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50년대∼1960년대 초반 평안도 출신 『사상계』 지식인층의 사상 (Philosophy of the 『Sasang-gyae/思想界』 Intellectuals, who hailed from the Pyeongan-do province, in the 1950s and early 1960s)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8 최종저작일 2008.12
32P 미리보기
1950년대∼1960년대 초반 평안도 출신 『사상계』 지식인층의 사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상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사상과 문화 / 45호 / 201 ~ 232페이지
    · 저자명 : 김상태

    초록

    지금까지 한국 근현대사 연구자들의 지역사 연구는 특정 지역의 총체적 지역 특성에 대한 분석보다는 개별 주제의 지역사례 연구에 초점을 맞춰왔다. 한국의 각 지역을 면밀히 살펴보았을 때 지역 특성이 가장 뚜렷하게 나타났던 지역으로 근대의 평안도를 들 수 있다. 평안도는 신흥 상공인층과 근대적 지식인층을 중심으로 개신교를 적극 수용하고 實力養成論에 입각한 자본주의 근대화를 지향하여 우익진영의 중심지가 되었다. 해방 후 평안도에서 남한으로 이주한 사람들은 興士團, 朝鮮民主黨, 西北靑年會 등을 중심으로 우익ㆍ친미ㆍ반공 이념을 일관되게 견지하면서 분단체제 형성을 주도하였다.
    1950년대의 대표적 학술ㆍ시사잡지였던 『思想界』의 중심 세력도 평안도 출신의 지식인들이었다. 발행인 장준하를 비롯하여 안병욱ㆍ김준엽ㆍ양호민ㆍ지명관 등 역대 편집주간과 편집위원 50명 중 20명이 평안도 출신이었다. 함석헌ㆍ신상초ㆍ김창순 등 주요 필자도 평안도 출신이었다. 요약하면 『사상계』는 평안도 출신 지식인들의 학술ㆍ시사잡지였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 것이다. 그들은 興士團이나 朝鮮民主黨의 중심세력보다 한 세대 아래의 신진 인사들로서, 평안도 출신 지식인층이 남한 사회에서 학술적으로 1950년대 냉전 이데올로기를 선도한 세력이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는 대표적 사례였다. 본 논문에서는 평안도 출신 『사상계』지식인층의 순기능과 역기능에 대해 살펴보았다.
    평안도 출신 『사상계』 지식인층은 언론활동을 통하여 자유와 민권, 주권재민, 언론ㆍ사상의 자유 등 자유민주주의의 기본 원칙을 강조하면서 이승만ㆍ자유당정권의 장기독재와 부정부패를 강력하게 비판하였다. 특히 1950년대 말에 이르러서는 이승만ㆍ자유당정권에 대한 국민들의 직접적인 저항, 즉 ‘혁명’을 촉구하기도 했다. 결국 그들은 4ㆍ19혁명을 이끌어내는 데 일정 정도 기여하였다.
    그러나 그들은 민주당에 대한 오랜 불신으로 말미암아 4ㆍ19혁명과 제2공화국을 부정한 5ㆍ16의 정당성을 인정하여 ‘군사혁명’으로 인식하는 경향을 드러냈다. 그리고 그 근원적 배경은 그들의 철저한 친미ㆍ반공 성향이었다. 그들은 냉전 이데올로기의 소유자들이었다. 미국은 대한민국의 우방이요 은혜를 베푸는 존재였고, 공산주의사상과 소련은 사실상 ‘악마’에 해당하였다. 그들에게는 중도파도, 혁신 정치세력도, 중립화 통일논의도 모두 ‘적’이었다. 자유민주주의야말로 통일에 우선하는 절대적인 가치였다. 결국 평안도 출신의 『사상계』 지식인들은 실제적으로는 반공 보다 자유민주주의를 상위 개념으로 설정하는 데 실패하였다.
    민주주의가 반공과 승공의 전제조건으로 인식되는 한, 반공과 승공을 위해서는 민주주의의 희생도 완전 배제할 수 없었던 것이다. 그들은 민주당정권의 무능 속에 공산주의에 대한 일정 정도의 위기의식을 느끼고 있었으므로 군부 쿠데타를 승인할 수 있었던 것이다. 요약하면 1950년대의 대표적 학술잡지로 자리잡은 『사상계』의 전반적인 논조 역시 철저한 냉전이데올로기 속에서 반공 친미 성향을 유지하였으며, 그것이 5ㆍ16을 인정하는 계기가 되었다.

