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 작동 방식에 관한 연구 -연극계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Operation of the Blacklist in the Culture and Arts Field as Focused on the Theatre Field)

5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8 최종저작일 2021.02
57P 미리보기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 작동 방식에 관한 연구 -연극계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연극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연극학 / 1권 / 77호 / 153 ~ 209페이지
    · 저자명 : 김미도

    초록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 사건은 청와대, 국정원, 문체부, 예술위 등이 긴밀하게 협조하는 가운데 이루어진 대규모 국가범죄였다. 이 논문에서는 박근혜 정부의 심각한 위헌적 국가범죄인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 사태가 어떻게 실행되었는지 그 작동방식을 단계별로 유형화하여 고찰해보고자 한다. 그 대표적 유형은 1) 불리한 정보 흘리기와 다단계 장치들, 2) 직접적인 배제 요구에서 포기 각서까지, 3) 심의위원과 배제 시나리오 사전 협의, 4) 자기검열의 작동과 배제로 크게 구분된다.
    블랙리스트의 실행은 몇 단계의 저항에 부딪히면서 그 실행 방식이 조금씩 변화했음을 알 수 있다. 블랙리스트 진상조사위위원회 조사 결과, 이러한 블랙리스트 작동 방식의 변화는 문화예술계가 미처 눈치 채지 못한 사이에 매우 주도면밀하게 이루어지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블랙리스트 실행 초기 단계에서는 심의위원들을 대상으로 블랙리스트를 작동시켜 블랙리스트 배제가 유리한 분위기를 만들어놓고, 각 지원사업의 담당자들이 배제 대상 단체에 대해 불리한 정보를 흘리는 방식을 주로 활용했다. 그러한 방식에 의해 배제된 단체가 반발하거나 심의위원들이 반발하는 사태가 벌어지자 심의위원들에게 노골적으로 배제 명단을 들이밀고 애원하듯이 협조를 구하거나 사업 자체가 폐지될 수 있다는 식의 은밀한 협박을 가하기도 했다.
    2015년 9월 9일, 마침내 검열 의혹이 언론에 폭로되자 블랙리스트 배제 압력에 시달리던 직원들은 블랙리스트에도 없던 인물이나 작품을 배제하기 위해 자기검열을 작동시켰다. 블랙리스트를 편리하게 작동시키기 위해 예술위가 가장 먼저 강구한 제도의 변화는 2015년 7월에 책임심의위원 제도를 폐지하고 심의위원 풀(pool)제를 도입하는 것이었다. 문화예술단체를 중심으로 친정부적 심의위원들을 위촉하고 사전에 배제 시나리오를 협의하기도 했다.
    더 나아가 공모제를 통한 지원심의 방식이 블랙리스트 배제에 근본적인 한계가 있음을 깨닫고 보다 원천적인 배제를 위해 기획사업 위주로 지원제도를 개편하기에 이르렀다. 2016년 1월 8일 「한국문화예술위원회 문예기금사업 개편안」에 의하면 소액 다건식 단순공모를 축소하고 기획공모사업의 비중을 강화하겠다는 의도를 뚜렷이 밝히고 있다. 즉 공모제를 통해 지원신청을 하는 개인 및 단체들을 블랙리스트와 일일이 대조하여 배제하는 일이 너무나 번거롭고, 심의가 지연되는 일이 빈발하자 예술위는 아예 지원제도 자체를 기획사업 위주로 변경해 버린 것이다.
    2020년 현재에도 블랙리스트 피해자들이 입은 피해는 거의 복구되지 못하고 있으며, 블랙리스트 사태 이전의 예술환경으로 복귀하지 못하고 있다. 블랙리스트로 인한 피해의 복구는 가해자들의 진심어린 사과와 왜곡된 제도의 시정이 선행되지 않고서는 앞으로 나아가기 어렵다. 이 논문은 블랙리스트가 공연예술분야에서 작동된 유형과 방식을 최초로 분석함으로써 추후 타 장르에서의 블랙리스트 작동 방식을 규명하는데 유용한 밑그림이 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영어초록

    The blacklist case in the culture and artistic field was a large-scale national crime made with close cooperation between the Blue House, the NIS,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and the Arts Council Korea. The plans of government organizations to activate the blacklist were quite elaborate.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study in phases how Park Geun-Hye’s Government's serious unconstitutional national crime, culture and art blacklist were operated. The representative types are 1) Disclosure of unfavorable information, multi-level strategies, 2) direct exclusion request to written pledge of abandonment, 3) prior consultation for exclusion scenarios with the deliberation committee, 4) operation and exclusion of self-censorship.
    The execution of the blacklist can be seen to have changed slightly as it encountered several levels of resistance. According to the investigation by the Blacklist Fact-finding Committee, this change in the way the blacklist works was being carried out very carefully without the culture and artistic circle noticing. In the early stages of implementing the blacklist, the government operated the blacklist on the committee members to create an advantageous atmosphere for excluding the members on the blacklist, and the managers of each support project mainly used the method of leaking information unfavorable to the organizations to be excluded. When groups excluded by such methods protested or members of the deliberation committee protested, they openly pushed the exclusion list to ask for cooperation by as if pleading for it or secretly threatening that the project itself can be abolished.
    On September 9, 2015, when the allegations of censorship were finally revealed to the media, employees under pressure activated self-censorship to exclude people or works that were not even on the blacklist. The first change in the system proposed by the Arts Council to conveniently operate the blacklist was to abolish the ‘committee-responsible review system’ in July 2015 and introduce a new ‘deliberation committee member-pool system’. They appointed pro-government deliberation committee members centered on cultural and artistic organizations and discussed exclusion scenarios in advance.
    Furthermore, in realization of the support review method through the public offering system had been causing fundamental limit to the exclusion of the blacklist, the support system was reorganized to focus on planning projects for more fundamental exclusion. According to the 「Korean Culture and Arts Committee's reorganization plan」 for the Literature Fund Project on January 8, 2016, it clearly reveals its intention to reduce the number of small multi-purpose simple public offerings and strengthen the proportion of planned-public offering projects. In other words, since it is too cumbersome to exclude individuals and organizations who apply for support through the public offering system by cross checking the blacklist, and the delay in deliberation became too frequent, the art committee planned to change the support system itself to the planned project.
    As of 2020, the damage suffered by the victims of the blacklist has hardly been recovered, and it has not returned to the art environment before the blacklist incident. Most projects that have been abolished or distorted by the operation of the blacklist have yet to be corrected. To facilitate the operation of the blacklist, the government abolished long-sustained public-offered projects and created new planned projects, which eventually resulted in damaging numerous artists who were able to produce their creations with even a small budget. The restoration of damage caused by the blacklist is difficult to move forward without a sincere apology from the perpetrators and the correction of the distorted system. This paper expects that blacklists will be the first to analyze the types and methods that worked in the performing arts field, which will be a useful foundation for identifying how blacklists work in other genres in the fu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5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