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일본 현대문학의 영어권 수용과 문화번역 - ‘곁문화’ 텍스트를 중심으로 (The Reception of the English Translation and Cultural Translation - Role of ‘Para-culture’ texts)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8 최종저작일 2015.02
30P 미리보기
일본 현대문학의 영어권 수용과 문화번역 - ‘곁문화’ 텍스트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비교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비교문학 / 65호 / 293 ~ 322페이지
    · 저자명 : 이형진

    초록

    한 나라의 문학의 세계화는 우수한 원작이나 뛰어난 번역만으로는 결코 이루어질 수 없는 특수한 역학관계의 산물이라는 관점에 바탕을 둔 본 연구는 일본문학의 세계화 과정을, 특히 1968년 가와바타 야스나리의 노벨문학상 수상을, 1940년대 이후로 진행된 서구문화권의 일본문화 수용 과정에서 다양한 층위의 접점을 형성하는데 기여한 서구 문화권의 ‘곁문화’ 텍스트들의 역할의 산물로 분석한다. 본 연구는 문학번역은 서로 다른 위상을 가진 두 언어문화권 사이의 문화 헤게모니의 교차와 접점으로 인한 문화번역의 결과물이라는 전제를 설정하고, 문학번역텍스트의 수용과 문화적 이미지 구축 과정에서 수용문화권의 다양한 ‘곁문화’ 텍스트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서구문화가 일본을 본격적으로 경험하는 계기가 되었던 1940년대 제2차 세계대전이라는 맥락에서 가해자 일본과의 적대적 관계를 경험한 서구는 일본의 비문명적, 야만적, 광기적 특성을 일본문화의 태생적이고 전형적인 본성으로 고착화시켰지만, 이 같은 문화적 편견과 선입관은 1945년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에 대한 미국의 원폭 투하를 계기로 전쟁의 가해자와 피해자가 바뀌면서 문화적 관점의 전환을 초래했다. 특히 민간인에 대한 최초의 원폭 투하로 미국 사회가 짊어지게 된 무의식적인 집단 죄의식과 수십 만 명의 민간인 희생자에 대한 미국 사회의 자성과 도덕적 책임의 목소리가 미국 내에서 다양한 ‘곁문화’ 텍스트를 통해 확대 재생산되면서 일본 사회와 일본문화를 바라보는 미국 사회의 관점과 수용 방식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그 이후로 다양한 층위의 ‘곁문화’ 텍스트를 통해 일본 역사와 문화가 재평가 받는 과정 속에서 자연스럽게 서구 주도의 적극적인 문화번역의 과정을 거쳤는데, 이 같은 관점에서 1968년 가와바타의 노벨문학상 선정은 우연한 결과가 아니라 전후 30년 가까운 시간 동안의 일본문화에 대한 서구의 지속적인 문화번역의 결과물로 볼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intends to examine the reception process of the modern Japanese literature in the U.S. in the context of cultural translation with a focus on the significant roles of ‘para-culture’ texts published in the target culture. While traditional studies on literary translation tended to focus on comparing and analyzing translation texts along with source texts, this paper problematizes the hegemonic relationship between the source text culture and the target text culture, and claims that this very hegemonic relationship often affects the reception process of the translation of Asian literary texts in the U.S.
    The early reception process of Japanese literature in the US had been much influenced by stereotyped perspectives of the West on Japan, based on their war experiences with Japanese military as well the atomic bombs in Hiroshima and Nagasaki by the U.S. During the early 1940s, western books or novels on Japan had been quite critical of Japanese war crimes as well as inhumane atrocity and barbarianism, only strengthening negatively stereotyped images of Japan and Japanese people, but after the atomic bombs in 1945, much somber and realistic understanding and consideration of Japanese victims and culture emerged in the ‘para-culture’ texts with a sense of guilt sense and sympathy. The change of perspectives continued throughout 1950s and 1960s with more genuine and widespread interest and appreciation of Japanese culture, tradition and values, and eventually it led to the first Japanese recipient of the Nobel Prize in Literature in 1968, which would have been impossible without the help of these ‘para-culture’ texts since 1940s.
    In this context, literary translation appears to be more than an innocent transfer of one text into another language because of the inherent hegemonic relationship between two cultures, and two texts. This hegemonic relationship eventually generates a variety of transformations as well as manipulation of the text and culture for the sake of arbitrary or stereotyped reception, and this is the point of cultural translation in the realm of literary translation, stressing the importance of ‘cultural translation’ in literary transl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비교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59 오후