    영어초록

    So far 'Region studies', by scholars studying the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of Korea, have usually focused upon examining regional situations in terms of particular topics, rather than examining all the characteristics featured by a particular region and presenting a general analysis of that region. Careful examination of all the regions in Korea reveals that the region that featured the most peculiar and distinctive characteristics, was the Pyeongan-do province in the modern era. In the Pyeongan-do province, new-coming merchants & industrial personnel and also modern intellectuals embraced Protestantism, and established the region as the central base for right-wing figures aiming for a Capitalist modernization based upon the argument of 'building strength first('實力養成論')'. After the liberation, people who moved from this province to South Korea played a leading role in establishing and reinforcing the state of division on the Korean peninsula, by firmly maintaining their right-wing, pro-U.S., and anti-Communist ideology, through activities in several organizations such as Heungsa-dan/興士團, Joseon Democratic party(朝鮮民主黨), and the Seobuk(Northwest) Youth group(西北靑年會).
    The central inner circle behind 『Sasang-gyae/思想界(The Intellectual Society)』, which was a renowned and also representative academic and current-issue magazine in the 1950s, was also composed of intellectuals who hailed from the Pyeongan-do region. Publisher Jang Jun Ha, all the editors including An Byeong UkㆍKim Jun YeobㆍYang Ho MinㆍJi Myeong Gwan, and 20 out of total of 50 editing committee members were from the Pyeongan-do province. Major authors like Ham Seok HeonㆍShin Sang ChoㆍKim Chang Sun were also from the region. In short, 『Sasang-gyae』 was an academic and current-issue magazine created by the Pyeongan-do region intellectuals. They were the next generation after the Heungsa-dan's or Joseon Democratic party's leaders, and they became the most distinctive case which shows us that intellectuals from the Pyeongan-do region led the cold-war ideology in an academic way inside South Korea in the 1950s. Examined in this article are the positive roles the 『Sasang-gyae』 intellectuals from the Pyeongan-do region played, and also the negative aspects of their actions.
    The 『Sasang-gyae』 intellectuals from the Pyeongan-do region emphasized the basic principles of a free and democratic society, such as freedom, human rights, the principle of sovereignty resting with the people, free speeches and thoughts, through their journalist activities. And they also strongly criticised the prolonged dictatorship and corruption of the Lee Seung Man administration and Freedom party's regime. Especially in the late 1950s, they asked for a full scale resistance of the public and also a 'revolution' against the Lee administration and Freedom party regime. In the end, one can say that they played a certain role in initiating the Revolution of April 19th.
    Yet they did not have faith in the Democratic party, they didn't for a long time, and therefore came to exhibit an attitude considering the May 16th Coup D'Etat as a legitimate one, and perceiving it, which negated the April 19th Revolution and also the 2nd Republic, as a 'military revolution'. The ultimate source of such perception was their thorough pro-U.S., anti-Communist attitude. They clearly possessed the cold-war ideology and mentality. To them, America was a friend of Republic of Korea, and was its most dear benefactor. The Communist ideology and U.S.S.R were demons. To them, the neutral thinkers, progressive political factions, and discussions of a unification by 'neutralization' were all 'enemies'. Free Democracy was the absolute and ultimate value preceeding all else, including unification. In other words, The 『Sasang-gyae』 intellectuals from the Pyeongan-do region failed to put the ideals and principles of Free democracy before anti-Communism. They only regarded democracy as a premise for an anti-Communist frontline and a tool for achieving victory over Communism, so for such purpose they were also capable of sacrificing democracy itself. They were concerned about the advance of Communism, especially in the midst of inability and incompetence of the Democratic party administration, so they chose to recognize and acknowledge the (legitimacy of the) military Coup. We can see that people behind 『Sasang-gyae』, the representative academic magazine of the 1950s, maintained an anti-Communist and pro-U.S. voice inside a frozen cold-war atmosphere, and that made them recognize May 16th.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사상과 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3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