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율곡 「동거계사」 함의 분석의 가족공동체 연구 (Study on the Implicative Analysis of Family Community in Yulgok’s Family 「Donggeogyesa(同居戒辭)」)

1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8 최종저작일 2016.12
16P 미리보기
율곡 「동거계사」 함의 분석의 가족공동체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중인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중인문학연구 / 53호 / 75 ~ 90페이지
    · 저자명 : 유성선

    초록

    본 논고의 필요성과 연구 목적은 첫째, 본 논고는 거시적인 접근으로 「동거계사」의 함의분석을 통한 현 시대의 해체 진행중인 가족공동체의 중심은 무엇이며, 사회질서를 유지할 수있는 ‘화목’의 전통적 재해석은 가능한지를 고찰한다. 둘째, 이러한 논의가 구성되려면 율곡이살았던 만년 시대(42세 이후)배경과 「동거계사」를 저술하게 된 동기를 구축해야 한다. 셋째, 통시적인 접근으로 「동거계사」의 내용을 논리적으로 설득력 있는 전통의 재해석을 시도한다.
    본 논고의 차제는 다음과 같다. 「동거계사」의 시대적 배경과 저술의도/ 유교적 가치, 화목의 비판과 전망/ 유교가족주의의 현대적 적용과 의의. 「동거계사」는 율곡이 만년 41세(1576) 에 병으로 모든 관직을 내려놓고, 황해도 해주 석담으로 건너가 청계당을 건축하고, 일가친척식솔 100여명을 모아놓고 함께 살아가면서 가족공동체의 화목을 격려하고 제시하면서 저술한 글이다. 율곡이 제시한 가족의 화목을 위한 실천방안은 효도, 공경, 공순, 사랑, 정성이다.
    본 논고에서는 율곡이 제시한 ‘화목’ 범주의 철학상담치료를 논의하려고 한다.
    한국인은 장유유서의 규율처럼 위 아래를 항상 엄격하게 구분한다. 일례로 이 장유유서의통시적인 문화는 경어체계를 만들어 내기에 이르렀다. 유교의 통시적인 질서관은 유교가 우리사회에 끼친 남녀간의 차별로 여성의 수난사였지만, 또한 유교의 가장 커다란 특징은 효의 강조였다. 즉 우리 가족이 모든 상황윤리에서 최우선 순위에 배치하게 된다. 여기엔 21세기 우리가 문제를 해결해야 할 혈연 · 학연 · 지연의 명암 및 허실이 드리워져 있다. 이러한 해결방안과 대안은 수직적 질서(通時的 方法) 의식에 수평적 방법(共時的 方法)이 교차하는 객관적인 정점이 요청된다.

    영어초록

    The necessity and purpose of this research is, first, this research considered what is the core of family community which is undertaking disassembly in this era through the implicative analysis of 「Donggeogyesafrom the macroscopic approach, and whether traditional reinterpretation of ‘harmonious family’ that can maintain social order is possible. Second, to perform such discussion,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background of Mannyeon period (since 42 years) when Yulgok lived, and the motive of composing 「Donggeogyesa」. Third, as the diachronic approach, this research tried re-interpretation of tradition on the content 「Donggeogyesa」 of which is logically convincing.
    The contents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s. Temporal background of 「 Donggeogyesa」 and intention of writing/ Confucian value, Criticism and prospect of harmonious family/ Modern application and significance of Confucian familism. 「Donggeogyesa」 is a writing that Yulgok wrote encouraging and suggesting harmony of family community as he lived along with 100 mouths to feed including family and relatives after having built Cheonggyedang when he moved to Seokdam, Haeju, Hwanghaedo, retiring from all official positions due to disease at his age 41 (1576). The action plan for harmonious family suggested by Yulgok was filial duty, respect, gentleness, love, and sincerity.
    Here, this research discussed the philosophical counseling therapy based on ‘harmonious family’ scope suggested by Yulgok.
    Korean people always strictly divide upper rank and lower rank just like the regulation of Jangyuyuseo. For example, the diachronic culture of this Jangyuyuseo created honorific system. Diachronic view of Confucian order view has become a history of women’s ordeal due to discrimination between male and female which has greatly influenced our society, also, the biggest characteristic of Confucianism is the emphasis on filial duty. That is, our family is placed on the first priority in every situation ethics. Here, light and shade, weakness and strength of blood tie· regionalism· school tie, which we must solve in this 21th century, are hidden. The solution and alternative for this is based on the objective correction where horizontal method and vertical order consciousness are combin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중인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4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