same time, it did not completely break away from its pre-modern character in many ways, and it can be said to be a valuable resource for glimpsing the aspects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From the fourth issue of Kyesung, the “Narrative of the Imperial Subjects” and the “Three Principles of Chosun Education”, as well as edicts and letters of condolence to soldiers deployed in the Sino-Japanese War, are included, and the proportion of texts written in Japanese increases, showing how the influence of Japanese militarism gradually took over. Next, While the modern concept of genre was weak in the Gyesunghakbo, it was more or less established in the Gyesung. As a result, the essays were appropriately labeled according to their nature, such as ‘Essay’, ‘Travelogue’, and ‘History and Legend’. In addition, the parts that corresponded to school news, such as ‘articles’, which were previously in the center, were placed at the back, and as a result, essays and literary texts occupied the center of the school newspaper, further strengthening its character as an academic literary journa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학논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7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